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크로스섹슈얼 경향이 나타난 TV 광고 사례 연구

        손소영 ( So Young Son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크로스섹슈얼 경향이 나타난 TV광고 사례 연구로서, 전통적인 여성 품목 광고에 남성의 크로스섹슈얼 경향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가진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들어 다양한 사회변화와 가치관의 변화, 성 역할 변화 등에 따라 섹슈얼리티가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2004년 ‘메트로섹슈얼’, 2005년 ‘위버섹슈얼’, 2006년 ‘크로스섹슈얼’이 등장하게 되었고, 지금까지 다양한 남성상으로서 대중매체인 광고에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 에는 여성의 전유물로 여겨왔던 가전제품에남성의 크로스섹슈얼 경향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식품, 화장품, 음료 등 다양한 품목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사례를 중심으로 TV광고를 살펴본 결과, 과거 전통적인 여성 품목이었던 밥솥, 김치냉장고, 렌지, 가습기 등에 부드럽고 자상한 모습으로, 여성을 세심하게 배려하는 크로스섹슈얼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식품, 커피, 화장품 광고에서도 꽃미남 이미지의 남성 모델이 기존에 여성들의 역할로 여겨왔던 품목에서 성역할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현상은 점차 남녀 성역할의 경계가 줄어들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성들은 부드럽고 자상하며, 다정하게 여성을 배려해주는 남성상을 원하고 있는 것이며, 반면 남성은 내재된 여성성을 외모, 패션뿐만 아니라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실생활에서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he significance and aim of this study consists in finding out how the commercials traditionally regarded for women`s items reflect the recent trend of men`s cross sexual by mainly exploring a wide variety of TV commercial cases. As our society went through various changes including traditional values and gender role by 2000, we came to witness the appearance of sexuality, later continuously ``Metro Sexual`` in 2004, ``Uber Sexual`` in 2005 and ``Cross Sexual`` in 2006, which have been constantly appearing with diverse images of man in a commercial world.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e cross sexual has been remarkably seen in the TV commercial for home appliances, which is traditionally thought to be the exclusive realm of women, while extending into an array of products such as food, cosmetics and beverages.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n TV commercials, the cross sexual showing a sweet, caring image of man has been portrayed in the traditional women`s items like rice cooker, Kimchi refrigerator, range, humidifier. Also in the fields of food, coffee and cosmetics, which most of us used to argue for women`s job, cute male commercial models have seemed to cross the gender role between male and female. This phenomenon is reflecting the fact that the boundary of gender role between male and female is getting narrower and narrower, which means women want a sweet, caring, affectionate image of man who is considerate towards them, while men actually start to express their immanent feminine sensitivity in appearance and fashion as well as to practice it in real life, along with the change of values.

      • KCI등재

        웰빙마케팅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 사례 연구 - 의(依)·식(食)·주(住) TV광고 중심으로 -

        손소영 ( Son So- 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은 산업화된 경제성장과 더불어 삶에 대한 가치추구의 욕구가 더 많아지게 되었다. 이는 삶에 대한 가치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2004년부터 우리 사회·문화적 트랜드로 등장한 “웰빙”이란 개념은 우리 생활 속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웰빙이란 새로운 트랜드는 마케팅 측면으로 발전되었고, 웰빙가전, 웰빙푸드, 웰빙 아파트등으로 우리 생활 속에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잘 먹고, 잘 살고자하는 욕구는 삶의 여유와 행복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부합하게 되었고, 이는 웰빙라이프 연구를 더 활발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사회를 반영하는 광고에도 웰빙은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웰빙마케팅 광고에서 어떻게 표현하는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일까에 대한 의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 되었다. 그에 따른 사례분석을 통해 크리에이티브 전략유형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웰빙 마케팅 광고를 의(依), 식(食), 주(住)광고로 세분화 하였고,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을 7가지로 분류하여,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에 대한 부분을 객관화 하고자 하였다. 광고에 있어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중 한 전략으로 접근하는 것 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전략적 접근이 더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감성적 전략 유형이 더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웰빙마케팅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의 분석을 연구함으로서 향후 새롭게 등장하는 사회적 트랜드를 반영한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에 선행사례가 되길 바라며, 다양하게 변화하는 많은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Many people living in this modern society, benefiting by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have more desire to pursue the values of life. With this as a momentum, a lot of changes have been brought about to the values of life. The concept of `Well-Being,` appeared as a socio-cultural trend, has resulted in a variety of changes in our daily life. This new trend of well-being has developed into a means of marketing and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permeating into our daily life with related products such as Well-Being appliances, well-being food, and well-being apartments. The desire for Well-Being matched up with the modern lifestyle in pursuit of affluence and happiness. Even in the field of advertisement which is known to mirror our lifestyle and society, the concept of well-being has become a topic of vital importance. This investigation started with a question as to what type of creative strategy would be the most effective for Well-Being marketing advertisements. For this reason, creative strategies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types in this paper through the related case study analysis. First, well-being marketing advertisements are divided into three classes including food, clothing, and housing, and then, creative strategies are categorized into seven different types, which this study intends to objectify. While investigating, it was found that approaching with more than one strategy that are mutually complementary was seen more often in advertisements rather than using just one type of approach. It was also revealed that emotional strategy types are very much diversified and are showing a tendency to increase. I hope that this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reative strategy types, applied in well-being marketing advertisements, will be a good precedent for that of new social trends to come in the future, and that it will be of help for further investigation into different types of creative strategies shown in ever-changing advertisements.

      • KCI등재

        시대별 모성역할이미지에 관한 TV광고 내용분석

        손소영 ( Son So-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1 No.-

        본 연구는 TV광고의 모성역할이미지 내용분석 연구로 광고에 나타난 모성역할이미지와 시대별 변화를 살펴보는데 연구 목적과 의의를 두었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4가지 모성역할과 12가지 모성역할이미지 유형을 체계적으로 세분화하여 분류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시된 모성역할이미지 분석을 위해 1997년, 2006년, 2011년을 대표 연도로 선정하여 총 252편의 광고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광고에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모성역할이미지는 7가지 유형이었고, 5가지 유형은 미미하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은 위생·안전형, 건강중시형, 자녀친구형, 교육관심형, 다정다감형, 사랑교감형, 똑똑·합리형 어머니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1997년에는 건강중시형, 교육관심형 어머니가 같은 분포로 나타났고, 2006년에는 위생·안전형이 급격히 증가했고, 건강중시형 어머니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2011년에는 위생·안전형이 지속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자녀친구형 어머니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최근으로 올수록 신체적 양육의 역할보다 정서적 양육의 역할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사회적 인식이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시대별 변화의 양상은 뚜렷이 타나나고 있으며, 사회적 현상과 이슈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현재 우리사회에 나타나는 다양한 모성역할이미지는 일부 제한적으로 고정관념화 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광고가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만 일부 제한적으로 반영되고 있고, 사회적 요구에 의한 모성역할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사회의 다양한 어머니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변화되는 현대적 모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nalyzed the material role images in TV advertisements. The purpose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terial role images in advertisement and their changes in different times. First, this study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proposed 4 material roles and 12 material role images type) through literature reviews. These are first types which classified a variety of maternal roles in modern society beyond existing traditional material roles. For the analysis of such maternal role images, this study selected 1997, 2006 and 2011 as the representative years and classified total 252 advertisements to conduct content analysis on them. As the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7 types of maternal role images which can be identified significantly in advertisements, whereas 5 types are very weak or rare.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types include hygiene·safety, heath-oriented, friend-to-child, affectionate-warm, love empathy and smart·reasonable types in respective order. In addition, health-oriented and educational concern type of mothers showed the same distribution in 1997. In 2006, hygiene·safety type increased rapidly, and health-oriented type appeared second most frequently. In 2011, hygiene·safety type appeared frequently and persistently, and friend-to-child type tended to increase. These result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of emotional nurturing than physical nurturing is more emphasized in recent years, and the social awareness is also changed. Thus, this study found remarkable pattern in change across different times, which may be considered as the consequence of reflecting social phenomena and issues. Some of the various maternal role images in our current society are stereotyped in a limited range. This is because advertisement reflects the reality in a limited way, and maternal role images appear focusing on those demanded by society.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y recognizes various material roles and their importance and study modern maternity which keeps changing.

      • KCI등재
      • KCI등재

        광고모델로서 TV광고에 활용된 캐릭터모델에 관한 연구

        손소영 ( Son So-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본 연구는 광고모델로서 TV광고에 활용된 캐릭터 모델에 관한 연구이다. 광고에 나타난 캐릭터 모델의 현황과 유형, 특징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였고, 향후 캐릭터 모델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광고 모델의 역할과 캐릭터 모델에 대한 개념, TV광고에 나타난 캐릭터 모델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3년에 걸친 공중파 TV광고 총 169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광고 품목별, 캐릭터 모델 유형별, 캐릭터 모델의 유형별 특징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캐릭터 모델이 많이 나타난 광고 품목은 금융·보험, 전기·전자, 서비스·유통·레저, 식품·제과 순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밝힌 저관여 제품군에서 고관여 제품군으로 품목이 다양화되고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캐릭터 모델의 유형별 분류에서는 영화·게임·만화의 주인공 캐릭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이는 영화, 게임, 만화 등의 문화컨텐츠 산업의 발달에 따라 광고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동물 캐릭터가 많이 나타났고, 동물 캐릭터는 여전히 친근한 이미지로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광고모델로서 캐릭터 모델의 특징은 캐릭터의 성격부여와 의인화가 구체적·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토리가 담겨져 있는 창작 캐릭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메리츠화재의 `걱정인형`, 에쓰오일의 `구도일`, 금호타이어의 `또로`, 우리투자증권의 `옥토`, 대우건설의 `정대우 과장`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제품 속성에 맞춰 전략적으로 차별화된 캐릭터를 기획·제작하여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 모델은 독창성, 차별성, 상징성의 강점을 가지며, 광고를 통해 친근한 이미지로 호감을 갖게 하는 광고모델로서 역할을 담당하며, 크리에이티브 표현전략에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 models used in TV commercial films as a CF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by the current status, type and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models used in TV commercial fil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establish a creative strategy for character models used in a variety of areas in the future.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roles of CF model, concept of character model, and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model in TV commercial films through theoretical review. This study sorted out total 169 commercial films that had appeared in the public TV commercial films over 3 years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2. With these films, this study presented the cases by the types of commercial film and character mod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aracter model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mercial films in which character model frequently appears include financing/insurance,electricity/electronics, service/retails/leisure and food/bakery in respective order. As the previous sugges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items for commercial films are expanded from low-involvement products to high-involvement products. In addition, in classification of character model types, the most frequent characters include the main-role characters of movie, game and animation, and the next frequent character was animal characters suggesting that animal character is still widely used as a familiar charac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models as a CF model include specific/systematic construction of character personality assignment and personification as well as the increasing tendency in the newly-created characters with stories. The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Worrying Doll" of Meritz Insurance, "Godoil" of S Oil, "Toro" of Kumho Tire, "Octo" of Woori Investment & Securities and "Manager Jeong Daewoo" of Daewoo Construction Co. They plan, create and present differentiated new characters strategically. These character models has the strengths of originality, differentiation and symbolic feature, plays the role of providing familiarity as a CF model, and significantly used in the creative expression strategy.

      • KCI등재

        여성의 성(性)역할 관점에서 본 여성역할이미지에 관한 연구-TV광고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손소영 ( Son So-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으로 여성에게 규정되어지는 성(gender)역할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이 어떻게 규정되어지고 광고에 나타나는지, TV광고의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역할이미지에 대해 살펴본 연구이다. 여성의 성역할 분류에서는 전통적인 역할이 76.1%로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났고, 그 중 아름다움 지향적 역할이 48.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가정내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전통적인 역할은 15.6%로 적게 나타났으며, 그 중 자아중심적 역할이 사회적 역할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여성역할이미지 분류에서는 `젊고 아름다운 여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주부로서 여성`, `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 `취미·레저·스포츠를 즐기는 여성`, `어머니로서 여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전통적인 여성 역할에 고정관념화 경향이 뚜렷히 나타남을 보여주는 것이며, 한편으론, 여성들의 자아중심적 역할을 비롯하여, 취미·레저·스포츠를 즐기는 역할 등으로 다양화된 여성의 역할이 광고에 나타나는 것이다. 여성의 성역할 관점에서 우리사회 내에서 여성에게 규정되어지는 성역할은 전통적인 역할(아름다움 지향적 여성, 가정내 여성)이며, `여성은 아름다워야 한다`는 명확한 고정관념이 나타나고 있다.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여성들의 다양한 역할변화에도 불구하고, 광고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역할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여성의 성역할 규정에 있어, 사회적 역할보다는 가정내 역할을 필요로 하고, 자아중심적 역할보다는 아름다운 여성 역할이 더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아름다움 지향적 역할은 여성 스스로도 선망하는 이상적 역할이므로, 광고에서 계속해서 많이 나타날 것으로 유추되어 진다. This study focusing on the gender role imposed on females from the sociocultural point of view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out how to define a female`s role from the sociocultural aspect and how the role has been described centering on TV commercial cases. A traditional role in the category of gender role dominantly accounted for 76.1%, among which a beauty-oriented role made up 48.7%, followed by a role in the family. On the other hand, a non-traditional role was only 15.6%, where an ego-centered role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a social one. In the female role image, `a young and beautiful female` came first, with `a female as a homemaker`, `a female pursuing external beauty`, `a female enjoying activities such as hobbies, leisure and sports`, and `a female as a mother` following in ord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mage of a traditional female role is getting fixed distinctively, which also means a wide variety of a female`s roles appearing on TV commercials including the female`s ego-centered role and the role of enjoying hobbies, leisure activities and sports. From a female`s gender role point of view, our society requires women to have a traditional role (that is, a female pursuing beauty and taking care of the family at home), sending us a clear message that `a woman has to be beautiful`. In the face of rapid changes in the modern society and a variety of roles given to females, we can still see many traditional female roles in advertisements. This can be rendered in this way that the female gender role entrenched in our community puts more importance on a domestic role rather than a social one, while the role of a beautiful female is demanded more than an ego-centered role. In addition, the beauty-oriented role of women seems to be seen more often in TV commercials in the future, as a woman herself is envious of the image.

      • KCI등재

        기업이미지 광고의 특성 비교분석 연구 - 삼성, LG, SK TV광고를 중심으로 -

        손소영 ( Son So- 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

        현대사회에서 기업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게 되며, 다양한 매체와 세분화된 광고전략으로 소비자에 제품과 서비스, 대내외적인 활동을 통해 기업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기업은 홍보와 PR, CI와 광고 등으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게 되고, 기업은 기업광고를 통해 기업에 대한 호의적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기업광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의식 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기업의 제품광고는 판매를 통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지만, 기업광고는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에 대한 신뢰와 호의적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목적을 가지며, 기업의 무형 자산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이미지 광고의 현황을 분석해보고, 그 중 광고 편수가 많은 삼성, LG, SK기업이미지 광고를 중심으로 기호학적 의미를 비교분석 연구 하였다. 최근 세계적인 경제적 어려움은 기업이미지 광고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고, 사회 전반적으로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내일의 희망을 갖고자 하는 의미의 광고가 많이 나타났다. 삼성은 기업의 반성과 내일의 기대에 대한 다짐과 각오에 대한 광고를 전개하였고, SK는 내일의 행복을 위한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 의미를 광고로 전개하였다. LG는 `사랑해요 LG` Song과 함께 명화시리즈 광고로 생활의 가치를 예술적 가치로 만들고자 하는 기업의 의지를 광고에 표현하였다. 삼성은 내일에 대한 `기대`, LG는 `사랑`, SK는 고객의 `행복`을 핵심 내용으로 기업이미지 광고의 주제로 삼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철학과 비젼, 고객에 대한 기업의 약속과 신뢰를 함께 전달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기업은 기업이미지 광고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갖게 하고, 사회적 윤리적 책임을 가진 기업으로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기업이미지 광고의 의미 분석 비교를 통해, 향후 새롭게 전개될 기업이미지 광고 전략에 도움이 되는 선행사례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 다양한 측면에서의 기업이미지 광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In modern society, corporations perform various kinds of activities for communication and convey their messages to consumers through their products and services making the most of multiple media and fragmented advertising strategies, an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activities. Corporations use promotion and PR, CI and advertisements for communication, with which they intend to build up favorable images on themselves. The corporate image ad campaign started ou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a sense of ethics. Products ads of corporations primarily aim at profit seeking, while corporate ads intend to establish and accumulate trust and favorable images in the long term, which are considered as intangible asset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rporate image ads and examine semiological signification in a comparative and analytic way, mainly focusing on those of Samsung, LG, SK, who hold greater part of all image ads. As a consequence of the recent global economic recession, which affected even the messages of image ads, the appearance of ads that are attempting to inspire hopes for tomorrow despite economical difficulties, prevails like a phenomenon. Samsung`s ads were about self-reflection, promise and preparation for tomorrow, and SK carried positive and future-oriented messages for tomorrow`s happiness. LG, through its notable film series ads along with `I Love you, LG` song, expressed its will to transform the value of living into that of art. Samsung making its theme of image ads `expectation` about future, LG `love`, SK `happiness` of customers, it was not difficult to find out that through those themes they all attempted to convey the philosophy and the vision of each corporation, and their promise to customers and trust at the same time. As mentioned above, it was seen that companies are trying to persuade the public to develop an amicable attitude toward them through corporate image ad campaigns and that they are performing their roles as companies with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too. I hope this comparative study on signification analysis would be of help for designing new strategies of corporate image ads as a precedent case, and look forward to seeing further studies on corporate image ads examined from diverse point of vi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