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정은 능동적일 수 있는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파테(pathē) 개념에 대한 인식론적 분석을 통해

        손병석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3 No.2

        In Aristotle’s works, pathē have a wide variety of meanings. This article concerns pathē as emotions. The problem is concerned with the involuntariness and irrationality of emotions that come from its passivity. In this article I emphasize that emotions have a active role in our judgement and action, so that it could contribute human being’s happi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I examine emotions’ epistemological position in comparison with sensation, belief and phantasia. I argue that for Aristotle emotions belong to the faculty of imagination(phantasia), not belief(doxa) or senasation, and are best characterized as pleasurable or painful images, which are inherently evaluative, non-propositional cognitive appraisals. In conclusion I demonstrate an emotion’s active role in relation to judgement(krisis) and virtuous action. 아리스토텔레스에서 pathē라는 말은 여러 작품들 속에서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이 글에서 필자가 관심을 갖는 것은 감정의 의미로서의 파테 개념이다. 문제는 파테의 수동적인 의미에서 연유하는 감정의 비자발성과 이성의 방해요소라는 부정적 평가이다. 이 글에서 나는 감정이 우리의 사고와 행동, 더 나아가 인간의 행복한 삶에 능동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감정의 인식론적 위상과 관련하여 감정이 감각과 의견(doxa) 그리고 판타시아(phantasia)와 갖는 관계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나는 감정이 믿음이나 감각보다는 판타시아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감정을 판타시아적 관점에서 보는 것이 기본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 형상론(hylomorphism)적 관점에 부합할 뿐 만 아니라, 감정의 능동적 역할까지 담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감정이 쾌락과 고통과 갖는 관련성에 관한 논의를 통해 보다 분명해진다. 결론부분에선 판단(krisis)과 덕(aretē) 행위에서 감정이 수행하는 능동적 역할이 제시된다.

      • KCI등재

        A Case of Histiocytic Sarcoma Presenting with Primary Bone Marrow Involvement

        손병석,김탁,김정은,배은신,박찬정,허주령,이상오 대한의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5 No.2

        Histiocytic sarcoma (HS) is a very rare neoplasm that often shows an aggressive clinical course and systemic symptoms, such as fever, weight loss, adenopathy,hepatosplenomegaly and pancytopenia. It may present as localized or disseminated disease. We describe here a 63-yr-old male who manifested systemic symptoms,including fever, weight loss and generalized weakness. Abdominal and chest computed tomography failed to show specific findings, but there was suspicion of multiple bony changes at the lumbar spine. Fusion whole 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bone scan and lumbar spi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multiple bone lesions, suggesting a malignancy involving the bone marrow (BM). Several BM and bone biopsies were inconclusive for diagnosis. Necropsy showed replacement of the BM by a diffuse proliferation of neoplastic cells with markedly increased cellularity (95%). The neoplastic cells were positive for lysozyme and CD68, but negative for T- and B-cell lineage markers, and megakaryocytic, epithelial,muscular and melanocytic markers. Morphologic findings also distinguished it from other dendritic cell neoplasms.

      • KCI등재

        공적주의(功績主義) 정의론과 최선의 국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aretē)과 운(tychē) 개념을 중심으로

        손병석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7 No.4

        분배적 정의의 관점에서 공적이란 개념은 평등이나 소유 또는 공리와 같은 개념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득력 있는 정의론의 유형으로 평가받지 못해왔다. 이것은 특히 공적(desert) 이란 개념 자체의 애매함과 더불어 그것의 현실적 적용에 있어 과도한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분배의 기준이 되기에 적절치 않다는 비판에서 연유한다. 본 글은 이러한 문제 상황을 염두에 두고 아리스토텔레스의 공적주의 정의론이, 오늘날 재평가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정의론이 될 수 있는지를 그의 이상국가 또는 최선 국가론의 관점에서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공적 개념에 대한 롤즈(J.Rawls)의 회의주의적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공적개념이 분배적 정의의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그의 ‘피리비유’를 통해 살펴보고, 이어서 공적의 근거가 되는 덕(aretē) 개념과 운(tychē, luck) 개념의 상관성을 살펴본다. 그래서 덕의 운과의 관련성이 분배적 정의의 기준으로 제시되는 공적 개념을 무화(無化)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간주될 수 없음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최선의 국가에서 모든 시민들의 덕 교육을 위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교육(public education)의 강조는 사회, 정치적인 운의 변수를 중립화시킴으로써 공적발휘를 위한 공평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음을 보인다. Compared to other distributive criteria, such as equality, entitlement, and utility, desert has not been taken seriously as a distributive criterion. This criticisms against desert come from the impracticability of its measure and the burden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article, however, I argue that the conception of desert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a distributive theory, especially based on Aristotle’s view on desert from the perspective of his best state.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I examine critically Rawls’ sceptical view on desert who is often thought to be the primary opponent of desert. Because Rawls believes that desert is the result of luck, such as favorable natural genes and circumstances. Next, against this kind of objections, I try to defend the desert as distributive criterion, by investigating Aristotle’s view of desert especially focusing on his ‘flute analogy’. Then I propose that the relation between virtue and luck does not annihilate or weaken desert bases. Lastly, I show that Aristotle’s emphasis on the public education neutralizes the effects of luck, as public education contributes the equal environment for the full activation of citizens’ desert.

      • KCI등재

        세네카를 통해 본 감정론의 도덕 심리학적 고찰: <마르키아에 대한 위로>에 나타난 ‘슬픔’의 감정을 중심으로

        손병석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3 No.4

        This paper illuminates Seneca’s view of emotion theory in relation to grief(aegritude) from the perspective of a moral psychology. By analyzing to Marcia on Consolation, I aim to achieve two objects. The one is to investigate Seneca’s understanding of grief and the meaning of human moral progress. Especially I explore how Seneca’s persuasive method for combating grief could make the moral progress between the fool and the wise possible. To do this work, I pay attention to Seneca’s use of exempla and the Stoic view of the death. The other aim is to illuminate that Seneca’s consolatory method on grief is not considered as eclectic one but the Stoic goal of apatheia. For this examination, I inquire a Stoic concern about human beings’ common circumstances and the knowledge of the logos of universe or the nature’s providence and their post mortem existence. 이 글은 세네카의 『마르키아에 대한 위로』(Ad Marciam de consolatione)에 나타난 “슬픔”(aegritude)에 대한 감정론을 도덕 심리학적 관점에서 조명한다. 크게 두 가지 목표를 갖고 『마르키아에 대한 위로』를 분석한다. 하나는 세네카가 생각하는 슬픔에 대한 이해와 슬픔의 극복을 통해 제시되는 인간의 도덕적 진보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세네카가 슬픔이라는 감정의 전환을 위한 설득방식이 어떻게 현자와 바보사이의 도덕적 진보(profectus)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엑셈플라(exempla), 즉 예들을 통한 위로방식과 죽음에 대한 스토아 철학의 관점에 주목한다. 다른 하나는 『마르키아에 대한 위로』에서의 세네카의 슬픔의 극복을 위한 위로 내지 치료 방식이 감정의 순화(metriopatheia)와 같은 절충주의적인 방식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스토아적인 아파테이아(apatheia)적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네카가 제시하는 인간의 공통된 실존조건과 자연법칙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그리고 죽음이후의 세계에 대한 스토아적 설명을 검토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