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PES 필름상에 스퍼터링한 ITO 박막의 열처리에 따른 결정화 거동 및 전기적 특성 변화

        소병수,김영환,So, Byung-Soo,Kim, Young-Hwan 한국세라믹학회 2006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3 No.3

        The effects of annealing on 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ITO/PES (Indium Tin Oxide/Polyethersulfone) films was investigated. Amorphous ITO thin films were grown on plastic substrates, PES using low temperature DC magnetron sputtering. Various post annealing techniques were attempted to research variations of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i) conventional thermal annealing, ii) excimer laser annealing, iii) UV irradiation. The electrical properties were obtained using Hall effect measurements and DC 4-point resistance measurement. The microstructural features were characterized by FESEM, XRD, Raman spectroscopy in terms of morphology and crystallinity. Optimized UV treatment exhibits the enhanced conductivity and crystallinity, compared to those of conventional thermal annealing.

      • KCI등재후보

        디지털 콘텐츠 기술을 활용한 보훈외교의 발전 방향

        소병수,박현지 한국공공외교학회 2023 공공외교: 이론과 실천 Vol.3 No.2

        Korea has developed as an influential country over Asia and all over the world based on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background of this development was possible due to the existence of those who sacrificed precious lives and contributed to the nation's existence in the past crisis. Every year, Korea holds an annual commemorative event with people of national merit, Korean War veterans, and their families, expressing gratitude for sacrifices and contributions at home and abroad, and providing economic support. The tragedy of the Korean War and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Korea over the past half century will one day become a history of the distant past over time. As generations change and the purpose and method of exchange by region change, the tragic situation that occurred earlier and the way people sacrificed for the country are expected to be different from before. In particular,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Korean War veterans and their families is gradually decreasing as they are now old. In addition, due to the outbreak of global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it is difficult to plan and conduct face to face events as well as before. Currently, Korea's digital technology is introducing various methods. 5G communication networks, smart-phones, tablet PCs, and smart devices that can experience virtual reality are already used in our real lives. Business meetings are held in a metaverse environment, and concerts by famous singers are held in an online environmen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also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recruitment and customer response services,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companies. And it seems that this technology can be used in the field of veterans. In particular, there is a metaverse technology that can vividly show the situation during the Korean War, and a way to digitalize the voices and facial expressions of currently surviving veterans to convey their memories and lessons to future generations in the long run. If this digital technology method is realized on an online platform to hold a veterans' celebration event, veterans and their families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event more conveniently.

      • 디지털 콘텐츠 기술을 활용한 보훈외교의 발전 방향

        소병수,박현지,So, Byungsoo,Park, Hyungi 한국공공외교학회 2023 Journal of public diplomacy Vol.3 No.2

        우리나라는 눈부신 경제발전을 바탕으로 아시아를 넘어 세계 곳곳에 영향력을 미치는 위상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발전이 가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우리나라가 과거 위기의 상황 속에서 국가의 존립을 지킬 수 있도록 귀중한 생명을 바치고 공헌한 분들의 존재가 있었기 때문이다. 매년 우리나라는 국가유공자, 6.25 참전용사와 유가족들과 함께 기념행사를 개최하며 대내외에 희생과 공헌에 대하여 감사의 뜻을 전하고, 경제적인 지원도 해오고 있다. 6.25 전쟁의 비극, 민주화 운동 등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일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먼 옛날의 과거와 같은 역사로 변해 잊혀지게 될 것이다. 세대가 여러 차례 바뀌고, 지역별로 이루어지는 교류의 기회나 방법에 변화가 생겨나면서 과거에 발생한 비극적인 사태와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기리는 방식도 이전과는 다른 모습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6.25 전쟁의 참전용사와 유가족들은 현재 고령의 나이로서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또한 코로나19와 같이 전 세계적인 전염병의 발생으로 왕래가 이전처럼 자유롭지 못하게 되면서 인적 교류나 행사 등을 기획하고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디지털 기술은 우리들의 삶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5G 통신망, 스마트 폰, 태플릿 PC,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등이 실생활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다. 메타버스 환경에서 비즈니스 미팅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유명 가수의 콘서트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환경에서 개최되기도 한다. 인력 채용, 고객 대응 서비스 영역에도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되어 기업들의 업무 효율도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지금까지 우리가 해오던 보훈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기술 방식을 온라인 플랫폼에서 실현시켜 보훈외교 방식을 다양화한다면, 지구 반대편에 있는 보훈 대상 유공자와 가족들도 행사 참여는 더욱 편리해질 것이다. 그리고 6.25 전쟁 중의 상황을 생생히 보여줄 수 있는 메타버스 기술, 현재 생존하고 있는 참전용사들의 목소리와 표정을 디지털화하여 장기적으로 미래 세대에게 그 경험과 교훈을 공유해줄 수 있을 것이다. Korea has developed as an influential country over Asia and all over the world based on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background of this development was possible due to the existence of those who sacrificed precious lives and contributed to the nation's existence in the past crisis. Every year, Korea holds an annual commemorative event with people of national merit, Korean War veterans, and their families, expressing gratitude for sacrifices and contributions at home and abroad, and providing economic support. The tragedy of the Korean War and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Korea over the past half century will one day become a history of the distant past over time. As generations change and the purpose and method of exchange by region change, the tragic situation that occurred earlier and the way people sacrificed for the country are expected to be different from before. In particular,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Korean War veterans and their families is gradually decreasing as they are now old. In addition, due to the outbreak of global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it is difficult to plan and conduct face to face events as well as before. Currently, Korea's digital technology is introducing various methods. 5G communication networks, smart-phones, tablet PCs, and smart devices that can experience virtual reality are already used in our real lives. Business meetings are held in a metaverse environment, and concerts by famous singers are held in an online environmen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also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recruitment and customer response services,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companies. And it seems that this technology can be used in the field of veterans. In particular, there is a metaverse technology that can vividly show the situation during the Korean War, and a way to digitalize the voices and facial expressions of currently surviving veterans to convey their memories and lessons to future generations in the long run. If this digital technology method is realized on an online platform to hold a veterans' celebration event, veterans and their families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event more conveniently.

      • KCI등재

        미디어 영역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의 확산과 제문제 -AI 창작물의 혼동 및 권리침해 방지를 위한 워터마크 등 식별조치를 중심으로-

        소병수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圓光法學 Vol.39 No.3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가 널리 확산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더욱 정교하게 만들어지고 있어 앞으로 실생활과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이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는 인공지능 기술이 가져올 혁신에 많은 기대를 했었다. 하지만 현재는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사회적 혼란’, ‘권리침해’, ‘위험성’ 등과 같은 부정적인 키워드가 논의의 중심에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논의의 불을 붙인 것이 미국에서 발생한 ‘펜타곤 폭발 사진’과 같은 허위정보의 유포이다. 그리고 여러 국가들은 그 심각성을 인식하며 서둘러 문제 해결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문제의 중심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로 존재하지 않은 사실을 거짓으로 지어내거나, 마치 인간이 만들어낸 저작물과 혼재되고 별다른 구별 없이 유통 및 게시되고 이용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앞으로 기술의 진보는 거듭되어 결국 인공지능 콘텐츠와 실제의 사실 및 인간이 창작한 저작물 등이 혼재되어 특수한 기술의 발명 없이는 서로 구별이 어려운 시점이 도래할 것이다. 만약 인공지능 기술의 사용 여부 및 결과물에 대한 구분 기준이나 안내 표시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인공지능 콘텐츠와 그 외의 정보 및 콘텐츠 간의 구분은 불가능해질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각종 허위 정보의 범람 문제뿐만 아니라 그동안 인간이 긴 시간과 노력을 들여 해왔던 콘텐츠 제작 활동 역시 위축되어 사라지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인공지능법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인공지능법은 인공지능 기술의 육성과 발전을 위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이용자 보호 의무 등을 규정한다. 그러나 법제도의 마련과 실제 규제의 적용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미 현재 진행형인 허위 정보의 혼동, 이용자 보호 문제, 저작물과의 오인 문제 등을 예방하기 위해 워터마크 등 식별조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만들어낸 콘텐츠에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 또는 ‘ai-generated’와 같은 식별 표시를 해줌으로써 여타 콘텐츠들과 혼재하게 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를 알기 쉽게 표시하는 기준을 마련한다면 인간이 창작한 저작물 등과의 차별성이 유지되어 각각의 콘텐츠가 지니는 가치를 훼손하지 않게 될 것이다. 또한 이용자 보호와 이용 편리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Ion Activation in Boron-doped Polycrystalline Si Thin Films Prepared on Glass Substrates

        소병수,박찬록,배승묵,김영환,황진하 한국물리학회 2013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3 No.7

        Boron-implanted polycrystalline Si thin films were subjected to thermal annealing. Their evolvingelectrical and structural features were characterized using Hall measurements, Raman Spectroscopy,transmission electron microcopy, and UV-Visible transmittance spectrophotometry. TheRaman analysis indicated that boron implantation did not induce structurally significant damage,i.e., lattice distortion. Even low-temperature annealing at 350 C provided a high degree of activation,keeping the atomic structure restored on the short-range order, as confirmed by transmissionelectron microscopy and optical transmittance data. At temperatures above 350 C, the chargecarriers exhibited temperature-independent behaviors, with a charge carrier concentration of 6 or7 × 1019/cm3. The boron-implanted Si thin films were found to be subject to electronic stoppingrather than nuclear stopping, thus allowing for low-temperature activation.

      • 상온에서 플라스틱 필름에 스퍼터링된 ITO 박막의 자외선 조사가 구조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蘇炳洙,金永煥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2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13 No.-

        The ITO film was deposited onto unheated plastic(PES, PC) and glass substrates by magnetron sputtering units. The ITO films sputtered at room temperature have amorphous structure and show uniform surface morphology with low planner density.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1,000Å thickness ITO film as sputtered are measured to be: average resistivity 5.7×10-4Ω·cm, carrier concentration 1.35×1021/cm3, Hall mobility 10.7cm2/V·s, RMS 10Å. By annealing the film at the temperature range between 160 and 180oC, smooth and densified surface morphology have been obtained with further enhancements of electrical resistivity. In comparison with unbiased sputtering which produces amorphous film, polycrystalline structured ITO films with 50% lower electrical resistivity have been obtained by applying a negative bias of -90V to the substrate at room temperature. Selective annealing of ITO by means of eximer laser produces polycrystalline grain-subgrain structure with different height of each preferential growing planes of (222), (440) and (400).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ependency of film thickness with crystalline orientation may due to the difference of surface energy of each planes.

      • KCI등재

        소셜미디어상의 개인정보 활용과 보호 - AI 채팅로봇 ‘이루다’의 개인정보 침해 사건을 중심으로 -

        소병수(So, Byungsoo),김형진(Kim, Hyungji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4 No.1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채팅로봇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다. 이전에는 이러한 서비스가 이미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고객의 질문에 단순히 답하는 수준에 그쳤지만, 최근 인기를 끈 ‘이루다’라는 AI 채팅로봇은 인간처럼 자연스러운 표현과 맥락으로 대화가 가능한 점을 내세우고 있다. 인터넷상의 방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진화한 AI 채팅로봇은 인간처럼 자연스러운 문장 표현을 구사하며 사적인 대화상대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AI 채팅로봇의 개발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위법한 방식으로 수집하고 활용하였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논란이 된 부분은 특정 서비스의 이용을 위하여 수집된 개인정보가 추후 또 다른 서비스의 개발 과정에서 매우 폭넓은 범위로 활용된 점이다. 정보주체는 새로운 서비스에 활용될 자신의 정보가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될 것인지 예측하지 못한 채 앞선 서비스의 이용만을 위해 동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개인정보 동의 과정에서 해당 서비스를 위해 수집된 개인 정보가 향후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추가하여 향후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에 활용할 여지를 남겨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로는 AI 채팅로봇의 개발 과정에서 일부 이용자가 제공한 카카오톡 채팅방의 대화 정보를 위법하게 수집하여 활용한 사례가 있다. 일반적으로 채팅방에는 최소 2인 이상의 참여자가 존재하는데, 해당 개발사는 대화 정보의 수집과 활용에 대한 동의를 대화 참여자 모두로부터 받지 않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개인정보보호법이 정하는 개인정보의 수집과 활용에 대한 동의절차를 준수하였다고 보기 어려운 사안이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의 수집과 활용에 관한 동의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이루다 사례가 보여주듯이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자들이 개인정보의 수집과 활용을 위한 동의 절차를 간과하거나 정보주체가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의 범위와 기간 동안 활용하는 것은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인 이상이 참여하는 채팅방에서 수집되는 개인 대화 정보는 참여한 개인정보 주체 각각으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할 것이며 추후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을 위한 동의 과정에는 기간과 활용되는 정보의 내용과 범위를 명시하여야 정보주체의 권리가 두텁게 보호될 것으로 판단된다. Artificial Intelligence(AI) chat robot service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today. Although these services used to answer customers ques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the latest AI chat robot called ‘Iruda’ presents that it can communicate in a humanlike natural expression and context. AI chat robots have collected big data on the social media and performed deep learning. Now the technologies show natural sentence expression like human and become a private conversation partner. However, a problem has been raised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AI chat robot was actually in an illegal manner. Particularly controversial fact is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use of a specific service was used in another service later.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and analyzed with a very wide rang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t seems that the person who only agreed for the use of the previous service had not fully recognized if his or her very sensitive information to be used for the newly developing service. Whereas the service developers intended that the process of consenting to personal information explained and included the chance to be used personal information for new services development in the future, it still has an issue of insufficient explanation such as the period of time and the range of information for the data subject. Another problem is the case of illegally collecting and using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of the KakaoTalk chat conversation provided by some user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AI chat robot. In general, there are at least two participants in a chat room, but the developer did not receive consent for the collection and use of chat information from all participants. Therefore, this is an violation of the consent procedure for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stipulat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s this Iruda issue shows, it is a big problem for developers of new services to overlook the consent process for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particular, personal convers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Kakaotalk chat where two or more people participate must obtain consent from each of the participating personal information subjects, and in the consent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service in the future, the period and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information used must be specified.

      • KCI등재후보

        개인형 이동수단 규제의 실효성 검토

        소병수(So Byung Soo),김진웅(Kim Jin Wo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圓光法學 Vol.37 No.1

        최근 환경보호 및 재생 에너지 이용 등의 활성화 분위기로 기존에 주로 이용되던 화석연료를 활용한 이동 수단 이외에 전기 배터리 및 태양열 등을 활용한 이동 수단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에 전기 배터리와 통신기술 등이 접목되며 그 내부 구성과 작동 방식이 점점 효율적이고 간소화되고 있으며, 이용자는 간단한 회원가입 등의 방식으로 단시간 이용이 가능해지는 등 이용 방법 또한 점점 편리해지고 있다.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전동킥보드, 전기 자전거와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의 이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은 저렴한 이용료로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쉽고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며, 이용을 마친 후 보행로 한편에 그대로 두면 되는 편리함도 겸비하고 있다. 이러한 퍼스널 모빌리티는 이용료 대비 편의성이 높다는 것이 특징이며, 서비스 제공자의 경쟁과 이용 가능 지역의 확대로 이용자 편익 역시 증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편리한 이동 수단의 등장 이면에는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한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동이 가능한 전동킥보드의 경우 지정된 구역 이외의 장소에서 이용하거나 횡단보도 등에서 빠르게 질주하기도 한다. 이로 인하여 보행자에게는 위협이 되고, 자동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안전성의 확보 문제이다. 전기 배터리를 이용한 전기 자전거, 전동킥보드 등은 제조와 판매 당시에만 안전 검사를 하게 되는데, 이용자가 일정 기간 이용한 이후에 해당 기기의 안전성 점검은 개인적 선택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일부 소유자들은 자신의 기기의 성능을 높여 제한 속도 이상으로 달릴 수 있도록 하는 등 제조 판매 이후의 장치 안전 확보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일반 도로나 자전거도로에서 이용을 할 경우 헬멧과 보호장구의 착용과 등화기구 등의 사용이 안전 이용에 도움이 되지만 실제로 이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최근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자동차 통행 속도 제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개인형 이동수단의 위험한 이용과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특별히 제재할 수 있는 인력이나 시설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개인형 이동수단은 해외의 여러 국가들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일부 국가들은 이용연령의 제한, 이용가능 지역의 설정, 장치의 등록, 보험 가입, 보호장구 착용 가이드라인의 홍보와 교육 등을 통해 이용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앞으로 전동킥보드의 이용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안전한 이용을 위하여 시의적절한 법규정의 마련과 동시에 사업자의 자율 규제 강화 및 이용자 의식의 고양이 함께 어우러져야 편리하고 안전한 이동 수단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Shape of Mobile devices are changing for many reasons such as eco-friendly, economy, and speed. Instead of using fossil fuels, hydrogen fuele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are gaining more popularity today. In accordance with this eco-friendly mood, small-sized personal mobile devices are attracting users. Such as electric scooters weighing less than 30kg and driving maximum speed of 25km/h are rapidly emerging as new methods of transportation. The reason of the popularity is that it can be driven anywhere after purchase or rent. When you are finished using it, you can leave it on one side of the road. It can easily be purchased and own for daily use or commuting. Electric scooters are very convenient, economical and fast.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behind it. As the user population increases, various problems arise. The most important concern is a safety issue. Especially, personal injuries, collisions, traffic accidents frequently occur. The causes of such accidents are varies. It is because the users neglect the safety rule. For example, safety gear is not properly worn, or users are driving on the prohibited roads. The users also drive too fast on the pedestrian crossings. Besides this, there are also systemic problems. After electric scooter is purchased, it is no longer to subject to receive a regular maintenance. Some owners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ir devices so it can run above the speed limit.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secure device safety after manufacturing and sales. It is because the safety check of the device is not a mandatory for the user. Personal mobility is also widely used in many foreign countries. Some countries are securing the safety of users and pedestrians by limiting the age of use, requiring insurance, setting available areas, and promoting and training guidelines for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In particular, it will be transformed into a convenient and safe means of transportation only when timely legal regulations are prepared, self-regulation of business operators is strengthened, and the user consciousness is properly harmon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