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수도권지역 개발에 따른 자연재해 특징분석 : 안양천 유역분지에서 잠재적 수해특성 분석

        성효현 한국공간정보학회 1996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안양천 유역분지를 중심으로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이전의 하도를 복원하여 하도의 변화를 파악하고 안양천 유역분지내에서 1957년과 1991년 사이의 토지이용패턴의 변화를 살피려한다. 또한 안양천유역의 상류부근에서 1989년이래 대규모 택지개발로 시가지역이 확대되면서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수문 현상을 파악하여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의 변화양상을 파악하려고 한다. 안양천 유역 분지에서 1957년과 1991년 사이에 하천은 대부분 직선화 되고 지류의 소하천이 복개가 되어 하천의 총길이다 87Km가 감소 되었다. 특히 토지이용 변화에서 가장 획기적인 변화는 유역분지내에서 10%의 농경지와 20%의 임야가 감소되고, 기사지역이 약 30%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수해돠 같은 자연재해가 일어나기 쉬운 안양천 하천 버퍼내의 토지이용현황을 보면 1957년에는 하천 버퍼지대가 주로 임야(42.53%)와 농경지(43.08%)로 이용되고, 오로지 14.39%만이 시가지역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1991년의 하천 버퍼지대에서는 집중적으로 개발되어 42.76%가 시가지화 되었고 약 30%가량이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어 홍수시에 수해의 피해 규모가 증대될 가능성이 크다. 강우량의 규모와 분포패턴에 따라 다르겠지만 안양천 상류지역에서 평촌지구 및 산본지구의 택지개발을 전.후하여 대체로 개발전과 개발후가 진행되고 있는 시기 보다 강우량에 대한 수위의 변화량이 적은 편이다. 이는 개발전에 평촌 및 산본 택지 개발지구가 대부분 논이나 임야로 되어 있었던 지역이기 때문에 논이나 녹지에 의해 유량이 저류되었다가 서서히 하도로 흘러들어 가서 수위의 변화량도 완화되고 최고 수위가 나타나는 시간도 지연되기 때문이다. 개발 후는 하수관거등의 배수시설이 완비됨으로서 우량이 조절되어 수위의 변화량이 완화된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개발전에 비해 개발후는 비가 온 후 즉각적으로 최고 수위에 달하게 되어 홍수도달시간이 매우 단축됨을 알 수 있다. 이지역에서 1989년에서 1993년 까지 시가지역이 약 7.04Km/sup 2/나 증가하고 전체 면적에 대해 5.5%증가함에 따라 불투수층의 증가로 홍수도달시간은 약4 시간 정도 단축되었다.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시넘에서는 도시 배수시설이나 녹지 및 논과 같이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조절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우량에 대한 수위의 변화가 극단적으로 크게 나타나며 또한 홍수도달시간도 매우 단축되어 나타난다. 이는 개발 도중에 홍수해나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며, 개발후에도 홍수 도달시간이 매우 단축되므로 하천가의 개발등은 재해의 규모를 증대시킬 확률이 있다고 생각 된다. 따라서 수해 피해를 줄이고 하천의 친수기능을 살리기 위해 유역분지 내에서 종합적인 치수대책 수립과 개발지역에서 재해영향 평가 제도의 도입이 요구된다. The Anyang-cheon is one of the Han River tributar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35.1km long, has a basin area of 287km2 and touches seven cities of Kyounggi Province and part of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reconstruct the ancient stream network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landuse in Anyang-cheon watershed between 1957 and 1991,2) to measure the change of the hydrologic ¬acteristics with urbanization, 3) to suggest the institutional solutions to reduce natural hazard as the area has urbanized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Anyang-cheon river basin has experienced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1957. Anyang-cheon stream network was oversimplified in the watershed. The total stream length decreased atributaries in the upper part of river basin have eliminated or buried undergrolmd in pipes. 2.Urbanization impacted to all of the area of Anyang-cht'On watershed. Urbanization in Anyang-cheon watershed corresponds to the large portion of flat area, especially flood - prone zone of river side, and the small portion of Greenbelt to constrain urban expantion in cities. 3.The urbanization of Anyang-cheon watershed produces fundamental changes in watershed hydrology. As infiltration is reduced by the creation of extensive pavement, concrete surface, and sewer pipe, runoff moves more quickly from upland to stream. As a result, runoff from the watershed is flashier, increasing flood hazardAs urban area continue to grow we will need to better utilize stream by protecting and enhancing stream systems.otecting and enhancing stream systems.tems.

      • KCI등재

        교육정보화를 위한 교육정보관리시스템 연구

        성효현,이혜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7 교과교육학연구 Vol.1 No.-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전국적으로 형평성 있는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기존의 교육 시설교육 공급자 및 수요자를 유기적으로 조직하여 통합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략 계획 및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마다 지역특성에 입각하여 효율적인 교육계획과 관리를 할 수 있는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그의 활용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입지-배분모형(location-allocation model)은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교육이용자에게 교육서비스 시설을 어디에 입지 시키는 것이 최적인가를 제시해 주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입지 문제와 배분문제를 동시에 풀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전자는 각 교육서비스 시설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교육 수요자분포를 알고 있을 때 교육시설을 어디에 입지 시킬 것인가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일단 배치된 교육시설이 어디에 분포한 교육수요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룬 것이다. GIS를 통해 교육시설 및 교육수요자의 분포를 그의 속성과 함께 교육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교육기회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교육관리에 있어서 효율성을 최대화 시키기 위해 최적입지-배분모형을 구축할 수 있는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은 교육의 공급자와 수요자 간에 총이동거리의 최소화, 수요의 최대화, 형평성의 최대화를 추구하는 함수를 설립하여 공간배열에 있어서 효율도를 높일 수 있다. 개발된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은 지역 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고 지방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도록 세분화된 지역 단위별로 사회, 경제적 지역정보 및 초, 중, 고, 대학의 교육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은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교육관리 및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모듈식으로 개발되었다.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은 도형정보 관리모듈, 속성정보 관리모듈, 정보검색 모듈, 정보분석 모듈, 정보 출력모듈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교육정보화를 추진하고 합리적으로 관리하여 정책에 반영시키기 위한 교육정보 관리시스템은 공급자의 합리성과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학습-교수활동 측면, 행정 및 물리적 관리시설측면, 지역공동체에 기초한 통합적 활용측면에서 잠재적 활용을 확대시킬 수 있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geographically oriented computer technology and integrated system, can be applied for various decision making problems. To assist decision makers with complex spatial problems, GIS can provide a flexible problem-solving method. Decision makers can generate and evaluate alternative solution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trade-offs among conflicting objectives and to identify unanticipated, and potentially undesirable consequences of solutions.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provides a framework for integrating educ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s. Despite the fact that the need for 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is well recognized among decision makers, the Korean educational sector has done little to use GIS-based strategy to deal with their problem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and to propose the various application of this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educational sector of Korea. GIS is used as an optimal location-allocation problem solving tool for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is paper. To manage a variety of complex educational processes efficiently, educationa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require a system which can handle logical inference, aspatially of spatially based database management; and cartographic modeling.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is developed in this study, allows to design and evaluate alternative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This GIS based institutional system contains all formal educational entities and regional information. Currently, there are 6,240 elementary schools, 2,370 middle schools, 1,733 high schools, 249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15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es. In this system, the study area is maintained as a series of subunit base maps, representing 9 provinces and 6 metropolitan areas which are divided into several subunits (245 counties and cities). Two types of attribute files were constructed for this study: education-related records and regional socio-economic data. Educational resources are not evenly distributed in Korea. To solve the problem of uneven distribu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in Korea, we can use this system to examine a number of alternative location-allocation model according to the need of communities and the supply of educational resources. In addition, the location of additional facilities is suggested for the areas which are undeveloped and short of facilities through GIS.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5 modules: Spatial data management modul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Information output module. It will be applied to many challenging educational tasks in Korea such as learning and teaching, administrative and physical management tasks, human resources planning, and communities based system design.

      • 정보 기술 발달에 따른 지도학의 변화

        성효현 梨花女子大學校 師範大學 社會生活科 2000 綠友硏究論集 Vol.39 No.-

        최근 컴퓨터 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지도의 개념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유도하는 요소는 정보시스템ㅁ적 사고방식인 통합적 시각에 기인한다. 시스템적 사고 방식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지도의 개념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형태로 변화시키고, 자료의 저장과 표현을 분리하여 취급하게 되었으며, 분석적 지도화, 과학적 시각화 및 지도 제작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지도의 사용을 의사소통 중심에서 분석 중심의 가상 지도의 사용으로 확대되었다. GIS는 데이터베이스, 분석 및 그래픽 표현을 통합한 시스템으로 지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지도는 입력데이터의 생성원, 공간분석 및 모델링을 위한 기초자료, 자료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GIS와 관련된다. 과거 지도는 지도학자에 의해 수집, 분석, 생성된 공간정보가 지도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매체였던 반면 현재의 지도는 지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생산할 수 있도록 분석 가능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도구로 변화되고 있다. 분석적 도구로서 지도는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 및 지식 생성과 의사결정을 위한 활동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지리정보시스템의 발달은 지도화 방법, 지도 형태, 지도의 사용패턴을 변화시키면서 지도학의 대변혁을 가져오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The concepts of map have been changed in advances of the electronic technology of compute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urrent factors for change are information systems thinking, emphasis on data storing, analytical cartography, scientific visualization, automated mapping and virtual map use in spatial analytical systems. GIS integrates database, analysis procedures, and graphical representation methods. Maps serve GIS as a source of input data, a framework for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and an output medium. There are two types of map : the 'map an a presentation image' and the 'map as a computational tool'. The maps as a analytical tool are used for the decision-making and content-knowledge-building activity for geographic problem solving. GIS technology transforms cartography by changing what gets mapped, what form maps take, and how maps are used.

      • GIS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성효현 한국공간정보학회 199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지리정보학의 내용과 GIS발달에 따른 대학의 역할, GIS교육 과정 모델, 대학에서의 GIS교육의 문제점과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지리정보학 (GIS)은 공간정보를 다루는 다양한 분야나 교과목으로 구성되며, GIS의 교육과정은 경험중심의 기능교육뿐 아니라 학문체계나 탐구방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조직되어져 GIS에 대한 지식, 기능, 가치가 교육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GIS교육과정개발을 위해 첫째 지리정보학의 특성과 내용을 고찰한 결과 지리정보학은 공간데이타가 연구대상이 되고, 내용은 데이타의 수집과 측정, 데이타 입력, 공간통계학, 데이타 모델링과 공간데이타 이론, 데이타 구조, 알고리즘과 처리과정, 결과의 출력, 분석도구, 제도적.윤리적 문제로 구성되어 진다. 둘째 지리정보학과 대학교육과의 관계에서는 대학이 GIS연구와 개발의 센터로서 GIS활용의 확대를 이끌고, 사회적 요구에 따른 GIS전문가 교육을 담당하였다. 세째 GIS교육과정의 성격과 학습목표를 논한 후 GIS교육강의 내용의 선정과 조직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GIS교육과정은 기본개념 및 원리를 다루는 교육과 소프트웨어 운용에 관한 기술훈련과, GIS 개발에 관한 테크놀리지 및 GIS 프로그램을 활용한 응용측면을 고려하여 교육환경에 맞게 조직되어져야 한다. 네째 대학에서 GIS교육의 문제점으로서 GIS교육이 기술훈련과 기초적 개념 및 원리를 교육해야 한다는 양면성과 GIS의 연구영역이 매우 광범위하며 다양하고, GIS시스템 구축에 따른 경제겆 문제 및 대락에서의 GIS전문가 부족등을 제시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GIS기술훈련을 위한 교육방법의 대안이 대학, 정부기관, 산업체 간의 협동하에서 개발되면 효율성이 높은 GIS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topic of GIS, the academic setting of GIS, GIS model curricula and the possibility GIS education in Korea. The topics which might be included in a science of geographic information consist of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data capture, spatial statistics, data modeling and theories of spatial data, data structures, algorithms and processes, display, analytical tools, institutional, managerial and ethical issues. The problems in teaching a course on GIS in higher education are reviewed. Because of their technological, integrative, and rapidly changing nature, GIS pose major challenges to their education system which it is ill equipped to meet. In higher education a number of initiatives have been taken to provide education about and training with, GIS. The possible GIS curricula are suggested. These curricula are divided into 3 major sections, relating GIS context, technical issues and application issues. The prospects of GIS appears lo depend largely upon the future cooperation of academia, government, and industry

      • KCI등재후보

        풍력자원 표출을 위한 풍속지도 범례의 표준화 방안 연구

        성효현,전상희,안승만,최영진,김규량,구혜정 한국지도학회 2009 한국지도학회지 Vol.9 No.2

        ‘표준화(standardization)’란 일상적이고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 주어진 여건 하에서 최적의 질서를 달성하고자 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정의 할 수 있다. 현재 풍력자원지도의 범례는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풍력자원지도 구현 사례를 조사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범례를 구성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사례연구 외에 색채의 기능과 각 색상별 감정효과를 연구하여 이를 기반으로 보라색, 분홍색, 파란색, 초록색, 황토색으로 이루어진 범례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풍력밀도에 따른 풍력자원지도 범례 구분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andardization of the wind speed map legend for wind resource visualization. The class intervals of wind speed and color systems for wind resource are analyzed based on the case studies on wind resource maps in many countries. In addition to this, the functions of colors and emotional effects by the colors was studied. On the basis of color function and emotional effects, wind speed map legend was composed of violet, purple, blue, green and beige colors system. Nevertheless, there still need further studies on the class interval of legend based on wind power density for wind resource m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