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당 대의원제도 개혁사에서 본 2018년 수퍼대의원 제도의 개혁: 2016년∼2018년 개혁의 내용, 원인, 그리고 함의

        손병권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8 현대정치연구 Vol.11 No.3

        The Democratic Party's superdelegate reform began to proceed beginning with the 2016 National Convention. Through the resolution of the Rules Standing Committee at the National Convention, the Sanders's and Clinton’s campaigns agreed to form the Unity Reform Commission, and then the Rules and Bylaw Committee amended the reform proposal made by the Unity and Reform Commission, another compromise which was finally ratified by the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The whole process of reform was made possible both by the grassroots' long-time anger over the undemocratic nature of the superdelegate system and by the practical compromise between the Clinton's and Sanders's campaigns. 수퍼대의원 제도는 2016년 민주당 전당대회를 통해 개혁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샌더스측과 클린턴측의 타협을 통해서 통합개혁위원회가 만들어지고, 이 위원회의 개혁안을 규칙·규정위원회가 다시 수정하여 개혁안을 제시한 후, 이를 민주당 전국위원회가 표결로 채택하면서 개혁안이 성사되었다. 이러한 수퍼대의원 제도개혁은 이 제도의 비민주성에 대한 풀뿌리 유권자의 불만이 누적되어 온 역사적 배경 속에서 태동하여, 샌더스 진영의 개혁요구가 지속적으로 개진되어 나오고 이를 클린턴 진영이 수용하면서 성사될 수 있었다.

      • KCI등재

        다수당에 의한 미국 하원 규칙위원회의 장악 : 민주당에 의한 1961년 규칙위원회 구성원 확대에 관한 연구

        손병권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1998 국제지역연구 Vol.7 No.3

        본 논문은 1961년도 제 87대 의회에서 다수당인 민주당에 의해 실행된 규칙위원회의 구성원 확대에 관한 연구이며, 규칙위원회의 확대가 제 87대 의회에서 발생한 이유를 설명하는 것을 논의의 핵심으로 삼는다. 1961년 하원 규칙위원회의 확대는 당시 다수당인 민주당이 연방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서 실업, 교육,최저임금 및 도시 개발 문제등 사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필요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하원 규칙위원회의 개혁을 전제로 하였고, 그 개혁은 또한 보수적인 규칙원원회의 구성원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는 갓을 필연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규칙위원회의 장악을 통해서 다수당이 획득할 수 있는 정책적 이익이 증가함에 따라 다수당의 규칙위원회의 장악의 시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검증 가능한 주제하에서 1961년의 규칙위원회 구성원 확대 문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정당이익적 관점에서 규칙위원회의 장악을 설명하기 위해서 일차원적 공간이론(unidimensional spatial theory)이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원용하였으며, 이 이론을 통해서 규칙위원회 장악 이후 다수당인 민주당의 정책적 이익이 비다수주의적(nonmajoritarian), 정당적 정책 결과에 의해 증가햐였음을 밝혔다. The purpost of this article is twofold. The first one is to explain the incidence of Rule Committee capturing (the enlargement of the Rules committee) in the 87th House in 1961 : the second is to provide a partisan context for the Rules Committee enlargement. The main argument of the article is as follows : the 1961 Rules committee enlrgement in the 87th House in 1961 was executed for the purpose of legislating the kennedy programs, which entailed entailed the expansion of the federal govemment and the increase in federal expenditure. In order to legislate liberal kennedy programs, it was necessary for the Democratic majority party to capture the Rules Committee. And the capturing took place in the 87th House when the Democratic party had a substantive incentive. In order to emphasize the partisan nature of the Rules Committee reform, I provide crucial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deterio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cratic majority party and the Republican minority party since the 1958 congressional election. In line with the revitalized inter-party conflict. I also show the way the increased power of the liveral wing within the Democratic party made Speaker Sam Raybum inevitably consider taking some measures to control the Rules Committee. After that, I develop a formal model to test the incidence of capturing an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one major necessary condition for the majority party to capture the Rules Committee is that it should be able to increase its policy utility by capturing. In other words, only when the majority party has an incentive to cpature the Rules Committee in terms of policy benefit, does capturing take place. The outcome of the test based on the " Rosenthal and Poole data" of the 87th House proved the thesi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The Failure of Redistributive Policy in the Progressive Era Urban Politics

        손병권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2

        Although the Progressive reform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swept the whole nation, the concrete reform measures taken at various tiers of government were not the same.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the government types, different social and political needs were paid attention to by different types of reformers.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levels of governments, different tiers of government addressed different types of social and political issues, and the nature of the reforms driven by those governments were also different. Differentiating the policy responses of various levels of government to social demands, this paper aims at explaining why redistributive policies could hardly be formulated and implemented at the local level of government during the Progressive era. This research question is based on the very premise that the reasons of absence, or failure, of redistributive policies at the municipal level should be different from those at the federal level. With this premise in mind, one of th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is that the urban business-reform coalition, forged during this Progressive period on the basis of shared interest in efficiency, systematically edged out the redistributive type of policies, such as welfare policy, which were to entail, by nature, new tax imposition on upper- and middle-income groups, massive top-down resource transfer, and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mismanagement and corruption. The business-reform coalition invented variousinstitutional schemes such as commission and/or manager governments to protect their interests, eluding the demands of redistributive nature from the mass.

      • KCI등재

        The Slavery Issue and the Rise of the Republican Party in the U.S.

        손병권 한국세계지역학회 2008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6 No.2

        In this paper, how the slavery issue could be prevented from arising as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second party system was explained first. Next, this paper described how the slavery extension issue could become a national issue during the political and sectional crisis in the 1850s, finally leading to the birth of the Republican party in the North. In this process, strategy of anti-slavery free soil politicians to politicize the slavery extension issue, combined with the drifting second party system, paved the way for a political environment favorable for the slavery issue evolution. In this paper, rational choice perspective was taken to trace the process of the party dealignment and realignment in the 1850s. The anti-slavery politicians defected from their previous parties when they thought staying there would not give anymore electoral benefits amid widespread voter defection from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Whig party. They took up the issue of slavery extension to bolster the support of the party of their own creation, at the same time weakening the power of the Know Nothing party by taking a slightly restrictive position on immigration issue. The thrust of this paper’s argument does not deny the importance of the Free Soil idea and free labor ideology in the party realignment process and the emergence of the Republican party. Rather, it argues that without strategic party politicians, the slavery issue would not have been easily politicized.

      • KCI등재

        특집논문 : 제19대 국회 전반기 평가:국회, 대통령,여야 정당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손병권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4 의정연구 Vol.20 No.3

        이 글은 대통령과 여당 간의 관계를 분석의 축으로 설정하여 이를 대통령 주도형, 대통령-여당 공조형, 대통령-여당 분기형 대통령-여당 관계로 유형화한 후 제19대 전반기 국회의 의정활동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유형 분류에 의거해서 이 글은 제19대 국회 전반기의 제1기는 ‘대통령-여당 분기형’의 대통령-여당관계가 지배했던 것으로, 그리고 제2기는 ‘대통령 주도형’의 대통령-여당관계가 기조를 이루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제19대 국회 전반기의 제1기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선후보를 중심으로 운영되면서 국민적 지지를 잃어가는 이명박 정부와 거리를 두고 자체적인 독자성을 넓혀 갔다. 한편 전반기 국회의 제2기는 박근혜 정부의 출범과 함께 대통령이 새누리당을 철저히 장악하여 ‘대통령 주도형’의 대통령-여당 관계가 유지되어 온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대통령의 입법 어젠다와 관련하여 야당에 대한 여당의 타협능력이 극도로 위축되어 여야 정당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전반기 국회 제2기의 교착상황은 경험적인 지표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포착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