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외 규제기관의 의약품 임상시험 비대면 실태조사 운영 현황 비교

        손세린,김송희,곽미송,이지연,김상희,조혜경,박성민,장진원,신주영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 2021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지 Vol.9 No.2

        GCP Inspection is carried out to improve the quality of clinical trials, and to strengthen the safety and protection of the rights of clinical trial subjects. Recently, On-site GCP inspection has become difficult due to COVID-19 prolongation. This phenomenon has increased the need for remote/virtual GCP Inspections to strengthen the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clinical trial management. In this paper, current status of global remote/virtual GCP Inspections is investigated through several emergency guidelines, recently issued by foreign regulatory agencies such as the US FDA, European EMA, and Japanese PMDA. Considerations for domestic introduction derived from these guidelines are like: (1) Records assessment of US FDA (2) Feasibility Assessment of the European EMA (3) overall procedure of Japan PMDA guideline. From a legal point of view, the domestic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is similar to the GDPR of Europe, and it means that conducting rSDV for medical institutions is difficult. Therefore, obtaining consent for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clinical trial subjects and finding rSDV method considering security are essential to conduct remote/virtual inspections. Remote/virtual GCP Inspections guidelines, which are in harmony with global regulatory trends, can be used as standards for examining high-quality clinical trials, regulatory guidelines for drug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springboard for document management of RWD.

      • KCI등재

        서울시 여성운전자 교통사고의 시공간 특성 분석

        손세린,강영옥 한국지도학회 2017 한국지도학회지 Vol.17 No.2

        최근 여성 운전자의 수가 점차 늘어감에 따라 여성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건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지난 5년 동안 국내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감소해왔으나 여성운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오히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서울시 여성운전자 교통사고발생 지점을 시공간적으로 시각화하고, 분석하여 여성운전자 교통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 발생 지점의 경위도좌표와 발생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2010년도 서울시 여성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여성운전자 교통사고의 집중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커널밀도분석, 핫스팟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시공간 특성분석을 위해 시간대별 핫스팟 분석, 스페이스 타임 큐브 분석, 그리고 발생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운전자 교통사고 발생의 시공간적 집중 지역을 분석하고 요약한 뒤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s the number of female drivers has rece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of female drivers is also increasing. Domestic traffic accidents have declined over the past five years, but traffic accidents by female drivers are increasing steadily. It is necessary to take care and measures for traffic accidents of female driv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women drivers to avoid traffic accidents by visualizing and analyzing the traffic accident spots of female drivers in Seou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raffic accident data of 2010 Seoul which includes the latitude and logitude information, and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accident point. In order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of traffic accidents in female drivers, kernel density analysis and hotspot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hotspot analysis after time flattening, space time cube analysis and emerging hotspot analysis were performed. Finally, we analyze and summarize the spatial and temporal concentration areas of traffic accidents of female drivers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m.

      • KCI등재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제안

        손세린,강영옥,Son, Se-Rin,Kang, Youngok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8 지적과 국토정보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pen source GIS software business model for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open source GIS software industry. In this study, we categorized the types of open source software business models and developed an open source software business strategy suitable for GIS companies in Korea. To propose a business model, we applied the business model canvas which is often used in the area of business studies to analyze new business models. We tried to develop the open source GIS business model through both interviews and case studies with Korean open source GIS software companies. We propose three different types of open source GIS software business models such as distributor model, producer model, and 3rd party service provider model as follows: first, the companies which belong to distributor model can carry out business by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s in the market of open source software. Second, the companies which belong to producer model can sell their products to the global market as well as the domestic market. Lastly, given the growing interest in domestic open source software, the number of third-party service providers is likely to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nies which belong to the third party service provider model will be able to develop various business models by securing the techn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을 유형화하여 정리하고 공간정보 분야에서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한 후 국내 공간정보 기업에 적합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전략을 제안하였다. 비즈니스 모델 제안은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들과의 인터뷰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방법론은 경영학에서 활용하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였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의 성격에 따라 달리하였는데, 배포자 유형 기업은 앞으로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통한 비즈니스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생산자 유형 기업은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으로의 진출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의 증가 속도로 볼 때 서드파티 서비스 공급기업의 수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드파티 서비스 공급자 기업은 기술력 확보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와 시공간 시각화를 통한 서울시 교통사고 심각도 요인 분석

        강영옥,손세린,조나혜 한국국토정보공사 2017 지적과 국토정보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and to visualiz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in Seoul. To do this, we collected the traffic accident data that occurred in Seoul for four years from 2012 to 2015, and classified as slight, serious, and death traffic acciden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The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was performed by kernel density analysis, hotspot analysis, space time cube analysis, and Emerging HotSpot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were analyzed using decision tree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raffic accidents in Seoul are more frequent in suburbs than in central areas. Especially, traffic accidents concentrated in some commercial and entertainment areas in Seocho and Gangnam, and the traffic accidents were more and more intense over time. In the case of death traffic acci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tspot areas in Yeongdeungpo-gu, Guro-gu, Jongno-gu, Jung-gu and Seongbuk. However, hotspots of death traffic accidents by time zone resulted in different patterns. In terms of traffic accident severity, the type of accid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type of the road, the type of the vehicle, the time of the traffic accident, and the type of the violation of the regulations were ranked in order of importance. Regarding decision rules that cause serious traffic accidents, in case of van or truck,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a serious traffic accident will occur at a place where the width of the road is wide and the vehicle speed is high. In case of bicycle, car, motorcycle or the others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a serious traffic accident will occur under the same circumstances in the dawn time. 본 연구는 교통사고 가운데 인적피해를 동반한 교통사고에 대해 교통사고의 시공간적 특성과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5년 까지 4년간 서울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데이터 가운데 인적사고가 있는 데이터를 교통사고 심각도에 따라 경상, 중상, 사망 교통사고로 분류하고, 교통사고의 시공간특성분석은 커널분석, 핫스팟분석, 스페이스타임큐브분석, EHSA(Emerging HotSpot Analysis)를 수행하였으며,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은 데이터마이닝 기법중의 하나인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 교통사고는 도심부 보다는 외곽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한강 이남의 상업 활동이 많은 곳에서 교통사고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서초와 강남의 일부 상업 및 유흥지역을 중심으로 교통사고 집중지역이 나타나며 교통사고 다발지역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사망교통사고의 경우 지역적으로는 영등포구, 구로구, 종로구, 중구, 성북구 일부지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핫스팟지역이 나타나지만 시간대별로 구분해보면 오후 퇴근시간 부터 새벽까지 일부 구간에서 핫스팟이 나타나며 시간 고려 없이 분석된 결과와는 상이한 패턴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서울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사고유형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로의 종류, 차량의 종류, 교통사고 발생 시간, 법규위반 종류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교통사고 가운데 심각한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는 차대 사람이나 차량단독으로 사고가 나는 경우 고속도로나 특별광역시도와 같이 폭원이 넓고 차량속도가 높은 곳에서 승합차나 화물차에서 중상의 교통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며, 동일한 상황에서 승합차나 화물차가 아닌 승용차, 자전거, 이륜차 등의 경우에는 새벽시간에 심각한 교통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 및 국내 관련기업의 비즈니스 활성화 전략

        강영옥,손세린 한국지도학회 2016 한국지도학회지 Vol.16 No.3

        최근 전 세계적으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도입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공간정보 분야에도 유사하여, 전 세계적으로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최근 들어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 공간정보산업 사업체 중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의 수는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오픈소스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의 발달도 미약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어떠한 비즈니스 모델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의 오픈소스 활용현황과 비즈니스를 분석한 후 기업의 유형별로 어떠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이 가능한 지를 전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나아가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Open Source GIS software had been introduced in various areas, as its interest and application continue to increase worldwide. In the same token, the interest and application of Open Source GIS software also keep expanding in diverse fields not only in the world and but also in Korea. However, in Korea, there are only a few companies related to Open Source GIS software among the companies that run geospatial information related business. In addition, it is very weak in the development of business model which applies Open Source to actual fields in Korea.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business models are feasible in geospatial information related business in Korea and then to analyze how domestic GIS software companies have applied the Open Source to their business, after performing the preceding researches of business model for Open Source software. We think that this study is very valuable not only to vitalize the ecosystem of Open Source GIS software industry in Korea, but also to initiate new businesses of domestic GIS software companies.

      • KCI등재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도입 가이드라인 연구

        강영옥,손세린 한국지도학회 2017 한국지도학회지 Vol.17 No.3

        Recently, with the growth of open source software based on openness and innova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open source software in the field of GIS.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the United Nations, the European Union and France have introduced open source GIS software, which has been recognized for its performance, reliability and security. In this way, the introduction of open source GIS software in the GIS software market, which was previously proprietary to commercial software, is increasing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but there are risk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open source software. Therefore, for the introduction of successful open source software, introduction guidelines should be systematically analyzed to introduce the existing open source spatial information software adoption cases and to deal with step-by-step consid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introduction of open source spatial GIS software in the public sector through case study of open source GIS software and research analysis of open source GIS software adoption guideline. 최근 개방성과 혁신성을 기반으로 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성장에 따라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미국 국방성, UN(United Nations), EU(European Union), 프랑스 등에서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가도입되어 그 성능과 신뢰성, 보안성 등을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기존에 상용 소프트웨어가 독점하던 공간정보 시장에서 오픈소스공간정보 소프트웨어의 도입 사례는 국내외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도입에 따르는 위험도 발생하고 있으며도입 실패사례도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도입을 위해 기존의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도입 사례에대한 체계적인 분석 및 도입 단계별 고려사항을 다루는 도입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도입가이드라인을 사전단계, 도입단계, 사후단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도입 가이드라인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도입 사례 및 오픈소스 도입 가이드라인 연구 분석을 통해 공공부문의 오픈소스 공간정보소프트웨어 도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SpaceTimeCube와 STKDE(SpaceTimeKernelDensityEstimation)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교통사고의 시공간특성 분석

        조나혜(Nahye Cho),강영옥(Young Ok Kang),손세린(Serin S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0

        최근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 운전자 및 노인 보행자의 교통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 교통사고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 교통사고에 대한 연구들 대부분이 노인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일반적인 특성, 원인과 대책에 대한 연구들이다. 최근에는 교통사고 밀집 지역이나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로 시각화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어떠한 지점에서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는지, 보다 더 직관적으로 교통사고가 많고 적은 지역을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노인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노인교통사고의 시공간적 특징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노인교통사고의 예방과 대책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