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麗時代 龍華手印 彌勒圖像의 硏究

        孫永文(Son Youngmoo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2

        고려 전반기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전통을 계승한 불상과 더불어 과량적이고 힘이 넘치는 대형 미륵상들이 충청과 경기 지방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조성되었다. 이들 대형 불상들은 비록 여래형으로 조성되었다 하더라도, 대부분 머리에는 寶冠을 쓰고, 꽃을 잡고 있다. 고려시대 미륵을 주존으로 모시는 법상종의 융성과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천태종, 미륵 신앙을 중시한 선종, 전통 재래의 미륵신앙 등 미륵신앙은 어느 시기보다 활발하였는데, 이러한 신앙적 전통이 고려시대 미륵상 조형과 형식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인도 초기의 미륵도상은 관음과 함께 석가모니불의 협시로 삼존을 구성하거나, 과거칠불과 병존, 또는 도솔천상에서 설법하고 있는 보살형으로 조형되어 주로 보관을 착용하지 않은 속발형의 머리스타일과 수병이 주요한 미륵도상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이후 수병인 미륵상은 감소하고 그를 대신하여 용화인(n??gapu?pa flower mudr??) 미륵도상이 나타나게 된다. 용화인 미록상은 인도 굽타 기부터 등장하여 팔라기에 정형화되고 있다. 초기의 용화인은 연꽃을 모방하는 단계이지만, 팔라기에는 소형의 꽃들이 다발을 이룬 가늘고 긴 잎이 표현된 형태로 정착되고 있다. 중국의 초기 상에서는 수병인 미륵도상이 여전히 조성되고 있지만, 용화인의 시원으로 볼 수 있는 상들도 나타난다. 특히 인도의 용화인 미륵상 도싱은 현장과 왕현책, 의정 등 구법승과 시신들의 왕래를 통해 중국에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대와 송대에는 不空이 한역한 밀교경전을 토대로 한 보관에 탑을 두고, 손에는 水甁을 잡는 미륵도상과 함께 인도 팔라기의 미륵도상이 다소 변형된 團扇을 잡고 있는 미륵도상도 나타나고 있다. 용화라는 말은 미록보살이 석가모니불 入滅 後 56억 7천만 년이 지나 도솔천에서 교화를 마치고 이 세상의 龍華樹 아래에서 하강한다는 말에서 유래하며, 즉 용화나무에서 피어난 꽃을 의미한다. 『彌勒大成佛經』(鳩摩羅什 譯, 402년)에는 “용화가지는 보배 龍처럼 백 가지 꽃을 토하고, 꽃잎 하나하나에는 칠보의 색을 띄며, 갖가지 다른 과일이 중생에 뜻에 따라 열린다”고 쓰여 있다. 특히 『佛說大乘觀相曼奈羅淨濟惡趣經』에는 “만나라의 동쪽 문에서부터 시작하여 첫 번째 우선 자씨보살이 앉되, 황색의 몸에 불꽃이 치성하고 오른손으로 龍華樹 가지를 잡고, 왼손으로 軍持를 잡는다”고 쓰여 있어 용화수인 미륵도상의 구체적인 근거자료라고 생각된다. 고려시대 용화인은 전대의 조각전통과 함께 인도 팔라기에 정형화된 소형 잎들이 다발을 이루는 용화인 도상을 직ㆍ간접적으로 받아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고려시대 미륵도상의 특징으로는 첫째, 탑을 연상케 하는 탑형보관 미륵상의 등장이다. 관촉사 상과 대조사 상에서 보이는 不空이 한역한 『八大菩薩曼茶羅經』과 太藏界八葉院의 미륵보살의 형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바탕으로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에서 힌트를 얻어 새로운 해석을 가미하여 창출해 낸 도상으로 이해된다. 둘째, 着衣法이다. 보살상은 한결같이 여래의 착의법을 착용하고 있는데, 이는 보살상에 여래의 착의와 함께 보관을 표현함으로써 王卽佛 사상에 입각한 전륜성왕의 이미지와 미륵의 상ㆍ하생 신앙을 모두 표현해 내고자 의도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셋째, 자세이다. 고려시대 미륵상에서 유희좌 상과 더불어 생동감 넘치는 연화좌를 즐겨 시용하고 있는데, 이는 도솔천에서 하강하는 미록보살을 극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고안해 낸 표현방식으로 판단된다. 넷째, 신체표현이다. 즉 기념비적 성격을 띠고 있는 관촉사 미륵보살상을 시작으로 5m가 넘는 대형 불상들이 조성되고 있는데, 이는 「미록대성불경」 등 미록경전에 설하고 있는 미륵의 상용을 충실히 표현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괴량적 석주형태와 세장한 석주형태의 두 가지 신체표현 형태가 나타나는데, 이는 고려석탑에서도 공통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특징이다. In the first half the Goryeo period. a number of colossal Maitreya statues were created in the Chungcheong and Gyeonggi provinces. These images are not distinguishable from Buddhas except for the a-own and flowers held in a hand. During the Goryeo period Maitreya was actively worshipped in distinctive form under the influence of diverse religious trends such as the Beopsangjong (Dharmalaksana school) where the Maitreya was venerated as a central deity. the Cheontaejong (Tiantai school) where the Lotus Sutra was ardently read. and the Seonjong (Chan school) where the Maitreya faith was highly valued. This must have led to the creation of a large number of Maitreya mage. At the early stage in Indian Buddhist art. Maitreya appeared as an attendant figure in ???kyamuni Buddha triads, or with the seven Buddhas of the past. or as one who teaches in the Tu?ita Heaven. The topknot and water bottle were usual attributes in its iconography. After a while. Maitreya images with a n??gapu?pa flower in hand started to appear instead of a water bottle. This new form appeared during the Gupta period in India and was standardized in the P??la period. The shape of the flower is made in imitation of a real flower at the initial stage. and gradually changed to the form of a bunch of flowers with fine and long leaves attached. In China, not only Maitreya images with holding water bottle in hand but also images holding presumably an incipient form of n??gapuspa is found at me early stage. The Indian iconography of Maitreya with n??gapu?pa seems to have been transmitted through me intercourse with the travel of envoys and pilgrims such as Xuanzang, Wang Xiance, and Yijing. In the Liao and Song dynasties, me iconography of Maitreya appeared somewhat transformed on the basis of Maitreya images of P??la period with a stupa in the crown and a water bottle in hand. which was influenced by me account in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ranslated into Chinese. The n??gapu?pa as an attribute for Maitreya is derived from the story mat having descended from the Tu?ita Heaven and become enlightened, Maitreya will teach under me n??gapu?pa tree. It stands for a blossomed flower from me n??gapu?pa tree. According to Mile dacbengfo jing (彌勒大成佛經), the n??gapu?pa branch throws hundreds of flowers like a precious dragon. each leaf holds me color of seven treasures, and various fruits are bom according to human beings' wish. Fosbuo dasbeng guanxiang mancbaluo jingzbiequ jing (佛說大乘觀相曼奈羅淨濟惡趣經) speaks of Maitreya Bodhisattva seated at the eastern gate of Man nation with a sacrificial flame offered to one's yellow body and a n??gapu?pa branch and a Ka?an?lu carried in hands. These accounts are presumed to be specific instructions regarding the iconography of Maitreya with n??gapu?pa. The n??gapu?pa held by Maitreya images in the Goryeo period was adopted through the threct and inthrect influences from the sculptural tradition of the previous era and the standardized iconography of P??la period in India.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aitreya in the Goryeo period, the crown in the form of a stupa should be first counted. This feature could be attributed to the form of Maitreya Bodhisattva from the Eight-fold Petal Cloister of the Garbhadh??tu and me Sutra of the Eigbt Bodbisattua Ma??ala. Maitreya in this form is seen in stone images at Gwanchoksa and Daejosa. The iconography seems to have been created with new inspiration from a three¬story stone pagoda with four-lions at Hwaeomsa. The second notable feature is the drapery The drapery of Bodhisattva images consistently shows no difference with thar of Buddhas. Therefore, it seems mat both the upper/lower beliefs of Maitreya and the image of cakrauartin are intentionally represented together. The third feature is the posture. The relaxed posture and lotus pedestal appeared simultaneously for the linage of Maitreya in the Goryeo period.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to be aimed at dramatically p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