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한 발열체가 분산된 폴리우레탄 접착 필름의 유도가열 거동 비교

        권용성 ( Yongsung Kwon ),배덕환 ( Duckhwan Bae ),손민영 ( Minyoung Shon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7 Composites research Vol.30 No.3

        나노 및 마이크로 크기의 철(Fe), 마그네타이트(Fe<sub>3</sub>O<sub>4</sub>) 및 니켈(Ni) 입자가 분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접착필름에서 각 금속의 크기 및 형상 그리고 피착재의 종류에 따른 접착필름의 유도가열 거동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동일한 첨가량 및 유사한 입자 크기에서 철과 니켈이 분산된 열가소성 TPU 접착필름에 비해 마그네타이트가 분산된 TPU 접착필름의 발열이 높게 나타났다. 철과 니켈의 입자 크기가 자기장의 표면 침투 깊이(Penetration skin depth) 보다 클 경우 와전류에 의한 발열로 인해 입자 크기가 커질수록 초기 승온속도와 최고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니켈 입자를 사용한 유도가열 실험 결과 편상(flake)의 입자가 TPU 접착필름에 분산되었을 때 자기이력(Magnetic hysteresis)에 의한 열 발생으로 가장 높은 발열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금속 입자가 분산된 TPU 접착필름이 서로 다른 피착재에 적용되었을 때 발열현상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피착재의 열전도도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였다. The effect of nanoscopic and microscopic Fe, Fe<sub>3</sub>O<sub>4</sub>, and Ni particles and their shapes and substrate materials on the heating behavior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adhesive films was investigated via induction heating. The heat generation tendency of Fe<sub>3</sub>O<sub>4</sub> particles was higher than that shown by Fe and Ni particles in the TPU adhesive films. When the Fe and Ni particle size was larger than the penetration skin depth, the initial heating rate and maximum temperatur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particle size. This is attributed to the eddy current heat loss. The heating behavior of the TPU films with Ni particles of different shapes was examined, and different hysteresis heat losse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particle shape. Consequently, the flake-shaped Ni particles showed the most favorable heat generation because of the largest hysteresis loss. The substrate materials also affected the heating behavior of the TPU adhesive films in an induction heating system,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ubstrate materials was determined to be the main factor affecting the heating behavior.

      • KCI등재

        Na-Y 제올라이트가 첨가된 PVA/PAA 분리막의 아세트산 수용액에서 투과 증발 연구

        권용성 ( Yongsung Kwon ),( Shivshankar Chaudhari ),문명준 ( Myungjun Moon ),손민영 ( Minyoung Shon ),박아름이 ( Ahrumi Park ),김영미 ( Youngmi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1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5 No.6

        Poly(acrylic acid) (PAA)로 가교된 Poly(vinyl alcohol) (PVA)에 Na-Y 제올라이트 입자를 첨가하여 투과증발막을 제조하였다. 적외선 분광 분석(FT-IR), 팽윤 실험, 접촉각 측정, SEM 및 XRD 분석을 통해 분리막의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제조된 분리막은 물/아세트산 혼합물의 투과증발 분리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분리막에 첨가된 Na-Y 제올라이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리막의 친수성이 증가하였으며, 제올라이트가 첨가된 PVA/PAA분리막은 제올라이트가 첨가되지 않은 분리막에 비해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10 wt% 아세트산 수용액에서 8 wt%의 제올라이트가 포함된 PVA/PAA 분리막이 가장 높은 선택도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Membranes were prepared by incorporating Na-Y zeolite particles into poly(vinyl alcohol) (PVA) cross-linked with poly(acrylic acid) (PAA). The membrane was characterized by FT-IR spectroscopy, contact angle measurement, swelling test, SEM analysis, and XRD analysis. The pervaporation separation of water/acetic acid mixtures was carried out using prepared membranes. From th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hydrophilic property of prepared membrane increased with increase of zeolite contents and the PVA/PAA membrane with zeolite addition showed higher permeation flux than that of without zeolite membrane. The PVA/PAA membrane containing 8 wt% zeolite showed the highest perme-ation flux and separation in the feed solution containing 10 wt% acetic acid.

      • SCOPUSKCI등재

        나노셀룰로오스 기반 고분자 복합소재의 특성 및 응용

        김세훈 ( Se Hun Kim ),권영제 ( Young Jae Kwon ),야미니샬마 ( Yamini Sharma ),손민영 ( Minyoung Shon ),조상호 ( Sangho Cho ),백경열 ( Kyung-youl Baek ),조계용 ( Kie Yong Cho ) 한국공업화학회 2023 공업화학 Vol.34 No.3

        셀룰로오스는 자연의 다양한 공급원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천연 고분자이다. 셀룰로오스의 한 형태인 나노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를 처리해 쉽게 얻을 수 있으며, 그 고유 물성이 상당히 우수하여 광범위한 산업 응용 분야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나노 셀룰로오스는 금속 및 세라믹 필러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능가하는 뛰어난 기계적 물성 및 열적 안정성을 제공하며, 지속가능한 환경 친화적인 복합소재이다.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필러, 포장지, 에너지, 의료, 코팅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리뷰에서는 나노셀룰로오스 및 나노복합소재 개발 그리고 응용분야에 대한 연구동향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Celluloses are naturally occurring polymers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various natural sources. Nanocellulose, a form of cellulose, can be derived from regular cellulose and has unique properties that make it ideal for multiple industrial applications. Nanocellulose is a renewable, sustainable, and eco-friendly composite material with exceptional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surpassing metal and ceramic composites. As a result, nanocelluloses are being extensively studied for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cluding fillers, packaging, energy, medicine, and coatings. This review aims to summarize the current research on nanocelluloses and their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