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률가 안병찬(安秉瓚)의 사상과 독립운동

        손경찬(Son, Kyoung Chan)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32 No.1

        Lawyer Ahn Byung-Chan was a lawyer during the Korean Empire Era. As a junior official of Department of Justice, Ahn Byung-Chan was a strong-willed young man who insisted on execution of the ministers who signed the Eulsa Treaty. Ahn Byung-chan served as a prosecutor in Pyeongan-do and steadfastly corrected the corruption of the local landowner forces. After that, he served as a lawyer and tried to protect the sovereignty of Korea by petitioning to prevent the use of Japanese chronological era in the trial process. Ahn Byung-chan tried to defend the Ahn Jung-Geun case, but failed to achieve it due to the opposition of Japan. In the case of Lee Jae-Myung, who attempted to kill Lee Wan-Yong, he became a laywer and claimed the innocence of the accused. Ahn Byung-chan was a first-generation human rights lawyer, a symbol of prosecutors, a law educator, and a steadfast junior official of Department of Justice. As a lawyer during Korean Empire Era, he insisted on “sovereignty” within the institutional system. After losing Korea s sovereignty by Japan in 1910, Ahn Byung-chan became an independence activist. His career as a lawyer had influenced greatly his becoming an independence activist. In particular, his attempts to defend the patriots such as Ahn Jung-Geun and Lee Jae-Myung had a great influence on his becoming an independence activist. Ahn Byung-Chan, as an independence activ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patriot who shouted “independence” outside the institutional system. Ahn Byung-chan served as both a prosecutor and an laywer. Ahn Byung-chan could have power as a prosecutor and accumulate property as a lawyer. Although he was able to achieve his own success as a vested rights power, he committed himself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lso made an armed fight against Japan. In his later years, Ahn Byung-chan became a communist and died in confrontation with the Shanghai party. It is a pity that he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compared to his achievements and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aw and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민형소송규칙(民刑訴訟規則)」에 의한 민사재판의 운영과 의의

        손경찬 ( Kyoung-chan Son ) 한국법정책학회 2021 법과 정책연구 Vol.21 No.4

        이 연구에서는 1908. 「民刑訴訟規則」의 조문을 적용하여 판결한 조선고등법원(朝鮮高等法院) 민사판결의 법리를 분석하여, 「民刑訴訟規則」에 의한 민사재판은 어떻게 운영되었고, 그 재판의 의의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전통시대 민사절차법과 현대 민사절차법은 완전히 구분되는 다른 법제이다. 전통법제 민사절차에서 탈피하여 현대 민사절차법이 시작된 것은 동법이 제정된 이후라 할 것이다. 즉 현대 한국 민사소송법의 기원은 「民刑訴訟規則」이라 할 수 있다. 동법에 의해 현대 민사재판에 필요한 절차적 제도들이 대부분 도입되었다. 예컨대, 동법에 의해 당사자의 자격 및 확정에 관한 규정이 도입되었고, 소송참가제도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소송대리에 관하여 규정되었다. 또한 동법에 의해 일사부재리의 원칙이 인정되었고,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 및 기판력의 개념이 확립되었다. 무엇보다 동법에 의해 강제집행력을 갖춘 소송제도가 도입되었고, 제3자 이의의 소도 인정되었다. 비록 동법은 일본 明治 「民事訴訟法」을 모법(母法)으로 하여 일본법을 축조하여 제정한 것이었지만, 동법에서는 조선의 특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일본법과 달리 규정한 것도 존재하였다. 예컨대, 상고기간 기산일의 차이가 있었으며, 일본법과 달리 판결등본의 송달을 인정한 점을 들 수 있고, 강제집행수단으로 민사채무자의 유치제도를 도입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동법에서는 파기환송의 개념이 없어 파기자판을 하였던 특징도 있다. 하지만 동법에서는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이 인정되지 않았던 등 부족한 점도 있었다. 그렇지만 「民刑訴訟規則」의 제정으로 근대적 민사소송법전이 도입되었으며, 동법에 의해 실질적 확정력과 강제집행력이 확보된 민사재판이 시작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practice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Law of Civil and Criminal Procedure(民刑訴訟規則)」. I investigated how the civil trial was operated and what was the meaning of this trial by analyzing the legal principles of civil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in the Colonial Korea(朝鮮高等法院), applying the provision of the 「Law of Civil and Criminal Procedure(民刑訴訟規則)」, which was legislated in 1098. The traditional era civil proceeding law and the modern civil proceeding law have entirely different legislation. The modern civil proceeding law started after it was legislated when it broke away from the traditional legisl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assumed that the origin of the modern Korean Civil Procedure Act is the legislation of the 「Law of Civil and Criminal Procedure(民刑訴訟規則)」. Most of systems necessary for modern civil proceeding have been introduced by this law. For example, this law regulated the qual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party, prepared legal basis of litigation participation system, and regulated the representation of lawsuit. Moreover,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against double jeopardy was recognized by this law, and the prohibition of filing of duplicated suit and the concept of ‘Res judicata(旣判力)’ were established. Above all, compulsory executory power of the party was secured by this law, and the lawsuit of the third partys' objection was also recognized. Although this law was legislated by using Japanese Meiji Civil Proceedings Act(明治 民事訴訟法) as the parent law, it was established differently from the Japanese law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ircumstances of Joseon. For exampl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itial date in reckoning of the period for an appeal, conveyance of copy of the judgment and attraction system of the civil debtor. In addition, this law was charaterized by reversing and rendering judgment for the lawsuit because there was no concept of remand after quashing in this law. However,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this law, for example, verbot der reformato in peius(不利益變更禁止原則) was not recognized. In conclusion, the modern Civil Proceedings Act was introduced by the legislation of this law, and it can be presumed that the civil trial securing ‘Res judicata(旣判力)’ and ‘Enforceability(强制執行力)’ has begun under this law.

      • KCI등재

        전통 법제에서 포락(浦落) 및 이생(泥生)에 관한 관습

        손경찬(Kyoung Chan Son)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3 No.1

        이 연구에서는 전통 시대 법제에서 포락(浦落)의 관습을 추적하였다. 조선시대부터 개화기까지는 포락이 발생한 때 소유권의 상실 원인으로 판단하지 않았다. 전통사회의 관습에 의하면, 한 편에서 포락이 발생해 그 토지가 강물에 잠기고, 반대편 기슭이나 강의 하류에 그 흙이 밀려간 이생지(泥生地)가 생성된 경우, 포락 토지 지주는 이생지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개화기의 민사재판에서도 조선시대 포락 및 이생의 법리가 유사하게 적용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 조선고등법원 판결로 인해 전통 시대 포락의 관습은 인정받지 못하게 되었다. 그리고 1927년 「朝鮮河川令」이 제정되었는데, 여기서 포락으로 공공의 하천으로 변한 토지는 소유권의 객체가 되지 않음을 법문에 명시하였다. 전통사회에서 포락 및 이생은 국가의 조세 행정의 효율성 측면에서 접근하였던 반면, 일제강점기 이후 현대사회에서는 포락 및 이생은 토지소유권이 누구에게 속하는가의 문제로 접근하였던 차이점이 있다. In this study, I traced the custom of paddy field loss(浦落), which is recognized as the cause of the loss of land ownership in the jurisprudence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The paddy field loss was not judged as the cause of the loss of ownership from the Chosun Dynasty to the enlightenment period. According to the custom in the traditional society, when the paddy field loss was caused due to flooding and the land was submerged in a river, and a new land(泥生地) was created by the mud formation on the opposite shore or downstream of a river, the landowner of the paddy field loss could obtain the ownership of the new lan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egal principles of paddy field loss(浦落) and mud formation due to flooding(泥生) in the Chosun Dynasty are similarly applied to civil trial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However, the custom on paddy field loss and mud formation due to flooding has been no longer recognized by the decision of the Chosun High Court on November 1918. And in 1927, the Chosun Stream Order(朝鮮河川令) was enacted, which specified that the land which has become the public stream due to paddy field loss is not the subject of ownership in the text of the law. After liberation, the Supreme Court had faithfully succeeded the regulations of Chosun Stream Order(朝鮮河川令) and the decision by Chosun High Court. Therefore, the decision of supreme court has maintained that 'the land ownership is lost due to paddy field loss. In the traditional society, paddy field loss and mud formation due to flooding were approached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tax administr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modern society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is a difference in approaching paddy field loss and mud formation due to flooding as a matter of who belongs to land ownership.

      • KCI등재

        전통법상 부동산 매매(買賣)법리와 현행법상 부동산 매매(賣買)법리와의 비교

        손경찬(Kyoung Chan S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2

        이 연구는 부동산의 매매(買賣)와 매매(賣買)를 비교한 연구이다. 부동산 매매(買賣)는 조선시대부터 1905년 ≪刑法大全≫까지 전통법에서 부동산의 유상거래행위를 지칭하는 용어였으며, 부동산 매매(賣買)는 1906년 통감부시대에 처음 법전에 명문화된 이래 현재까지 부동산의 유상거래행위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매매(Kauf, Sale)는 일방당사자가 어떤 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은 이에 대해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서 성립되는 계약이며, 현행 민법에서는 이를 매매(賣買)라 명명하고 있다. 매매(賣買)는 ‘낙성’·유상·쌍무·‘불요식’계약이다. 그리고 재산권의 이전을 목적으로 하며, 매매의 목적인 재산권은 현재 매도인에게 귀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장래 성립하는 재산권이라도 매매의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부동산의 이중매매도 제2매매계약이 반사회질서 법률행위에 따라 무효가 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원칙적으로 유효하다. 그리고 타인의 물건 또는 권리의 매매도 원칙적으로 유효하며, 다만 매도인에게 담보책임이 부과될 뿐이다(민법 제569조, 제570조). 반면 매매(買賣)는 중국의 고대 법전에 규정된 이래 조선시대 법전 및 1905년 ≪刑法大全≫에서까지 규정되었다. 조선시대 부동산 매매(買賣)는 ‘낙성’·유상·쌍무·‘요식’계약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다만 매매(買賣)는 요물계약에 가까운 낙성계약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특히 매매(買賣)에서 매도인은 매득인(買得人)[매수인]에게 물건의 인도와 함께 반드시 문서를 동시에 인도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요식계약으로 평가할 수 있다. 매매(買賣)는 매득(買得)과 방매(放賣)를 합한 용어이며, 매득(買得)에서는 채권계약(매수)과 물권행위(점득(占得)·깃득(衿得), 소유권의 취득)가 구분되지 않고 동시에 행하여지는 것이 특징이었다. 따라서 매득인(買得人)은 매득행위를 통해 소유권을 바로 취득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매(買賣)에서 이중매매(重複放賣)는 허용되지 않아 제2매매행위는 무효가 되었고, 매도인과 제2매수인은 형벌을 받았다. 또한 매매(買賣)에서는 타인권리매매가 허용되지 않았으며, 만약 타인권리매매를 행한 경우 법적 효력을 인정하지 않았다. 부동산 매매(賣買)와 매매(買賣)는 다른 제도이며, 매매(買賣)는 매매(賣買)와 비교하여 볼 때 물건의 인도와 문기의 이전이 성립요건인 점에서 엄격한 요식성을 갖추어야 하였다. 또한 매매(買賣)에서 매득인(買得人)이 매수계약과 동시에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므로 이중매매 및 타인권리매매의 유효성을 인정할 여지가 없게 된 것이다. 그리고 매매(買賣)에서는 물권의 변동을 표상할 수 있는 공시제도가 없었던 반면, 매매(賣買)에서는 등기 등으로 공시되는 차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매매(買賣)는 ‘진정한 당사자의 권리보호’를 ‘거래의 안전’보다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한 제도였던 반면, 매매(賣買)는 양자를 모두 추구하는 제도이다. The present research contains the comparison between real estate buying and selling(買賣) and selling and buying(賣買). The real estate buying and selling(買賣) had been the terminology for real estate trading practices for compensation in traditional law from Joseon dynasty to ≪刑法大全≫ in 1905 whereas the real estate selling and buying(賣買) indicates the real estate trading practices for compensation since 1906 when it was first stipulated during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period up to now. Trade(Kauf, Sale) is a contract which is established by a party who “agrees” to transfer the property right to the other party and the existing civil law names this as selling and buying(賣買). Selling and buying(賣買) a consensual, onerous, bilateral, and informal contract. Its purpose is to transfer the property right and it is not required for the property right to be vested in the current seller. The property right which is planned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may be the purpose of the sale. Therefore, a double selling of a real estate could be effective in principal as long as the 2nd sales contract does not become invalid according to the anti-social juristic act. Moreover, selling another person’s properties and rights is also effective if the seller holds the responsibility for security(Civil law article 569, article 570). In contrast, buying and selling(買賣) was first regulated in the Chinese ancient law and lasted until 1905 in ≪刑法大全≫. The real estate buying and selling(買賣) during Joseon dynasty may be classified as “consensual”·onerous·bilateral·“formal” contract but buying and selling(買賣) should be evaluated as a consensual contract which is closer to a substantial contract. In particular, buying and selling(買賣) can be evaluated as a formal contract since the seller must transfer a document along with the product. buying and selling(買賣) is a terminology that combines maedeuk (買得) and bangmae(放賣). In maedeuk(買得), one of the characteristics is that a contract that generates a claim(purchase) and the act of real rights(jeomdeuk(占得)· gitdeuk(衿得), acquisition of ownership) are not separated and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buyer(purchaser) acquires the ownership right after the purchasing act. Consequently, a double selling is not allowed in buying and selling (買賣) which makes the 2nd trading act as invalid. The seller and the 2nd buyer received a criminal penalty. In addition, in buying and selling(買賣), trading another person’s right was not allowed and its legal force was not recognized. The real estate selling and buying(賣買) and buying and selling(買賣) are different regulations and when compared with selling and buying(賣買), buying and selling(買賣) should have strict formality since the requirement involves the delivery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transfer of the document. Furthermore, in buying and selling(買賣), a double selling and trading another person’s right cannot be effective since the buyer acquires the ownership at the same the purchase contract is established. In buying and selling(買賣), there is no system of public announcement that represents a change in real rights whereas in selling and buying(賣買), they are announced through registration. Most of all, buying and selling(買賣) prioritizes “protecting the rights of parties who are truly involved” over “transaction safety” whereas selling and buying(賣買) pursues both values.

      • KCI우수등재

        혼인중개계약의 효력과 국제결혼관리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孫京贊 ( Son Kyoung Chan )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5

        이 연구는 혼인중개계약의 효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국제결혼 관리제도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고민해 본 연구이다. 혼인중개계약은 현행 민법상 전형계약은 아니다. 다만 민법개정안에서는 독일·스위스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중개계약을 규정하였지만, 혼인중개계약은 논의 끝에 개정안에서 제외되었다. 그래서 민법상 위임의 규정과 약관규제법의 조문에 의해 혼인 중개계약의 효력이 인정되었다. 그러다 2007년 결혼중개업법이 제정되었으며, 혼인중개계약(특히 국제결혼중개계약)은 국가의 관리·감독을 받게 되었다. 문제는 한국의 결혼중개업법상 영리목적의 국제결혼중개계약은 유효한데 반하여, 베트남·중국 등에서는 영리목적의 국제결혼중개계약은 불법이며, 만약 이를 위반할 경우 중개업자들을 형사 처벌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법의 준거법공서 이론을 적용가능하다. 즉 ① 국제결혼 중개계약의 효력을 판단하는 준거법은 저촉규범에 의해 해결되며, ② 준거법은 일단 베트남법·중국법이 되지만, ③ 베트남법 등이 대한민국의 공서양속에 반한다면, 베트남법의 적용을 배제하고 법정지인 대한민국의 법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④ 결혼중개업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공서위반이 될 수 있으므로, ⑤ 한국의 결혼중개업법을 적용하여 원칙적으로 유효하다. 따라서 반사회질서 법률행위가 아닌 한 혼인중개계약의 효력은 원칙적으로 유효한 것이다. 2007년 결혼중개업법이 제정된 이후 국제결혼 관리제도는 계속하여 규제강화·처벌강화 기조를 유지하였다. 특히 신상정보의 제공, 중개업자의 등록제도, 1억 원 자본금 요건, 시설기준 요구, 중개업자 교육제도 등은 국제결혼의 부작용을 최소화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신상정보 제공을 ‘맞선 시’에 강제하는 것은 국제결혼의 실무와 맞지 않고, 개인정보침해 소지가 있으며, 혼인증명서에 신랑의 이름을 요구하는 베트남 현지법과의 모순 충돌 가능성이 있어 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제결혼 단계를 ‘맞선단계’와 ‘혼인단계’로 2원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맞선단계’에서는 ‘개인신상정보확인서’만 제공하고, ‘혼인단계’에서 개인정보의 원본과 번역본을 제공하는 것으로 개정해야 한다. 이와 함께 한국인 남성이 최소 2번은 외국으로 출국하여 ‘맞선단계’와 ‘혼인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법제화해야 한다. 국제결혼 총비용도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약관을 개정하여 ‘맞선단계’의 비용과 ‘혼인단계’의 비용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국제결혼중개업을 국가가 공인하여 국제결혼중개사라는 합법적인 직업을 인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2014년 이후 출입국관리법상 결혼이민 사증(F-6) 심사기준이 강화되었다. 여기서 한국인 남성의 소득요건 및 주거요건이 추가되었고, 외국인 여성의 한국어 능력도 요구되었다. 하지만 ‘초청인이 최근 5년 이내에 다른 배우자를 초청하면’ 사증 발급을 거부할 수 있다는 법조문은 개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외국인 배우자의 귀책사유에 의한 이혼의 경우 한국인 남성에게 피해를 줄 수 있고, 또한 이 규정은 헌법 정신에 반하는 위헌적인 규정이다. 그리고 약혼자 비자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결혼중개제도를 ‘맞선단계’와 ‘혼인단계’로 구분하는 것과 연계하여, 맞선을 보고 혼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약혼자 비자로 한국을 방문할 수 있다면 국제결혼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묘안이다. 이제는 우리가 국제결혼의 관리 제도를 규제의 ‘강화’와 ‘완화’의 차원에서 접근할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개선방안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접근할 때이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s of marriage mediation contract and to suggest the reasonable improvement plan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nagement policy. Marriage mediation contract is not a typical contract under civil law. Although the mediation contract has been regulated referring to German and Swiss law in a civil law amendment, marriage mediation contract has been excluded in the revised version after the discussion. Therefore, the effect of the marriage mediation contract was recognized by the provisions of civil delegation and the provisions of Act On The Regulation Of Standardized Contracts. Then, in 2007,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has been established and marriage mediation contract, especially international marriage mediation contract, became under the control and supervision of the country. The problem is the difference in the validity of the contract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Although the international marriage mediation contract for commercial purpose is valid in Korea according to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it is illegal in Vietnam, China, and other countries and the mediating agents can receive criminal punishmen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ing law theory of the international private law can be applied. In other words, ① the governing law to judge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mediation contract can be solved by rules of conflict of laws and ② the governing law becomes Vietnamese or Chinese law. ③ But if those laws violate the public orders and good faiths of Republic of Korea, the law of Republic of Korea is applied instead of the law of Vietnamese or Chinese. ④ Prohibiting marriage brokerage can violate the public orders and good faiths, ⑤ so the marriage mediation contract is effective in principle according to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Therefore, as long as it is not an contra bonos mores, the effect of marriage mediation contract is valid as a rule. After the establishment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in 2007,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nagement policy kept strengthening the regulation and punishment. In particular, the Regulations on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registration policy of brokers, requirement of minimum capital of 100 million won, facility standard requirements and broker education system are meaningful in that they minimize side effects of international marriage. However, obligating the Regulations on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at the timing of ‘first meeting’ dose not coincide with the actual international marriage and it may have privacy issues as well as potential conflict with Vietnam’s local law, which requires the groom’s name in the marriage certificate. Therefore, the international marriage process need to be divided into two stages: ‘meeting stage’ and ‘marriage stage’. In ‘meeting stage’, only ‘confirm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and in ‘marriage stage’, the original and translated vers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gether with this, it should be under law that Korean man must fly overseas at least twice at ‘meeting stage’ and ‘marriage stage.’ In addition, it makes sense to separate the total costs into the costs of the ‘meeting stage’ and the costs of the ‘marriage stage’ by revising the standard agreement of Fare Trade Commission.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country to recognize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and to recognize an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 as a legal occupation. Since 2014, the immigration law has strengthened the criteria for screening marriage immigrant visas (F-6). Income and housing requirements for Korean man were added, and the Korean language skills were also required for foreign woman. However, the legal provisions that refuse to issue a visa ‘if the inviter invites another spouse within the last five years’ need to be revised. If a divorce is caused by a foreign spouse’s fault, it will harm the Korean male, and this provision is unconstitutional against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And fiance visa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In connection with dividing the marriage brokerage process into the "meeting stage" and the "marriage stage," it is an idea to minimize the risk of international marriages if the foreign women can visit Korea on a fiance vis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marriage. Now, we should not approach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nagement policy in terms of 'reinforcement' and 'relaxation' of regulation, but should consider and approach what is 'reasonable' improvement plan.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정방안

        손경찬(Son, Kyoung chan)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9 No.-

        이 연구는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의 바람직한 개정방안을 찾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존엄사(자연사)’ 문제는 2004년 의료진에게 살인죄를 적용한 보라매 병원 사건으로 촉발되었고, 2009년 대법원 판결에서 지속적 식물상태(VS/UWS)인 김 할머니의 연명치료 장치를 제거할 것을 허용하면서, 그 찬반여부를 둘러싸고 폭발적인 논쟁과 사회적 격변을 거쳤다. 그리고 2018년부터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고 있다. 연명의료결정법은 2000~2018년까지 각계각층의 고민과 염려를 담은 훌륭한 노작이다. 그런데 연명의료결정법은 지속적 식물상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동법의 제정으로 환자는 인간의 존엄권에 기한 자기결정권을 보장받게 되었고, 의료진은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적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 동법은 인간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죽음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다만, 동법은 지속적 식물상태 환자의 연명의료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에 대한 규정이 누락되어 있다. 비교법적으로 미국・독일・일본의 판결과 법제에서도 지속적 식물상태 환자의 연명의료를 지속할 것인지 말 것인지가 문제된 사례가 많았으며, 한국에서 이 논의를 촉발하게 한 김 할머니 사건의 당사자도 지속적 식물상태였다. 따라서 앞으로 동법에서는 지속적 식물상태의 환자인 경우 연명의료결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신중히 논의한 뒤 규정하여야 한다. 특히 지속적 식물상태 환자의 추정적 의사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병원윤리위원회의 판단 만으로 연명의료중단을 할 수 없고, 행정기관 혹은 법원의 판결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급식관 중단의 문제는 의사조력자살에 비견될 수 있어, 이를 합법으로 판단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환자가 자발호흡이 없는 뇌사상태에 준하는 지속적 식물상태인 경우 국가기관의 엄격한 심리와 판정을 거쳐 삶을 끝낼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이러한 주장은 종국에는 안락사를 허용하자는 미끄러운 경사길 논증은 결코 아니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desirable amendment for the current 「Act on Life-Sustaining Medical Care Determination」. The issue of ’Death with dignity (Natural death)’ was triggered by the incident at Boramae Medical Center, in which some medical staffs were convicted of murder by the Supreme Court in 2004. Further, it went through explosive debate over the pros and cons after the incident in 2009, that the Supreme Court released its final decision to approve the removal of life-sustaining medical device from elderly women Kim who had been in persistent vegetative state (vegetative state/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VS/UWS]). From 2018, the so-called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has been in effect.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s an excellent work that contains the concerns of all walks of life from 2000 to 2018. With the enactment of this law, patients are guarantee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based on human dignity, and medical staff can be free from legal responsibility for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Furthermore, this law is meaningful as it allows each individual to take a moment to look back on his or her life and prepare for death. However, the 「Act on Life-Sustaining Medical Care Determination」 has limitations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patients in VS/UWS. It fails to contain regulations on how to determine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persistent vegetative state. Comparatively, there are numerous cases in which the permanent vegetative state of patients has been a problem even in the cases and legal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The elderly women Kim, the party to the case which initiated the discussion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Korea was also in VS/UWS patients. Therefore, this act must discuss how to deal with life-sustaining treatment in patients in VS/UWS and define the results. Particularly in cases where presumptive intention of patient in VS/UWS is cannot be determined, it is not possible to stop life-sustaining treatment only by the judgment of the hospital ethics committee, so thus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cases through the verdict of an administrative agency or court. However, it is difficult to legalize the removal of feeding tube from patients in VS/UWS, as it can be considered as a doctor-assisted suicide. Thus, if the patient is in a VS/UWS comparable to a brain-death state without spontaneous breathing, it is necessary to open a way to end life through strict screening and confirmation by administrative agency. This argument is definitely not a slippery slope argument to allow euthanasia in the end.

      • KCI등재

        조선시대 신분확인 소송 -『안가노안(安家奴案)』-

        손경찬 ( Son Kyoung-cha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6 No.4

        결송입안(決訟立案)은 조선시대의 민사판결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결송입안 중 가장 대표적인 판결(Leading Case)이라 할 수 있는 『1586년 장례원(掌隷院) 입안』 일명 『안가노안(安家奴案)』을 소개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 소송은 16세기 조선의 신분확인 소송이다. 특히 피고는 법정에서 계속하여 ‘나는 양반이로소이다’라고 주장하였다. 본 건의 원고 안 씨 집안과 피고 송 씨 집안은 1521년 신사무옥으로 원수가 되었다. 신사무옥은 송사련이 안처겸을 역모죄로 고변한 사건이었다. 원래 안처겸과 송사련은 사촌 사이었지만, 송사련의 어머니인 감정이 안 씨 집안의 노비의 딸이었다. 그래서 송사련과 안처겸은 얼사촌지간으로 신분상의 차이는 있었다. 송사련의 고변으로 안 씨 집안은 멸문의 화를 당하였고, 송사련과 그의 일족은 양반지위를 70년간 누리고 있었다. 하지만 1586년에 이르러 원한을 가지고 있던 안 씨 집안에서 송씨 집안 70인을 본인 집안의 노비라고 주장하며 소를 제기하였다. 『안가노안』에는 1586년 2월부터 7월까지 소제기, 변론절차, 재판관의 심문, 당사자의 진술, 재판관의 판결이 시간 순서대로 실려 있다. 이 소송은 결국 원고 안 씨 집안의 승소로 끝나게 된다. 즉 송 씨 집안은 70년간 양반이었지만, 본판결을 통해 노비의 지위로 신분이 변동되었다. 이 판결은 16세기 조선시대 민사재판의 진수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양 당사자는 재판에서 승소하기 위해 조선시대의 법전(≪經國大典≫, ≪受敎≫)의 여러 법조문들을 원용하였다. 그리고 양당사자 및 재판관은 상당히 정교한 법적논증(Legal Reasoning)을 치열하게 펼쳤다. 특히 원·피고가 제출한 문서의 진정성 여부, 과한법의 도과여부, 골육상잔법의 적용여부 등이 문제되었다. 그래서 조선시대 민사판결이 어떻게 되어 있고, 조선시대 민사재판이 어떤 것인지를 알려면 이 판결을 분석하면 된다. 하지만 이 판결을 통해 알 수 있는 조선시대 사법제도의 한계점도 있다. 즉 재판관은 피고가 주장한 시효(혹은 제척기간)의 항변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또한 재판관은 행위시법을 인정하지 않고 법률불소급원칙을 어긴 법적 판단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판결은 조선시대 민사절차법과 실체법의 운용을 정확히 알 수 있는 법적으로 유용한 자료이며, 정치사회사적으로 조선시대 당쟁사의 의미를 알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The civil judgment in the Joseon Dynasty is called a Geolsong draft(決訟立案).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most leading case of the Geolsong draft, 『Jangryeowon(掌隷院) draft in 1586 』 called 『Anganoan(安家奴案)』. 『Anganoan(安家奴案)』 has an enormous amount of text with a total of 20,000 word s and 1036 lines. This is a type of litigation for identifying class in 16th century Joseon. In particular, the defendant continued to argue to the court that ‘I am a nobleman’. The plaintiff, An’s family, and defendant, Song’s family became enemies to the Shinsa Muok(辛巳誣獄) in 1521. Originally, An Cheogyeom(安處謙) and Song Saryeon(宋祀連) were cousins. However, the mother of Song Saryeon, Gamjung(甘貞), was the daughter of a slave in the family of An. Therefore, there was a difference in class between An Cheogyeom and Song Saryeon. The Shinsa Muok was an event in which Song Saryeon reported An Cheogyeom as a traitor. Through this, the whole of An’s family was destroyed, and Song’s family and Song Saryeon kept the position of nobleman for 70 years. In 1586, the family of An, who held a grudge, raised cattle that 70 people in Song’s family were the slaves of his family. 『Anganoan』 contains filing of a suit, the procedure for the defense, the questioning of the judge and Judge's hearing, the statement of the parties, and the judgment of the judge in chronological order from February to July 1586. The lawsuit eventually ends with An’s family, plaintiff’s winning. In other words, the family of Song had been nobleman for 70 years, but the status was changed to slave status through this case. This case is the essence of the civil trial of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Because, in order to win in the trial, both parties used various articles of the Joseon-era codes (≪經國大典≫, ≪受敎≫). And they used fairly sophisticated legal reasoning. Therefore, if you want to know what the judgment of the civil affairs of the Joseon Dynasty was like and what a civil trial was like, you can analyze this cas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judicial system of the Joseon era which can be known through this case. That is, the judge did not acknowledge the protest for the overdue nature of the law suit(過限), which the defendant argued. Also, the judge did not approve the law of the time, but made judgments that violated the principle of non-retroactivity. Nevertheless, this case is legally useful data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operation of civil procedure law and substantive law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is also data that can reveal the meaning of the conflicts of historical political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관습상 명의신탁 사례 ― 1722년 안동부입안「康熙六十一年 二月 日 安東府立案」의 평석 ―

        손경찬 ( Son Kyoung-cha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硏究 Vol.31 No.3

        이 연구에서는 명의신탁에 관한 관습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결송입안(決訟立案) 중 하나인 1722년 안동부입안(「康熙六十一年 二月 日 安東府立案」)을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현재 명의신탁은 관습법이자 판례법으로 인정된다. 종래 다수설은 명의신탁은 일제강점기 종중의 등기 능력을 인정하지 않아 종중원의 명의로 종중재산을 등기하던 관습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연구에서는 안동부입안을 분석하여, 명의신탁은 조선시대 양반이 본인의 재산을 양반 집안의 노비[戶奴]에게 신탁하던 관습에서부터 시작하였다는 ‘실마리’를 제시하였다. 더욱이 안동부입안을 통해 기상(記上)의 의의를 분석할 수 있었다. 기상(記上)의 개념은 상속 법제에 관련된 용어의 일종으로, 자식 없는 노비가 사망한 때 그 재산을 노비의 주인에게 ‘특별귀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기상은 명의신탁자인 주인이 명의수탁자인 노비에게 신탁재산을 ‘반환청구’하는 개념으로 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입안을 통해, 조선시대 민사소송에서는 5년이 도과하면 심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60년 및 30년이 도과하면 심리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음을 실증할 수 있었다. 안동부입안은 명의신탁에 관한 관습의 한 사례가 되며, 기상(記上)의 개념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며, 조선조 과한법(過限法)으로 60년 및 30년 정소기한법(呈訴期限法)이 원칙이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명의신탁에 대한 관습의 기원은 일제강점기 종중이 종원에게 종중 재산의 등기를 신탁한 관습에서 시작된 것만으로 볼 것이 아니라, 조선시대 양반의 토지를 노비의 명의로 양안에 신탁하여 기재하던 관습으로까지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customary cases related to nominal trust. In particular, Andong-Pu Iban(「康熙六十一年 二月 日 安東府立案」), one of the civil court records (決訟立案) in Joseon Dynasty, is the main focus. Currently, nominal trust is recognized as both customary law and judge-made law. According to the previous majority opinion, the registration ability of clans was not recogniz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stead, the nominal trust is judged to be originated from the custom that registers clan properties under the name of clan members. Through the analysis of Andong-Pu Iban, this study suggested a clue that nominal trust was originated from the custom that a nobleman in the Joseon Dynasty entrusted his property to his slave[戶奴].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e meaning of gisang (記上) through the analysis of Andong-Pu Iban. The concept of gisang(記上), a kind of term related to the inheritance law system, is the property ‘specially belongs’ to the slave’s owner when a childless slave died. The gisang can also be viewed as a concept in which the owner, a nominal truster ‘requests return’ of trust property to the slave, a nominal trustee. Moreover, through this draft, it was possible to demonstrate the principle in the civil litig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at it was not that the court hearing was not conducted after 5 years, but that the court hearing was not conducted after 60 and 30 years had elapsed. Andong-Pu Iban is a customary law case related to nominal trust, and it is also a material that can accurately understand the concept of gisang (記上). Moreover, through the analysis of Andong-Pu Iban, it can be revealed that the 60 years and 30 years period of the appeals Law(呈訴期限法) is the principle of Gwahanbeop(過限法) in the Joseon Dynasty. Above all, the origin of custom for nominal trust can be seen not only as the custom that a clan entrusts clan members to register the clan’s proper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also as the custom that a nobleman entrusted the land of a nobleman in the name of a slave in a land regis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신분확인 소송 – 1635년 「의령현입안(宜寧縣立案)」

        손경찬(Son Kyoung Chan) 한국법사학회 2019 法史學硏究 Vol.59 No.-

        이 연구는 1635년 「의령현입안(宜寧縣立案)」의 내용을 소개하고, 그 법적 쟁점에 대해 평석한 것이다. 이 결송입안은 조선시대 신분확인 소송이라 명명할 수 있다. 본 사건에서 원고 하 씨 집안은 피고들이 본인 집안 남자종과 결혼한 양인여성이 낳은 자식들이므로, 당시 법에 의해 피고들을 원고 집안의 사노비로 부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피고들은 자신들의 어머니가 공노비였으므로 본인들도 공노비라고 주장하였다. 재판관인 의령현감은 원고들의 주장이 신빙성이 있는 점, 피고들의 주장은 사실관계에서 오류가 있는 점, 피고들 사이에서도 진술이 엇갈리는 점, 변론과정에서 피고 중에서 본인의 조상들이 원래 사노비라 것을 자백한 사람도 있는 점 등을 종합하여 원고 승소 판결을 하였다. 본 사건은 1586년 「나주목입안(羅州牧立案)」(다물사리·이지도) 판결 및 1586년 「장례원입안(掌隷院立案)」(「안가노안(安家奴案)」)과 함께 조선의 3대 신분관련 소송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입안에 대한 법적인 평가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첫째, 조선시대 관할 및 이송(移訟)의 원칙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민사소송에서 피고 소재지를 토지관할의 원칙으로 하였다. 이 사건에서 피고들 소재지가 의령·고성·거제로 산재되어 있었으므로, 재판관은 피고들을 의령으로 이송(移訟)하게 하여 병합하여 심리하였다. 그래서 여러 피고들에게 제기된 소가 의령현으로 이송(移訟)되었고, 의령현에서 병합되어 접송(接訟)이 된 것이다. 조선시대 이송(移訟)은 당사자의 신청에 의해 당사자의 권리구제를 위해 인근의 관으로 관할을 옮기는 것인데 반해, 현행법상 이송(移送)은 관할위반의 경우 소각하를 하지 않고 소송경제를 도모하기 위해 인정되는 제도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조선시대 민사소송절차에서도 형사소송과 마찬가지로 고신(拷訊)에 의해 자백을 받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하였고, 이 사안은 그에 대한 예가 된다. 민사소송 절차에서 고신(拷訊)을 가하지 않고 당사자를 심문하는 절차를 평문(平問)이라 하였고, 고신에 의하여 심문하는 절차를 형문(刑問)이라 하였다. 셋째, 조선시대 민사소송에서 강제집행의 한 단면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민사집행제도는 상대적으로 미약하였으나, 패소자에 대한 형벌을 통한 간접적인 강제가 가능하였다. 즉 ‘인적 집행’으로서 민사강제집행제도의 단초를 알 수 있다. 넷째, 관찰사의 지시를 받은 의령현감이 재판을 한 것은 재판의 독립의 미비라고 평가하기보다, 당사자의 권리구제에 더 접합한 방법을 찾기 위한 사법행정의 발로라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purpose of present research is to introduce the contents of 1635 「宜寧縣立案」 and annotate its legal issues. This could be called as an “identification” lawsuit. In this case, the plaintiff Ha family argued that the defendants must be brought to the private slaves of Ha family since the defendants are children born to women who was married to their own male slave of Ha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defendants contended that they were public slaves as their mother was a public slave. In 1635, the governor of Uiryeong decided in favor of the plaintiff on a set of reasons that the arguments of plaintiffs were reliable, that the defendants’ statements had factual flaws, that the testimony of defendants were inconsistent and that one of the defendants confessed that his ancestors were originally private slaves. This case is one of the three major identification-related lawsuits during Joseon dynasty along(together) with 1586 「羅州牧立案」(Damulsari·Yijido) Judgment and 1586 「掌隷院立案」(「安家奴案」) judgment. The legal evaluation of this legislation is as follows. First, one can find out the principles of jurisdiction and Yisong(移訟, transfer)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Joseon dynasty, the territorial jurisdiction was based on the location of defendants. In this case, the defendants were scattered in Uiryeong, Goseong, and Geoje; thus the judge decided Yisong(移訟) for all defendants to Uiryeong for hearing. Therefore, the cases involving multiple defendants went to Uiryeong-hyeon through Yisong(移訟, transfer) for Jeopsong(接訟, combined judgment). The Yisong(移訟)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to move the jurisdiction to adjacent areas for protection of rights of the parties. It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Yisong(移送, relocation) that intends to promote judicial economy without rejecting the lawsuit in case of violation of jurisdiction. Second, during Joseon dynasty, it was legally possible to win a confession by torture(拷訊) in civil procedures as in criminal procedures. This case is an example of that. In civil procedures, the procedure of interrogating without torture was called ‘Pyoungmoon(平問)’ and the procedure of interrogating by torture(拷訊) was called ‘Hyoungmoon(刑問)’. Third, this case shows an aspect of compulsory execution in civil lawsuits during Joseon dynasty. The civil execution during Joseon dynasty was relatively weak, but indirect compulsion was possible through punishment of the defeated. That is, the case provides a basis for compulsory execution in civil lawsuits as “human execution”. Fourth, it is reasonable to evaluate the fact that the trial was conducted by the governor of Uiryeong(宜寧) who took instruction from the provincial governor as an effort to find a more appropriate way to protect the rights of people in question, rather than as a lack of legal in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