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전자파흡수율 분석

        한재복(Jae-Bok Han),홍성훈(Seong-Hun Hong),최남길(Nam-Gil Choi),성호진(Ho-Jin S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장치의 특성변수인 숙임각(flip angle), 반복시간(repetition time, TR), 에코시간(echo time, TE)을 사용하여 전자파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체중 10 ㎏부터 90 ㎏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검사기법을 적용하였고, 매개변수의 변화에 따른 평균 SAR 및 peak SAR 값을 측정하였다. 체중에 따른 SAR는 TE에서 변화는 없지만 숙임각이 커지고 TR이 짧을수록 증가하였다. SAR 값은 두부 허용 기준치 범위에 포함이 되었고 분절별 체중에 따른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는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SNR은 증가하지는 않았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특성변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대조도와 SNR을 얻어 진단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measured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using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flip angle, repetition time (TR) and echo time (TE) at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subject was applied to same scan technique from body weight 10 kg to 90 kg, were measured for the average SAR and the peak SAR valu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rameter . SAR with different body weight levels was not seen a significant change at TE but it increased in the larger flip angle and the shorter TR. SAR value was within the limits of human head acceptable standard and SNR in segmental body weights was not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body weight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diagnosis by using appropriate parameters which obtained the various contrast and SNR.

      • KCI등재후보

        바이오 드라잉 공정이 바이오매스 기반 발전 플랜트의 에너지 절감에 미치는 영향

        박종혁(Jong-Hyeok Park),안성율(Seong-yool Ahn),박영수(Yeong-Su Park),성호진(Ho-Jin Sung)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열환경공학 Vol.18 No.1

        The research on utilizing renewable energy, which emits less greenhouse gas compare to fossil fuels, is getting noticed as environmental problems arise. Hydrogen energy and biomass as well as natural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heat, wind power, geothermal heat, etc.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For efficient usage of biomass, several pre-treatment process is needed. The torrefaction process removes moisture and volatile gases to produce a solid fuel with a high ratio of fixed carbon. The bio-drying process using the metabolic heat of microorganisms charges less operating costs compared to commercial thermal drying processes. The biomass based power plant applying bio-drying process was modeled with a process simulator and the effect on energy saving was compared with the plant applying thermal drying process. By replacing the thermal drying process to the bio-drying process, heat recovery was needed to use waste heat. In the case applying bio-drying process, boiler feed water preheating and additional steam generation was considered for heat recovery. The required energy for bio-drying process was reduced about 500 kW and required feed stock was reduced about 13%. Though the simulated process has simple heat exchanger network, energy was saved as applying bio-drying process. The bio-drying process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processes utilizing biomass to save energy.

      • KCI등재

        진단방사선 일반촬영에서의 X-ray Beam Collimator 사용 전국 실태조사

        김지혜,성동욱,김정욱,신진호,이순근,정경일,엄종권,이기남,성호진,김윤현,김혁주,Kim, Jee Hye,Sung, Dong-Wook,Kim, Jeong Wook,Shin, Jin Ho,Lee, Soon Keun,Jung, Kyung Il,Uhm, Jong Kwan,Lee, Ki Nam,Seong, Ho Jin,Kim, Youn Hyun,Kim, Hyeog J 한국의학물리학회 2013 의학물리 Vol.24 No.2

        방사선 검사에서 CR, DR의 도입으로 인해 X-선속 조사야의 사용이 경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검사 부위별 조사야를 적절히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현장 실태 조사와 설문 조사하고, 조사야의 기준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표준 조사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 경기도,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 부산 지역 총 333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X-선속 조사야의 사용 실태를 현장 조사하여, 검사부위별, 의료기관종별, 영상종류별로 조사야 조절의 사용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야 조절이 방사선피폭에 미치는 영향과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종합병원 10곳, 병원 10곳, 의원 10곳의 일반촬영실에 근무하는 168명의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X-선속 조사야 조절이 환자피폭선량 저감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조사야 조절 방법과 실제 사용하고 있는 검사부위별 X-선속 조사야 크기를 설문 조사하였다. 검사부위별 적합한 조사야을 사용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61.3%이었으나, 주요 장기가 밀집된 요추 검사의 경우에는 적합한 사용이 49.9%에 불과하였다. 의료기관종별에서는 종합병원이 약 69%, 영상종류별로 보면 DR을 사용하는 병원의 65.0%에서 적합한 조사야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7.6%가 조사야 조절이 환자에게 끼치는 선량을 줄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부위별 X-선속 조사야의 크기를 조절하여 검사하는 경우는 83.3%이었다.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적절한 조사야를 사용하는 경우가 실태조사를 통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환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시급히 필요하며, 조사야에 대한 통일된 표준 규격이 필요하여 철저한 교육이 동반되어야 한다. Due to the introduction of CR and DR, it has been neglected the use of the X-ray beam collimator and field size. This study examines nationwide survey of the proper use of collimator and field size by area in a specific field of plain radiography and the current status. Authors emphasized the need for the field size criteria, and propose a standard reference field size in each specific radiologic examination. Total 333 medical institutions (included in Seoul, Gyeonggi-do, Jeolla, Chungcheong, Gangwon-do, Busan area),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status of the X-ray beam collimation field size, type specific inspection areas, medical facilities, and image analyses by type to figure out whether they use the adjustment of image field to the specific examination. To assess the awareness and the impact of radiation exposure to the collimation adjustable, 168 radiographers who was working in 10 general hospitals, 10 hospitals, and 10 clinics, were surveyed how they haver adjusted the actual field size. We examine that 61.3% of medical institutions used the "Proper collimation" and only 49.9% of them employed proper one in lumbar spine densely crowded by major organs. 69% among general hospitals, and 65% among hospitals using DR system were using proper collimation. Radiographers recognized that proper adjustment of collimation could reduce the harmful radiation dose on patients. In the survey, 97.6%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is fact, but only 83.3% of respondents did the adjustment of the size of the collimation field. The using of proper collimation field was low in the nationwide survey, so the effort to reduce the radiation dose on the patients is urgently needed. A unified standard for the field accompanied by thorough education should be needed.

      • 미활용 재생연료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모델링 및 구현

        임채영(Chae-Young Lim),여채은(Chae-Eun Yeo),홍세윤(Se-Yoon Hong),박종혁(Jong-Hyuk Park),안성을(Seong-Yool Ahn),이준호(Joon-Ho Lee),김유환(Yoo-Hwan Kim),구재희(Jae-Hoi Gu),성호진(Ho-jin Sung)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2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2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코로나l9(COVID- 19)로 인해 언택트(Untact) 상황 전개에 따라 디지털트윈(Digital 1\vins)기 술이 급격히 부상하고 있다. 디지털트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각화를 포함한 가상화 기 술, 데이터 수집, 데이터 연동기술, 시스템 시뮬레이션 기 술, 상호연동 운영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기 술, 센서 및 통신기술, 보안기 술등 매 우 다양한 기술들을 필요로 한다. 물리적 시스템과 사이버 시스템을 연계하고, 통합하는 중요한 기술로 디지털 트윈은 최근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 분야의 AioT를 통한 디지털 트윈화를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분석 및 정의하고, 또한 풀랜트 분야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구성요소의 개념과 기능 및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모델링을 하였다. 미 활용 재생연료 플랜트의 디지털 트윈 폴랫폼 구축을 위한 핵심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실제 디지털 트윈의 기 능과 특성을 기 반으로 실제 Edge Device를 대상으로한 디지털트윈 실증을 위한 구제적 기능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미활용 재생연료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모델링 및 구현

        임채영(Chae-Young Lim),여채은(Chae-Eun Yeo),홍세윤(Se-Yoon Hong),박종혁(Jong-Hyuk Park),안성율(Seong-Yool Ahn),이준호(Joon-Ho Lee),김유환(Yoo-Hwan Kim),구재희(Jae-Hoi Gu),성호진(Sung Ho-jin)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2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2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코로나19(COVID- 19)로 인해 언택트(Untact) 상황 전개에 따라 디지털트윈(Digital TWins)기 술이 급격히 부상하고 있다. 디지털트윈 울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각화를 포함한 가상화 기 술, 데이터 수집, 데이터 연동기술, 시스템 시뮬레이션 기술, 상호연동 운영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기술, 센서 및 통신기술, 보안기 술등 매 우 다양한 기술들을 필요로 한다. 물리적 시스템과 사이버 시스템을 연계하고, 통합하는 중요한 기 술로 디지털 트윈은 최근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 분야의 AIoT를 통한 디지털 트윈화를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분석 및 정의하고, 또한 풀랜트 분야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구성요소의 개념과 기능 및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모델링을 하였다.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의 디지털 트윈 폴랫폼 구축을 위한 핵심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실제 디지털 트윈의 기능과 특성을 기반으로 실제 Edge Device를 대상으로한 디지털트윈 실증을 위한 구제적 기능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