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메인 시험기법의 유용성에 관한 재고

        손세창,서창렬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B

        도메인 시험기법은 모든 데이터를 숫자로 간주하고 프로그램들이 숫자들을 처리하는 수학적 함수로 모델링하여, 프로그램내의 잘못된 조건문 사용을 발견하고자 하는 시험기법이다. 이 시험기법은 프로그램의 입력공간은 잘못된 조건문에 의해 잘못 분할되고 이러한 입력공간 분할 에러공간을 분할하는 경계 부근을 집중적으로 시험함으로써 발견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기본으로 한다. 본 고에서는 도메인 시험기법의 중심개념인 조건문 해석과 입력공간 분할을 소개하고 구조적 단위시험 방법론으로서의 도메인 시험기법의 유용성을 고찰한다.

      • KCI등재후보

        화학적·광학적·분광학적 방법을 이용한 광주 도심지역 여름철 초미세먼지의 특성

        손세창,박태언,박승식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21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7 No.4

        Daily PM2.5 was collected during summer period in 2020 in Gwangju to investigate its chemical and light absorption properties. In addition, real-time light absorption coefficients were observed using a dual-spot 7-wavelength aethalometer. During the study period, SO42- wa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to PM2.5, accounting for on average 33% (10-64%) of PM2.5. The chemical form of SO42- was appeared to be combination of 70% (NH4)2SO4 and 30% NH4HSO4. Concentration-weighted trajectory (CWT) analysis indicated that SO42- particles were dominated by local pollution, rather than regional transport from China. A combination of aethalometer-based and water-extracted brown carbon (BrC) absorption indicated that light absorption of BrC due to aerosol particles was 1.6 times higher than that due to water-soluble BrC, but the opposite result was found in absorption Ångström exponent (AAE) values. Lower AAE value by aerosol BrC particles was due to the light absorption of aerosol BrC by both water-soluble and insoluble organic aerosols. The BrC light absorption was also influenced by both primary sources (e.g., traffic and biomass burning emissions) and secondary organic aerosol formation. Finally the ATR-FTIR analysis confirmed the presence of NH4+, C-H groups, SO42-, and HSO42-. The presence of HSO42- supports the result of the estimated composition ratio of inorganic sulfate ((NH4)2SO4) and bisulfate (NH4HSO4).

      • KCI등재

        광주지역 고령친화산업 현황 및 발전방안

        손세창,장현용,김기선 한국노년학연구회 2011 한국 노년학연구 Vol.20 No.-

        인구 고령화는 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의료비 상승으로 이어 질 뿐만 아니라 노동 인력의 부족을 초래하여 경제적으로나 사회적 으로 심각한 손실을 초래한다. 한편으로 고령화는 새로운 요구가 발 생할 뿐만 아니라 고령화 사회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계층들을 대상으로 하는 또 다른 시장을 형성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 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기업들이 어떻게 고령화에 대응해야 하 는지를 산업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고령친화산업은 수급의 관계가 수익자 부담을 기초로 하는 시장경제의 원리를 따른다는 측 면에서 노인복지와 차별화될 수 있지만, 노인의 생존권이나 복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산업이라는 측면에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고령사회라는 위협 적인 요소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광주지역의 노력이 무엇인지를 살 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 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섬진강수계 지류/지천의 수질 특성

        손세창,김대훈,이재춘,이재영,이기완,김우중,정재운 한국환경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8 No.6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onitor the BOD, COD and TOC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90 tributaries in the Sumjin river basin. The priority management tributaries for BOD, COD and TOC improvement were Galdamcheon, Jinaecheon, Eoeuncheon, Odongcheon, Wonsancheon, Gwangchicheon, Songnaecheon, Sujicheon, Onsucheon, Mogsadongcheon, Heungdaecheon, Sanjeongcheon. Also, the BOD satisfies the target water quality standards in all the watershed, but COD and TOC have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standards in many watersh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D and TOC of the tributarie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manage the non-biodegradable organics in the Sumjin river basin. Meanwhile,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asonal BOD, COD, and TOC distribution of tributaries in the Sumjin river basin. As a result, BOD, COD, and TOC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p value< 0.05) by season. In particular,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BOD, COD, and TOC were high in the early stages of farming (April to June). This is probably due to agricultural activities such as tillage and fertilization. Therefor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agriculture is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of Sumjin River from April to June. 본 연구는 섬진강수계 90개 지류·지천의 BOD, COD, TOC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BOD, COD, TOC 관리를 위한 우선관리 하천은 갈담천 지내천, 어은천, 오동천, 원산천, 광치천, 송내천, 수지천, 온수천, 목사동천, 흥대천, 산정천으로 나타났다. 또한, BOD는 모든 중권역에서 목표수질 기준을 만족하였지만, COD와 TOC는 목표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중권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COD와 TOC관리를 위해서는 섬진강수계 난분해성 유기물질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섬진강 수계 지류·지천의 시기별 BOD, COD, TOC 분포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BOD, COD, TOC는 시기별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농초기(4~6월)에 BOD, COD, TOC의 평균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운, 시비 등의 영농활동에 의한 영향인 것으로 판단되며, 4월~6월의 섬진강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도시지역 PM2.5의 HULIS 화학 특성 및 발생 과정 조사

        손세창,배민석,박승식 한국대기환경학회 2015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31 No.3

        Little information on HUmic-Like Substances (HULIS) in ambient particulate matter has been reported yet in Korea. HULIS makes up a significant fraction of the water-soluble organic mass in the atmospheric aerosols and influence their water uptake properties. In this study 24-hr PM2.5 samples were collected between December 2013 and October 2014 at an urban site in Gwangju and analyzed for organic carbon (OC), elemental carbon (EC), watersoluble OC (WSOC), HULIS, and ionic species, to investigate possible sources and formation processes of HULIS. HULIS was separated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method and quantified by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 During the study period, HULIS concentration ranged from 0.19 to 5.65 μgC/m3 with an average of 1.83±1.22 μgC/m3, accounting for on average 45% of the WSOC (12~ 73%), with higher in cold season than in warm season. Strong correlation of WSOC with HULIS (R2=0.91) indicates their similar chemical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HULIS and a variety of chemical species (EC, K+, NO3 -, SO4 2-, and oxalate), it was postulated that HULIS observed during summer and winter were likely attributed to secondary formation and primary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BB) and traffics. Stronger correlation of HULIS with K+, which is a BB tracer, in winter (R2=0.81) than in summer (R2=0.66), suggests mor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BB emissions in winter to the observed HULI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BB emissions may also have an influence on the HULIS in summer, but further study using levoglucosan that is a unique organic marker of BB emissions is required during summer. Higher correlation between HULIS and oxalate, which is mainly formed through cloud processing and/or photochemical oxidation processes, was found in the summer (R2=0.76) than in the winter (R2=0.63), reflecting a high fraction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in the summer.

      • 광주지역 PM<SUB>2.5</SUB>의 화학적 및 산화잠재력 특성

        손세창,박승식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도심지역에서 발생한 PM2.5의 화학적, 분광학적 및 산화잠재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PM2.5의 시료는 전남대학교 한 3층 건물 옥상에서 20년 8월(여름), 21년 1월~2월(겨울), 그리고 4월(봄)에 채취하였으며 탄소성분, 이온성분 및 산화잠재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ATR-FTIR을 이용하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PM2.5 평균 농도는 겨울, 봄, 여름 순으로 높았으며 각각 20.8±11.0, 17.7±8.4, 16.0±8.5이었다. 여름, 겨울 및 봄에 2차 이온 성분들이 PM2.5에서 차지하는 기여율은 각가 47.8%, 52.6%, 33.9%이었으며 OM (organic matter)의 기여율은 39.8%, 38.9%, 34.9%이었다. 2차 이온 성분들 중에서 SO₄<SUP>2-</SUP>는 여름에 기여율이 33.2%, NO₃-의 경우 겨울과 봄에 각각 25.5%, 16.3%로 가장 높았다. OM의 기여율 차이는 계절에 따라서 크지 않았으나, 2차 이온성분들의 경우 계절에 따른 기여율의 변화를 보였다. 산화잠재력의 평균값은 PM2.5 농도와 마찬가지로 겨울, 봄, 여름 순으로 높았고, 각각 1.8±0.6, 1.7±0.5, 1.5±0.5 nmol/min/m³으로 나타났다. 산화잠재력과 PM2.5 농도 사이의 상관계수(r)는 계절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으나, 높은 상관성(0.63-0.76)을 보여주었다. 이는 PM2.5와 산화잠재력 사이에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계절별 산화잠재력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탄소성분 및 이온성분들과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계절에서 상관계수(r)는 OC 0.81~0.91, EC 0.65~0.92, WSOC, 0.84~0.91, K+ 0.81~0.85, NH₄+ 0.61~0.78, SO₄<SUP>2-</SUP> 0.50~0.75이었고, NO₃-는 겨울 0.79, 봄 0.55이었으며, oxalate의 경우 여름 0.85, 겨울 0.59로 나타났다. 또한, Ca<SUP>2+</SUP>는 봄에만 좋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상관계수(r)는 0.55이었다. 결론적으로 광주지역 PM2.5의 산화잠재력은 자동차 배기가스와 바이오매스 연소에 의한 1차 배출과 대기 중 2차 생성의 영향을 모두 받는 것으로 추정되며, 봄의 경우 토양 입자의 영향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