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반도 동남부 신생대 지각변형의 주요 특징과 지구조적 의의

        손문,김종선,정혜윤,이융희,김인수,Son, Moon,Kim, Jong-Sun,Chong, Hye-Yoon,Lee, Yung-Hee,Kim, In-Soo 한국석유지질학회 2007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13 No.1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has experienced crustal multi-deformations according to changes of global tectonic setting during the Cenozoic.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crustal deformations in relation to major Cenozoic tectonic ev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llision of Indian and Eurasian continents and abrupt change of movement direction of the Pacific plate (50${\sim}$43 Ma): The collision of Indian and Eurasian continents caused the eastward extrusion of East Asia block as a trench-rollback, and the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acific plate was abruptly changed from NNW to WNW. As a result, the strong suction-force along the plate boundary produced a tensional stress field trending EW or WNW-ESE in southeastern Korea, which resultantly induced the passive intrusion of NS or NNE trending mafic dike swarm. (2) Opening of the East Sea (25${\sim}$16 Ma): The NS or NNW-SSE trending opening of the East Sea generated a dextral shear stress regime trending NNW-SSE along the eastern coast line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pull-apart basins were developed in right bending and overstepping parts along major dextral strike slip faults trending NNW-SSE in southeastern Korea. The basin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 the basis of geometry and kinematics: Parallelogram-shaped basin (rhombochasm) and wedged-shaped basin (sphenochasm), respectively. In those times, the basins and adjacent basement blocks experienced clockwise rotation and northwestward tilting contemporaneously, and the basins often experienced a kind of propagating rifting from NE toward SE. At about 17Ma, the Yonil Tectonic Line, which is the westernmost border fault of the Miocene crustal deformation in southeastern Korea, began to move as a major dextral strike slip fault. (3) Clockwise rotation of southeastern Japan Island (about 15 Ma): The collision of the Izu-Bonin Arc and southeastern Japan Island, as a result of northward movement of the Philippine sea-plate, induced the clockwise rotation of southeastern Japan Island. The event caused the NW-SE compression in the Korea Strait as a tectonic inversion, which resultantly tenninated the basin extension and caused local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blocks in southeastern Korea. (4) E-W compression in the East Asia (after about 5 Ma): Decreasing subduction angle of the Pacific plate and eastward movement of the Amurian plate have constructed the-top-to-west thrusts and become a major cause for earthquakes in southeastern Korea until the present time. 한반도 동남부는 신생대 동안 지구조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중 지각변형을 겪었다. 신생대 동안의 주요 지구조 사건과 이에 따른 한반도 동남부에서 발생한 지각변형의 주요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인도-아시아의 충돌과 태평양판의 이동방향 변화기(약 50${\sim}$43 Ma): 인도판의 충돌에 인해 동아시아 대륙이 동쪽의 태평양판쪽으로 밀려가면서 해구의 퇴각이 발생하였으며, 태평양판의 이동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회전되었다. 그 결과 한반도 동남부에는 동서 내지 서북서-동남동방향의 인장력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남${\sim}$북북동방향의 염기성 암맥군이 관입하였다.(48 Ma 전후). (2) 동해 화장기(약 25${\sim}$16 Ma): 남북 내지 북북서-남남동방향으로 동해가 활발히 확장됨에 따라 한반도 동쪽 해안선을 따라 우수향 전단력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한반도 동남부에는 북북서-남남동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운동이 발생하였으며 단층의 우향 굴곡부 혹은 오버스텝 부분에는 당겨열림형 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기하 및 운동학적 특징에 따라 퇴적분지들은 평행사변형과 쐐기형 확장 분지로 나누어진다. 또한 이 시기에는 지괴가 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되고 북서향으로 경동되었으며 일부 퇴적분지들은 확장 축이 동에서 서쪽으로 이동되는 전파열개 과정을 겪었다. 또한 약 17Ma경에는 이러한 지각변형을 가장 서쪽에서 규제하는 연일구조선이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으로 운동하기 시작하였다. (3) 일본 남서부 시계방향 회전기(약 15Ma): 필리핀해판의 북상으로 이즈-보닌 아크와 일본 남서부가 충돌해 일본 남서부의 시계방향 회전운동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대한해협에는 북서향 압축력이 가해졌으며 한반도 동남부에서는 응력반전으로 인해 퇴적분지의 확장이 종결되고 지괴의 융기와 국지적인 지괴의 반시계방향 수평회전운동이 발생하였다. (4) 동서방향 압축응력기(약 5Ma 이후): 태평양판의 섭입각도가 얕아지고 아무르판이 동진함으로써 한반도 동남부 특히, 울산단층 동부에 상반서향의 충상단층들이 형성되어 지괴가 융기되었으며, 최근 한반도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 KCI등재

        국내 외국인학교의 종교교육과 학습활동에 관한 연구

        손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0

        연구자는 국내 외국인학교의 종교교육을 그곳에서 수행되는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외국인학교의 종교교육은 구성적 차원에서의 신앙과 도덕성이 유기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종교적 다양성은 종교교육의 주된 교육내용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종교교육이 세계관교육과 글로벌 환경에서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소양을 체득하는 학습활동으로 발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종교교육의 학습 현장에서 마주한 심층 대화에서 학습자들은 차이와 억압에 대한 새로운 대안적 종교교육의 모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교적이며 신앙적인 측면이 교육현장에서 지성적이며 합리적인 차원으로 재구성되는 설명 가능한 방식에 관심을 주목하였다. 이에 더하여서 타자와의 관계성이 종교교육의 현장에서는 초월적 가치와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삶의 고통과 절망은 종교교육의 학습활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창조적 계기로 작용하기도 했다. The connectedness between religious education and school activities is actively explored in man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ustralia, New Zealand, the European countries, and so on. I will study how both relationships are constructed in schools which have the membership of Korea Council of Overseas Schools. Basically, I think that religion education in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ill be a positive and influential resource to form the healthy character and developmental identity in the class environment where educational participants experience cultural difference and conflict. Considering multi-cultural contexts, these factors can be regarded as special influential resources of academic perspective. Therefore the peaceful and hospitable school environment supported by religious education can be understood as positive role or function of academic perspective.

      • KCI등재

        Creating Change in the Ecology of Religious Education for Overcoming Racism

        손문,Son, Moon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1

        이 연구는 동북아 국가의 지역적 쟁점을 성찰한다. 특히, 북한의 핵 문제에 대한 미국의 대외정책의 기조에서 연구가 시작되는 동기를 탐구한다. 연구자는 주된 연구방법으로 탐구에 기초한 실천신학의 방법론을 사용한다. 이 분석은 정치적 쟁점과 종교교육의 복합적인 관계를 연결하는 접근을 선호한다. 여기서 복합적인 관계란 정치학의 사회과학적 전제와 종교교육의 규범적 가치를 학제 간 대화의 방법으로 접근하는 관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교교육의 생태는 백인 우월성에 관한 인류학적이며 인종적인 차별의 위협을 무력화하는 교육적 목적을 지향한다. 특히 연구자는 학습자와 교사의 공유적 페다고지를 지지하며, 하나님의 민주적 임재라는 관점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서 억압의 환경에 도전하는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연구의 목적을 실행한다. This study reflects the regional context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embodied in US-North Korean nuclear tension. The researcher uses the methodological inquiry of practical theology to analyze the political affairs and intertwine with religious education. The ecology of religious education to dismantle the threat of ethnic and racial discrimination such as white supremacy supports a shared pedagogy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s in the narrative of Jesus to challenge all forms of oppression as the democratic presence of God.

      • KCI등재

        다문화 사회와 기독교 대학의 교양 교육: "탈인습적 신앙 교육"을 중심으로

        손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기독교교육논총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new model for Christian liberal arts. I defines Christian liberal arts as educational activities of Christian universities for their members to achieve Christian persona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a modern society, it is difficult for Christian university to persist its faithful identity due to the privatization of religion. However, a recent phenomenon in the world as the “deprivatization” of religion provides Christian university with the possibility of a public function. Thus, my study focuses on public as well as private roles of Christian liberal arts in a multicultural society. I regards multicultural society as external environment of Christian university where various beliefs, norms and values coexis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lots of tensions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male and female, and old generation and young generation and so on. Thus, multicultural education of Christian liberal arts should moves toward softening these tensions or struggles. In this study, I suggest postconventional faith model as alternative education for Christian liberal arts in a multicultural society. Postconventional faith education (PFE) demonstrates public as well as private roles of Christian university. PFE achieves relational, equal, and open aims and purposes of Christian liberal arts through intersubjective and interrelated dialogue between Christian tradition and beliefs, values, and norms of other traditions. In this point, PFE is an alternative model of Christian liberal arts that helps Christians understand and critique their own tradition to move beyond the given norms and values in a multicultural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에 적절한 기독교 대학의 교양 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탐구하는 것이다. 기독교 대학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종교가 개인의 신앙 차원에 제한된 사적인 영역에 머문 근대적 패러다임 속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20세기 후반, 기독교의 신앙의 공적인 차원을 강조하는 탈사유화의 차원에서 기독교 대학의 교양 교육을 조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대학을 (1) 교회 혹은 기독교의 유산과 연관을 맺고, (2) 기독교의 이념과 비전을 기관의 목적으로 명시하며, (3)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을 구현하는 교육과정을 필수과목으로 채택한 고등교육기관으로 정의했다. 기독교 대학의 주된 외부환경으로 제시된 다문화 사회 속에서는 다양한 가치와 신념, 그리고 규범이 교차하여, (1) 주류 문화와 비주류 문화의 긴장, (2) 세대 간의 갈등(generation gap), (3) 남녀평등의 문제(gender issues)와 같은 사회적 쟁점들이 발견된다. 따라서 기독교 대학의 교양 교육은 다문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성별, 지역, 계층 간의 차이를 고려하고 소수의 인종 혹은 종족의 문화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차원에서의 교육 활동이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대학의 교양 교육의 대안적 모형으로 제시하는 탈인습적 신앙 교육은 기독교의 전통과 다른 신념과 가치, 그리고 규범과의 상호주관적인 관계성, 평등성, 그리고 개방성을 지향한다. 이러한 상호의존적이며 상호호혜적인 관계를 통해, 기독교의 전통과 도덕적 규범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다양한 신념과 가치, 그리고 규범과 조화하는 대안적 교육의 모형을 창출하게 된다. 결국 탈인습적 신앙 교육은 기독교적인 신앙의 빛에서, 현실 사회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고, 기독교 대학 구성원의 경험 속에서 작용하는 하나님 사랑의 신념의 형태로서,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구현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