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업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공문서 작성 관련 : 터키 이스탄불 대학교 한국어문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손영은(Son YoungEun) 중동유럽한국학회 2020 CEESOK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1 No.1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 in other words “Business Korean” by identifying education methods, contents and their results of lesson through the lesson examples and accomplished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9 aimed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ird grade learners at Istanbul University. As the result, we were able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request and delivery and content constitution of the document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Furthermore, it improved the sense of repulsion and diffuculty about new lesson and confirmed its importance in that it makes learners to realize how to create necessary contents and ideas for their business practice by themselves. If there is a suggest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for occupational purposes based on more examples, we can discuss it by dividing it into subjects related to learners, teacher and lesson. 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oing to put into effect for occupational purposes, the number of learnes participate in should be suitable for learners and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advanced. Also, teacher should possess professionalism, and the textbook, period or time and course of study should be determined under the big goal of business dialogues and essays.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lesson that progressed for one semester, progressing this lesson for one year and 15 weeks for one semester for one and a half or two hours for 15 to 20 students that aimed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by dividing it business dialogues and essays will produce its fruits with the effort of the teacher.

      • KCI등재

        발명교육 프로그램 운영 개선 방안 연구: 현장 적용 사례 분석 중심으로

        손영은(Son, YoungEun),김민기(Minkee Kim),정지현(Jihye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사회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남에 따라 학생들에게 함양시킬 역량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교육 형태가 주장되고 있지만 발명교육도 발명교육법(2017)의 제정을 통해, 새롭게 조명되는 교육의 한 형태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래의 발명CEO 탐색(Ⅰ)』 프로그램을 발명교 육센터나 발명영재 수업, 혹은 정규교과 중의 일부 등에 적용한 후 학생들이 발명교육 수업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하고자 했다.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과의 협력 및 안내를 통해 1차와 2차 연수에 참여한 28명의 교사가 2017년 4월∼6월 사이에 4차시 이상의 수업을 62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사전-사후 설문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수행하여 조사하 였다. 특별히 이 인식조사에서는 임형규, 이춘식(2012)이 개발한『학생 발명의 태도 검사지(24문항)』가 활용되었다. 더불어 그 통계조사 결과와 함께 28개의 다양한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교사들이 어떻게 프로그램을 적용했고, 프로그램 적용 관련하여 어떤 개선 방안을 제시했는지를 조사하면서 향후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운영 관련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With the change of society approaching rapidly, the discussion about what capacities students should strengthen is livelier than ever before. To accomplish this purpose, several forms of education are being suggested, and invention education is one form of education which is rapidly gathering attention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Invention Education Act(2017). In this study, after implementing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of 『The Pursuit of Invention CEO in the Future(Ⅰ)』 in the Invention Education Center, the Invention Gifted Class, or some of the regular curriculum,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tool of『Questionnaire of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invention(24questions)』 developed by Hyung-kyu Lim and Chun-shik Lee(2012).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having 28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eacher education program apply the education programs to 625 students a minimum of four times. Then a pre-and post-program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so the chang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could be tracked through a paired t-test. In addition, by analyzing 28 different cases, we tried to find out the problem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Pursuit of Invention CEO in the future(Ⅰ)』 in the field, and figure out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solving those problems.

      • KCI등재

        미래의 발명 CEO 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사례 분석

        손영은(Son YoungEun),이은지(Lee Eu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4차 산업혁명이 급격히 도래하고 창의성이 강조되면서 미래사회를 대비한 인재양성에 대한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다. 한국의 지식재산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온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을 기반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카이스트와 포스텍에 차세대 영재기업인 교육원을 설립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시행해 왔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발명영재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보이는 학생을 선발하고, 그 재능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특허 출원과 기술 기반 창업 등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이러한 역량을 키우는 것은 소수의 학생들뿐만 아니라 전국의 다른 (발명)영재들에게도 필요하다는 정책적 판단아래 일선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그램이 바로 『미래의 발명 CEO 탐색』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래의 발명 CEO 탐색』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 프로그램의 일선 학교 시범적용에 참여한 교사 및 학생들의 프로그램 적용 관련 인식을 설문지, 수업관찰 분석, 인터뷰의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들 결과를 통해 향후 미래사회 대비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 적용될 경우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pproaching rapidly and creativity being emphasized, the discussion of raising talented students to prepare for the future has been more active than ever before. Th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the Korean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associations that have played important roles in promoting intellectual property in Korea have founded the next generation entrepreneur education institution in KAIST and POSTECH and implemented associated programs to raise talented students that can contribute to society based on creative intellectual properties. The purpose of these programs is to select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with innate talent and to develop their talent systematically, in order to nurture futuristic talented individuals with the competency to produce value with intellectual property or create a technology-based company. The future CEO programs are programs that were made to be applied in schools, under the evaluation that this competency is necessary for other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nationwide as well as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next generation entrepreneur programs. This study tries to introduce the future CEO programs and show the results of analyzing these classes through methods such as observation,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o show what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these programs were like when these programs were applied in school fields. Also,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e implications regarding what we should consider when new programs are applied in school field through these results.

      • KCI등재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손영은(YoungEun Son),정동훈(DongHu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지금까지 방과 후 교육 중심으로 발명교육을 추진해 왔으나, ‘지식재산 인재양성 비전 2030’의 발표와 함께 정규수업 시간과 연계된 발명교육 실시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발명교육의 이런 추진 방향을 구체화 하기 위해 2022년에 정규교과목 3개와 연계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일선 학교에 미술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미술교과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즉 이번 연구는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 미술과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특성이 각각 어떠한지를 조사하고자 했다 또한 미슬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미술과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도 조사하고자 했다. 방법 이를 위하여 3개 학교에서 18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시간에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했고, 의미분별법 기반 개발⋅재구성된 조사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 미술 교과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조사했다. 또한 미술 교과 연계 발명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미술과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05 유의수준에서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미술 교과 연계 발명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 모두에서 미술교과목에 대한 인식은 설문지(미술과목을 묘사한 반대적인 의미의 형용사쌍으로 구성) 에서 2~4점 사이의 데이터( 1~7 척도 기준) 를 보이면서 양쪽 극단적으로 치우친 값이 없었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 전과 후에 미술과목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결론적으로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 모두에서 양쪽 극단적으로 치우친 값이 없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기존 미술 과목 및 발명연계 미술 교과목에 대한 명확한 이미지가 만들어져 있지 않다고 추론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참여 전과 후에 인식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개발 후, 개발된 4개 주제 중 1개 주제를 4차시 전후 정도 학교별로 시범적용으로 적용했기 때문에 그 과목에 대한 인식이 변화가 의미 있게 이루어지기에는 시간의 한계가 있었다고 추론될 수 있다. 또한 교사연수 등의 부재로 개발의도가 잘 반영된 발명교육 적용의 한계가 있는 것 등도 그 원인으로 생각될 수 있다. 향후에는 이런 한계가 좀 더 보완된 후속연구의 수행을 통해 발명교육 참여 후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등이 좀 더 면밀히 조사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Althoug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the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have so far promoted invention education focused on after-school education,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2030 Vision of fostering intellectual property competency’, the organizations are actively promoting the implementation of invention education within regular class hours. To refine this direction of invention educatio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ree regular curriculum subjects was developed in 2022.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how the application of an art-relat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to schools a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art subjects. In other word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art subject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art subject-link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lso,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characteristics regarding art subjec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rt curriculum-relat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Methods For this purpose,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art class was implemented with 189 participating students in three schools during regular class hours. Then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art cla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using a survey developed and reconstructed based on the semantic discrimination method. Additionally, a t-test was conducted at the .05 significance level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characteristics regarding art class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rt class-related invention program. Results Both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rt classes, there were no extreme values on either en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art subjects, with data ranging from 2 to 4 (on a scale of 1 to 7) on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airs of adjectives with opposite meanings describing art subjects). Also, the change in perception of art subjec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n conclusion, since there are no extreme values both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it can be inferred that students do not have a set perception of art classes or invention-related art subjects. Additionally, the fact that the change in perception before and after program particip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ay stem from the fact that only one topic out of four topics after development was applied on a pilot basis for each school for the duration of four sessions. Thus,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time frame was too limited for meaningful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 subject to occur. Also, it may be possible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applying invention education that accurately reflects the developer’s intent due to the absence of teacher training. In the future, through follow-up research that will be further supplemented the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closely how students perceive the subjects after participating in invention education.

      • KCI등재

        터키 설화에 나타난 소수자의 형상과 공존 및 연대의 양상 -데브(Dev)와 주제(Cüce) 이야기를 중심으로-

        손영은(SON Youngeu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7

        터키의 설화는 동서양의 문화적 특색을 모두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터키 설화에는 데브와 주제라는 매력적 캐릭터가 등장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데브와 주제가 등장하는 터키의 설화를 중심으로 그들의 외적 및 내적 형상을 비롯하여 그들을 향한 시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데브와 주제에게서 외부적 타자이자 소수자의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소수자의 형상을 보이는 데브와 주제가 서사의 주체로 그 기능을 충분히 하는 <데브와 주제의 우정(Devlerle Cücelerin Dostluğu)> 설화를 통해 그들이 보여주는 공존과 와해 그리고 또 다른 면모의 공존과 연대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소수자의 연대와 그 연대를 깨려는 또 다른 소수자의 모습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연대와 공존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각자의 영역과 개개인이 지닌 크고 작은 능력을 인정하고 더불어 아무것도 하지 않음이라는 조용한 움직임을 통해 또 하나의 공존이 시작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터키 설화 속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공존과 연대의 면모를 통해 누구나 소수자가 될 수 있는 현실의 상황 속에서 모두가 공존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이 본 연구의 의의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urkish folk tales are characterized by hav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oth the East and the West and feature charming characters such as Dev and Cüce. This study focuses on the tales where Dev and Cüce appear and examines their external and internal images, as well as the view held on them. As a result, Dev and Cüce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phenomenon of external others and minorities. This function is well shown in the story of Friendship between Devs and Cüces, where Dev and Cüce constitute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and which confirmed the coexistence and dissolution of Dev and Cüce as well as solidarity and aspects of another coexisten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olidarity within the minority, the attempt to break this solidarity by another minority, and the pattern of new solidarity and coexistence. Thus, it is found that another coexistence can begin with the acknowledgement of each other’s domains and each individual"s great and small abilities and the quiet movement of doing nothing together. Turkish folk tales show aspects of coexistence and solidarity and present a way for everyone to coexist in a situation where anyone can be part of a minority, which is evaluated in this study as being of great significance.

      • KCI등재

        청소년 기업영재의 발달 변화 분석: TTCT,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정지희(Chung JiHee),손영은(Son YoungE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재능발달 접근 이론을 배경으로 기업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육생의 창의성, 핵심역량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특성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특성과 변화과정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기업영재 프로그램 교육을 받은 181명으로, 교육원 입학 당시 TTCT, 핵심역량 특성을 살펴보고, 이후 2년간의 과정을 마치는 시점 에서 실시한 TTCT, 핵심역량의 변화를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입학당시 남학생 과 여학생의 특성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업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독창 성을 제외한 창의성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핵심역량에서는 남녀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년간의 과정 후, 종결저항 영역에서 남녀 모두 입학당시보다 2년 후인 수료시 점 수가 하락하였으며, 창의적 강점 영역에서는 남녀 모두 2년 후 수료시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핵심역량에서는 지식재산 전문성과 기업윤리의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이러한 변화의 배경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같은 후속연구나 비교연구 등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repreneurial talent program students creativity and core competency, as well a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se characteristics and how they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181 students that had received entrepreneurial gifted education, where it looked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ment processes based on gender by looking at the change in TTCT and core competency before and after the two year program.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who partook in the program showed higher scores in the creativity field excluding originality,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re competencies. After the two year progra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lower scores in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but in the creativity fiel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In core competencies the fields of intellectual property expertise and business ethic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as well.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more depth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and the background of these chang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건복지분야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의 성과와 변화요구 분석: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중심으로

        주연선 ( Joo Yeonsun ),박형준 ( Park Hyoung Joon ),문영임 ( Moon Youngim ),손영은 ( Son Younge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2 공공정책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분야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질적 성장을 위한 교육 성과와 변화요구를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의 교육 수요자, 근무기관 담당자, 사회복무 전임교수, 직무교육 운영자 등 직무 교육의 핵심 주체를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법(thematic analysis)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직무교육의 학습경험을 통해 직무 및 이용자에 대한 이해, 실천기술의 획득, 진로연계로의 확장과 관련한 성과를 논의하였다. 둘째, 직무교육의 변화요구와 관련하여 교육수요자 특성을 반영한 교육내용 및 방법의 적용, 운영체계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교육의 교육체계 및 운영체계에 대해 다각적 시각에서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근거 자료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social service corps and to identify deman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 Focus-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for four key stakeholders of the program: social service corps(trainee), boss at social service institutions where each trainee belongs to, full-time faculty(trainer), administrative staff in charge of managing the program.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FGI data that we collected from such stakeholders. Three themes emerged regarding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program: understanding their duties and customers’ needs, practical skills acquisition, and pursuing their careers in the fields. We also found three aspects of the demands for its improvement: individuals(traine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and administrative systems. Findings suggest the evidence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service corps by examining its performance and limitations using multifaceted view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