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어의 매개를 통한 이스마일 카다레 소설의 번역과 수용: 번역서 곁텍스트 분석 및 인터뷰를 중심으로

        손영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2 외국문학연구 Vol.- No.8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the Albanian writer Ismail Kadare's novel has been received in Korea through the medium of the French language. Indirect translation is a method of translation that has been criticized by many scholars since it is often perceived as being distant from the original. Notwithstanding, it contributes to the reception of foreign literature written in minority languages, serving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in the international literary world.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translators' positions and strategies, their perceptions about the original and translation, and their viewpoints on indirect transl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paratexts collected on Kadare’s translated texts. Peritexts of fifteen translations published in Korea and epitexts of English translatio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at various efforts were made on the part of translator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ndirect translation and to be faithful to the original, with their trust on the universal value of Kadare's works.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seeks to revisit the nature of indrect translation and hopes to highlight its contribution to the reception of important literary works written in minor language. 본 연구의 목적은 알바니아 작가 이스마일 카다레의 소설이 프랑스어의 매개를 거쳐 국내에 번역, 수용된 과정을 살펴보고, 소수 언어로 쓰인 외국 문학 작품이 시간적, 공간적 거리를 뛰어넘어 국내 독자들과 만나기까지 텍스트의 이동과 번역의 역할을 조명하는 데 있다. ‘20세기의 고전문학 작가’라 불리는 카다레는 유럽에서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히며, 그의 작품은 전 세계 45개국에 번역되어 많은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다. 외부의 침략과 독재 정권의 탄압으로 굴곡진 알바니아 현대사를 토대로 한 카다레의 소설은 지역성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문학적 보편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9년 박경리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내한한 카다레는 이러한 지역성을 보편 주제로 승화시키는데 필요한 것이 바로 번역이라 말한다. 국내 독자들이 만나는 카다레 소설은 알바니아어에서 프랑스어를 거쳐 한국어로 번역된 중역본이다. 문학 번역에서 중역은 피해야 할 관행으로 비판받아 왔지만, 원어에 접근이 불가능한 소수 언어로 쓰인 외국 문학의 수용과 확산에 기여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카다레 소설의 원작과 번역서를 둘러싼 다양한 곁텍스트를 수집하는 한편, 번역가와 편집자 인터뷰를 통해 원작과 번역에 대한 인식, 번역가의 입장 및 전략을 파악해 봄으로써 중역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텍스트의 문학적 이동이 완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발명인재 미래역량모델 기반 진로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분석

        손영은,이승원,신선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2

        2020년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기존 발명교육 분야에서 학생들에게 진로와 연계된 체계적인 발명교 육 참여 기회의 확대 및 이론적 기반 구축을 위하여 ‘진로연계 발명 관련 주요 직종 분석 및 요구역량 체계 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발명인재 미래역량 모델 탐색 연구’, 둘째, ‘발명인재 미래역량 모델 연계 발명관련 주요 직업군 조사’, 셋째, ‘발명관련 주요 직업군별 핵 심역량 도출’, 넷째, ‘직업군별 요구역량 기반 진로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제언’ 이다. 이 연구에서는 ‘직업군별 요구역량 기반 진로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제언’ 에 대한 부분이며, 발명인재 미래역량모델에 기초하여 기존에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가 개발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분석과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군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프로그램 활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 다. 첫째, 2005년부터 2020년까지의 51종 90개 각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직업군별 요구역량 도출 및 기존 발명교육 프로그램과 직업군별 요구역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기존의 발명교육 프로그램과 직업 군별 우선 핵심역량의 매칭을 통해 진로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도출하였다. 즉 발명인재 미 래역량 모델과 연계된 8개의 중분류 직업군에서 요구하는 우선 핵심역량에 맞도록 기존의 발명교육 프로그 램을 제안하였고 향후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까지 제안하였다. 셋째, 기존의 프로그램에서 미비했던 해당 직업군별 특성에 맞는 주요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적용 방향 및 학생들의 직업군별 요구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언하였다. In 2020,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KIPO) and the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KIPA) conducted 'The Analysis of Major Jobs Related to Inventions and the Systematization of Required Competencies' to assist in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systematic invention education and to create a theoretical foundation.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1) 'The exploration of the future competency model for talented students in the field of invention' (2) 'Investigation of major occupations related to invention and the research on derivation of necessary competencies of major occupational groups' (3)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link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quired competencies by occupational group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of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previously developed by KIPO and KIPA based on the future competency model for inventors. Guidelines were also presented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occupational group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rst, for 90 programs of 51 types(2005-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cessary competencies of the exist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nd those of occupational groups was analyzed while deriving necessary competencies for each occupation group. Second, through matching the exist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ith prioritized core competencies by occupational group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was derived. In other words, the exist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proposed to meet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eight middle-classified occupational groups, and related invention education activities were additionally presented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futur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ird, this study presented activities suitable for occupational groups that were not present in existing program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methods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in the school and enhancing students’ competencies required by occupational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권헌의 <시노비>·<관북민>·<쌀 쓰는 여인>에 나타난 글쓰기 방법의 현대적 가치 연구 -타인을 소개하는 글쓰기 방법의 모색을 중심으로-

        손영은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7 No.-

        This article Gwon Heon’s spiritual writing can be a good example for writing education introducing others and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t. First of all, Chapter 2 defines the meaning of Jeonsin (傳神) and takes as its topic the Jeonsin theory that can associate Gwon Heon’s works into one to examine the features of his Jeonsin theory. Furthermore, Chapter 3 takes the Jeonsin theory as a topic that can embrace Gwon Heon’s works into one to study the features of his writing based on Jeonsin theory from his poems <Si-no-ba>, <Gwan-buk-min>, and <woman who sweep the rice> If you follow his writing structure based on Jeonsin theory taking as its ground the interest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others from the view of Jemul theory, not the interest from the view of gossiping, you will find it can be a good example of writing to introduce others. Moreover, this case can be significant in that the writing method of classics can be expected to affect today’s writing education positively. 본고에서는 권헌의 전신론적 글쓰기 방법이 오늘날 타인을 소개하는 글쓰기에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그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전신의 의미를 정의하고, 권헌의 작품을 하나로 이을 수 있는 전신론을 화두로 삼아 그의 전신론의 특징을 확인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권헌의 장편 한시인 <시노비>․<관북민>․<쌀 쓰는 여인>에 나타난 글쓰기 방법의 특징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권헌은 세 편의 시에서 시점의 이동이라는 동일한 서사 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글쓰기 방법은 타인의 전신을 오롯이 나타낼 수 있는 전신론적 글쓰기 방법이라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권헌의 전신론적 글쓰기 방법의 교육적 의의를 밝힘으로써 현대에서 타인을 소개하는 글을 쓸 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