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충격에 신관의 생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층 충격완충장치 전산해석 연구

        소경재,김민겸,이대희,Soh, Kyoung Jae,Kim, Minkyum,Lee, Daehee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3 No.4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ffective shock absorber. The existing shock absorber is fabricated only with polyethylene; however, the new shock absorber comprises polyethylene on the outside and a high-density material on the inside. The shock was mostly reduced when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materials was large. Aluminum, titanium, and copper were chosen as the outer structure of two-layer. Shock reduction was most effective in copper with the highest density, and the maximum deceleration was reduced by 43% while the impulse was reduced by 51% in the proposed shock absorber than the traditional shock absorber. In the cases of four-layer and six-layer shock absorbers, the impulse was reduced, but the maximum deceleration was increased. The fuze must survive from the biggest shock and the remaining shock waves should not exceed the threshold. Thus, a two-layer structure shock absorber using polyethylene-copper was proposed. 본 논문은 충격을 줄이기 위해 효과적인 충격완충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기존의 충격완충장치는 폴리에틸렌으로만 만들어졌지만, 새로운 충격완충장치는 외측에는 폴리에틸렌, 내측에는 고밀도 재료로 구성하였다. 충격은 내측과 외측 물질 사이의 밀도 차이가 더 클 때 줄어들었다. 2층 구조의 외측으로 설계하기 위해 알루미늄, 티타늄, 구리를 선택하였다. 가장 밀도가 높은 구리에서는 충격 감소가 가장 좋았으며, 기존 충격완충장치보다 최대 감가속도는 43%, 충격량은 51% 감소하였다. 4층, 6층 충격완충장치의 경우, 충격량은 줄였지만, 최대 감가속도는 증가하였다. 신관은 가장 큰 충격으로부터 살아남아야 하며 나머지 충격파는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본 논문은 폴리에틸렌-구리를 사용한 2층 구조용 충격완충장치를 제안하였다.

      • USB2.0 용 All-synthesizable 저 전력 전압모드 송신기 구동회로

        소경재(Kyoung-jae Soh),김병섭(Byung-Sub Kim),심재윤(Jae-Yoon Sim),박홍준(Hong-June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18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The transceiver for USB2.0 interface was designed with Verilog and synthesized to enhance design portability. The proposed transmitter (TX driver) generates 0 ~ 400 mV output and implemented using tri-state inverter cell and FSM (Finite State Model). The transmitter driver employs a differential voltage-mode architecture with a variable output voltage swing and includes a pre-driver. The transmitter satisfies the USB2.0 eye-mask specification in the measured eye diagrams. The transmitter consumes 9mW at 1 V sup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