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표흐름유형별 건물협곡 내에서의 상세흐름특성

        손민우,김도용 한국도시환경학회 2020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0 No.1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in building canyon by the surface flow regimes associated with air flow over buildings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onstructed with the building arrays of increasing W (width of building canyon) / H (building height) ratios. The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vector fields and wind velocity components in building canyon. In the cases of W/H=1.0 and W/H=2.0, the vertical descending air current at leeward building side and the ascending air current at windward building side were distinctly presented with a single vertical vortex in building canyon,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kimming flow (SF). In the cases of W/H=3.0 and W/H=4.0, the wake interference flow (WIF) was developed that the vertical ascending air current at the top (z/H=1.0) of leeward building and the separated horizontal flow with the positive/negative values for the wind velocity of x-direction at the middle layers were presented in building canyon. In the cases of W/H=5.0 and W/H=6.0, the separated horizontal flow of x-direction was expanded to the bottom of building canyon,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roughness flow(IRF).

      • KCI등재

        연직발달형 소용돌이의 바람속도성분 수치분석

        손민우,김도용 한국도시환경학회 2019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9 No.3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bstacle aspect ratio on vertical vortex patterns and wind velocity components in building canyon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A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building height (H) was gradually increased based on the width (W) of the building canyon. In the cases of H/W=1.0 and H/W=2.0, a descending (an ascending) air current was presented at leeward (windward) building side as the primary vertical vortex pattern. In the cases of H/W=3.0 and H/W=4.0, the secondary reverse pattern was additionally developed that an ascending (a descending) air current was presented at leeward(windward) building side. The flow pattern in vertical vortex was reversed again in the cases of H/W=5.0 and H/W=6.0. As a result, the vertical flow in building canyon was developed as ‘S’ shape, according to the building height increase. The reverse patterns were also determined from the chang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wind velocity components in building canyon. 본 연구에서는 건물협곡에서 형성되는 연직발달형 소용돌이에 대해 전산유체역학(CFD) 모델을 이용하여 건물 외관비에 따른 소용돌이 현상의 발달 양상 및 바람속도성분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물협곡의 폭(Width, W) 을 기준으로 건물의 높이(Height, H)를 증가시키는 조건하에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H/W=1.0 및 H/W=2.0의 경우에는 건물협곡 내에서 풍하측 건물 쪽에서는 하강기류가 나타났고, 풍상측 건물 쪽에는 상승기류가 발생하는 1차적인 연직소용돌이의 패턴이 관찰되었다. H/W=3.0 및 H/W=4.0의 경우에는 건물협곡 내의 풍하측 건물 쪽에는 상승기류가 나타났고 풍상측 건물 쪽에는 하강기류로 변화하는 2차적인 역회전 패턴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H/W=5.0 및 H/ W=6.0에서는 소용돌이의 연직기류의 방향이 또다시 역전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건물협곡 내에서 형성되는연직기류는 건물 높이의 증가에 따라 ‘S’자 형태로 발달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역전양상은 연직속도성분 및 수평속도성분의 변화로부터 확인되었다.

      • 낙농경영의 승패는 육성우관리가 중요

        손민우 한국낙농육우협회 1999 낙농·육우 Vol.19 No.3

        종축개량을 통한 고능력우 위주의 목장경영을 위해 '87년부터 종축개량을 실시하여 현재는 전 두수가 혈통등록이 되어 있고 젖소개량부로부터 검정등록을 실시하면서 검정성적을 기록 관리하며 개체별 관리를 철저히 하고 근친 및 형질개량을 위하여 우수한 고능력우의 정액을 이용하고 '90년도부터는 자가인공수정을 시키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장애물 외관비에 따른 건물협곡에서의 수평대칭흐름에 관한 연구

        손민우,김도용 한국환경기술학회 2020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21 No.2

        In this study, the variation in wind velocity of horizontal flow formed inside the building canyon was investigated numerically according to the L(Length)/H(Height) ratios of the building. The variations in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of horizontal wind velocity components in x- and y-direction were derived and analyzed with vector fields in x-y sections. In the case of L/H=1.0, symmetry vortex on the L/2 center basis was found to be formed in the building canyon. In the case of L/H=3.0, the horizontal wind flow was separated, and additional vortex was developed. The double-symmetry vortexes were reinforced by the increase of L/H ratios. The horizontal wind flow and symmetry development patterns formed in the building canyon can be also interpreted in conjunction with the reverse changes in horizontal wind velocity components.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fine-scale local airflows and various wind environments in urban areas.

      • KCI등재

        건물협곡에서의 2차 역회전 소용돌이 형성에 관한 연구

        손민우,김도용 한국환경기술학회 2018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9 No.6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bstacle aspect ratio on vortex in building canyon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model. The sensitivity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cases of increasing building length(L) and height(H) by the width(W) of building canyon. The wind vector fields and secondary reverse vortex in building canyon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For the horizontal vortex, the vortex zone increased as the building length increases, but the vectors at the middle of building canyon began to change in the case of L/W=2.5. In the case of L/W=3.0, the smaller primary vortex was presented with the secondary reverse vortex. For the vertical vortex, the vortex zone increased as the building height increases, but the direction of vectors at the bottom of building canyon began to change in the case of H/W=2.5. In the case of H/W=3.5, the smaller primary vortex was presented with the secondary reverse vortex.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FD) 모델을 이용하여, 건물 외관비에 따른 건물협곡에서의 소용돌이 현상을 재현하고 정량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물협곡의 폭(W)을 기준으로 건물의 길이(L) 및 높이(H) 증가에 따른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건물협곡에서의 바람 벡터장과 2차 역회전 소용돌이의 형성 등을 분석하였다. 수평소용돌이의 경우에는 건물의 길이 증가에 따라 성장하다가 L/W=2.5부터 건물협곡의 중앙부에서 벡터의 크기 약화 및 방향 변화 등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였고, L/W=3.0 이상에서 흐름이 분리되어 1차 소용돌이는 약화되고 건물협곡의 안쪽에서 2차 역회전 소용돌이가 형성되었다. 연직소용돌이의 경우에는 건물의 높이 증가에 따라 성장하다가 H/W=2.5부터 건물협곡의 하부에서 벡터의 방향전환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H/W=3.5 이상의 조건에서 1차 소용돌이는 약화되고 2차 역회전 소용돌이가 형성되었다.

      • KCI등재

        생태교란어종 큰입배스의 서식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손민우,변지선 한국수자원학회 201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2 No.S-2

        본 연구는 외래어종인 큰입배스(Micropterus salmoides)의 서식특성에 미치는 인자들을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실험실 실험을 통해 큰입배스의 서식특성에 미치는 인자들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큰입배스의 서식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수온이 확인된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온에 따른 큰입배스의 서식특성 변화를 실험실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4계절 동안 수행한 실험결과로부터 겨울철에는 비교적 높은 수온을 선호하며, 여름철에는 낮은 수온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봄철에는 수온의 증가와 관계없이 겨울철에 형성된 서식처에서 산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 다른 크기의 큰입배스가 공존하는 경우 개체의 크기별로 분리된 서식처를 형성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분리된 서식처 영역 내에서는 장애물 주변을 선호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장애물과 수온에 대한 배스의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수온보다는 장애물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식처 형성 이후에도 태양광을 모사한 조명의 유무에 따라 새로운 서식처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which is one of exotic fishes in Korea. Based on field observation, the labora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temperature and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largemouth bass. It was found that largemouth bass preferred a relatively high water temperature in winter and a low temperature in summer. When the small largemouth bass coexisted with large largemouth bass, the separation of habitats depending on the size of each largemouth bass are observed. In the separated habitat areas,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largemouth bass preferred vicinity of the obstacle such as boulder. From the experiments for preference between water temperature and obstacle, it was observed that a primary consideration in habitat selection was obstacles. It was also observed that when light device was turned on, largemouth bass formed a new habit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