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현대 상해 도시계획 변천의 역사 -최신 연구성과와 자료를 중심으로-

        손안석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0 비교중국연구 Vol.1 No.1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in Shanghai, Western powers interceded control of city planning. At the same time, the Shanghai Municipal Council (工部局) continued to fully manage road construction, policing, sanitation, education, and tax collection. However, most history research on Shanghai has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Shanghai Municipal Council while failing to address adequately various materials that remain insufficiently used. The Municipal Gazette, an official magazine of the Shanghai Municipal Council, and representative English-language newspapers published in Shanghai, such as The North China Herald and Supreme Court & Consular Gazette, have conducted such studies but they lack full-scale analysis. In recent years, however, scholars have made remarkable research findings in Shanghai history related to Hungarian architect Laszlo Hudec’s urban work in the city. While surveying 150 years of Shanghai’s urban planning, this research attends to this gap in the literature. It builds upon Kazuhiro Iwama’s and Son Ansuk’s studies on the urban middle class and Tokihiko Mori’s probe of Shanghai-Japan relations and Makoto Kinouchi’s Shanghai history research respectively. It also explores how Shanghai Urban Construction Design and Research Institute recently published works and a collection of records of meetings for the Greater Shanghai Urban Plan, promoted from the 1920s to 1940s, provide hope for conducting more comprehensive research on Shanghai’s urban planning history. 본고는 근대 상해의 역사 변천을 도시계획의 관점에서 최신의 연구성과와 새로운 자료를 활용하여 검토한 것이다. 상해 조계지 설정 후의 초창기 도시계획은 구미 열강이 주도권을 잡은 공부국(工部局)이 도로건설, 경찰, 위생, 교육, 세금 징수 등 거의 모든 권력을 한 손에 쥐고 있었다. 종래의 상해사 연구의 많은 부분은 이러한 공부국의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었으나, 아직도 활용하지 않은 자료가 적지 않다. 예를 들면, 공부국의 공식 공보잡지로 간행된 『The Municipal Gazette』나 상해에서 발행된 영자신문을 대표하는 『The North China Herald and Supreme Court & Consular Gazette』등도 아직 본격적인 검토가 이뤄지지 않은 자료이다. 상해사 연구에서 상당히 연구가 진척된 분야는 상해의 도시건축에 기념비적인 작품을 남긴 헝가리 출신의 건축가 휴덱(Laszio Hudec)과 관련된 것이다. 상해의 도시발전에서 중국인이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되는 시기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중국인의 등장을 도시 중간층의 등장으로 설명하려는 연구가 이와마 가즈히코(岩間一弘)에 의해 이뤄졌다. 그리고 이러한 도시 중간층의 오락과 일상생활의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한 연구가 손안석에 의해 이뤄졌다. 최근 발간된 상해 도시사 연구의 자료집으로 주목받는 것은 상해시성시계획설계연구소가 편집한 ‘대상해도시계획’이다. 이 자료집은 1920년에서 1940년대에 걸쳐 추진된 대상해도시계획의 회의 기록과 각 단계별 보고서가 수록되어 있다.

      • KCI등재

        대두하는 중국과 재일 중국인 커뮤니티의 변화

        손안석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비평 Vol.- No.6

        본고는 북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중국의 움직임을 정치, 경제, 혹은 군사분 야가 아닌 화교와 유학생의 이동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의 중 국의 경제발전이 동북아시아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거대함에 대하여서는 아무 도 부정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인데, 이러한 중국의 대두는 재일 중국인사회에 어떠한 변 화를 가지고 오고 있는 것일까. 본고는 우선 일본 화교사회의 개략과 변화를 메이지시 대의 나가사키, 다이쇼시대의 고베, 쇼와시대의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1980 년대 개혁개방 이후의 유학생 급등을 일본의 출입국관리국과 입관협회 등의 통계수치 를 소재로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1990년 이후에 도쿄 이케부쿠로에 형성되기 시작한 중국인 커뮤니티의 개략 에 대하여 소개하면서 일본사회가 새로운 외국인 커뮤니티의 형성에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지를 입관협회가 편찬하고 있는 잡지 『국제인류』(国際人流)의 기사를 통 하여 소개하고 있다. 1980년대의 개혁개방 이후 경제력을 바탕으로 동북아시아의 강 국으로 부상하는 중국의 위상은 일본이라는 아시아의 우등생 모델을 넘어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지. 근대 이후 동일민족국가를 추구하는 일본사회에서 과연 중 국, 혹은 외국인 커뮤니티라는 이민사회가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 등에 관하여 일본의 현주소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단일 민족으로 구성된 동질성이 강한 사회에서 외국인 커뮤니티의 형성이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의 문제는 비단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 리 자신의 자화상이기도 한 것이다 . This paper analyzes emergence of China as the major power in Northeast Asia in terms of movement of overseas Chinese(華僑) and international Chinese students. Since the 1980s, China’s economic development’s huge impact on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economy is undeniable. How does this emergence of China affect Chinese communities in Japan? This paper outlines overseas Chinese communities and its changes concentrating on Nagasaki(長崎) in the Meiji era, Kobe(神戸) in Taisho era, Yokohama(横浜) in Showa era, and then introduce dramatically increasing Chinese students in Japan by statistics from Immigration Bureau of Japan Admission(日本法務 省入国管理局) and Japan Immigration Association(入管協会) since the reform and opening-up of China. By introducing Chinese community which began to form in Tokyo Ikebukuro(池袋) in 1990, this paper shows how Japanese society responded to new foreign communities’ formation through a magazine called The immigration newsmagazine(『国際人流』) which is being published by Japan Immigration Association. After the 1980s’ reform and opening up, on the basis of economic power in Northeast Asia, China is emerging as a superpower. This paper studied whether this status of China can overcome model of Japan as a good student, and propose a new model.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Japan’s current status by whether Chinese or foreign communities are acceptable in Japanese society, which since the modern nation-state, have pursued homogeneous ethnic group nation. How the single ethnic consisted and therefore strongly homogenous society reacts with formation of a foreign community is not only Japan’s concern, but also reflects our own self-portra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