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최막중의 국토 및 도시계획 연구경향 분석: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성현곤,박인권,지규현,김진유,장경석,김준형,고진수,김승화 국토연구원 2019 국토연구 Vol.103 No.-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search trend of Mack Joong Choi on territorial and urban planning through text mining on his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The study employs text mining methodologies, specifically using a word frequency analysis and a bi-gram language modeling for the titles and topic modeling for abstract contents. Analysis results by the word frequency method demonstrate that his major research topic had been focused on housing-related topics based on empirical evidence. Analysis results by the bi-gram language modeling does not only indicate that his major research topic is housing-related study based on empirical evidence, but also suggest that he had focused on such other research topics as urban development, residential location, social mix, and rail station area development. Analysis results on the topic modeling would identify that his research trend would be categorized into housing market and urban development and planning, which they can be named as private and public sector of the territorial and urban planning field, respectively, if it would be divided into two topics. The topic modeling analysis also informs us that his research could be more specifically classified into 13 topics. Lastly, analysis results on yearly research trend demonstrate that he dealt with emerging issues at that time while researching with more diverse issues such as leisure at recent years. 국토 및 도시계획의 역사가 60주년을 넘어서면서, 지난 계획의 동향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할 시기에 접어들었다. 최근 이를위하여 몇몇 연구들이 노력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그수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그 접근 방법 또한 주관적이고 임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텍스트마이닝을 통하여 국토 및 도시계획 분야의 2세대 주요 연구자 중의 한 명인 최막중의 국내외저널에 발표 한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국토 및 도시계획에 관한 지난 30여 년간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그의 논문 제목에 대한 단어 빈도 분석과 Bi-gram 언어 모델링, 그리고 그의 영문요약에 대한 토픽 모델링 등의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단어 빈도분석에 의한 분석 결과는 그의 주요 연구 주제가 경험적 증거 기반의 실증분석을 주택과 관련된 주제에보다 초점을 맞추어 왔음을 보여주었다. 또한Bi-gram 언어 모델링에 의한 분석 결과는 워드 클라우딩 분석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그 결과를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구의 세부주제가 연결되어있지만 독립적으로, 그리고 보다 분화되어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즉, 그는 도시 개발, 주거 지역, 사회적 혼합 및 역세권 개발, 여가와 같은 다양한연구 주제도 다루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연구 경향을 두 가지 주제로 대별하여 Bi-gram 토픽 모델링으로 분석하면, 주택 시장 연구와 도시 개발 및 계획연구로 분류되었다. 이는 그의 연구가 국토 및 도시분야에서 자본시장인 민간영역과 계획 및 정책분야인 공공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추가적인 토픽 모델링 분석에서는 최막중의 연구가 13가지 주제로 상세하게 분류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논문 초록 텍스트와제목에 있는 주요 단어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그의연구는 당시에 중요한 현안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최근의 다양한 사회구조적 변화에 따라 최근에그의 주제가 더욱 다양해졌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일상생활에서의 보행활동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현곤 국토연구원 2009 국토연구 Vol.62 No.-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such health-level indicators as EQ-5D, EQ-VAS, experiences of chronic diseases in like and obesity in order to identify impacts of the amount of walking activities, which was done in the last week, on them. The analysi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wide survey data for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in 2005. To identify the pure impacts of walking, the study controled other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analysis models, which are known as risk factors for health, including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occupation, marriage, smoking, stress, etc. The results indicate that walking activity in daily life itself has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individual health status as much as or even more than other physical activities such as high-and middle-intensity exercises. In addition, individual adults who a little more walked in the last week are more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ir health status than people conducting much more extensive walking, as compared to adults with no walking. However, as the term of walking activity more increases, probability to be obese tends to more decrease. The analysis results imply that walking is very an important factor in the field of transport planning in influencing public health as well as relieving social costs resulting from inordinate dependence of automobile on travel.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보행활동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네 가지 건강지표, 즉 EQ-5D, EQ-VAS, 만성질환 경험 여부, 그리고 주관적 체형 지표를 이용하여 지난 1주일간 보행활동시간과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분석자료는 보건복지부의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개인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생활습관, 그리고 다른 신체활동을 통제한 상태에서 보행활동량이 건강상태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보행활동이 고강도 및 중강도의 신체활동에 비하여 건강증진 효과가 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보행활동을 거의 하지 않은 성인에 비하여 보행활동을 아주 많이 하는 성인보다는 다소 보행활동을 하는 성인의 건강증진 효과가 보다 큼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보행활동량은 가급적 보다 많이 할수록 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결과는 보여주었다. 교통에서 보행활동은 이전까지 주로 주교통수단이 승용차와 대중교통의 보조교통수단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건강과 교통과의 관계에서는 보행활동이 일상생활에서 성인의 건강증진에 중요한 수단임을 본 분석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행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교통측면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서울시의 주차 및 대중교통 이용여건이 통행목적별 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성현곤,신기숙,노정현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통행목적별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를 것이라고 판단하고, 교통수단을 결정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그 요인들의 영향을 찾아보았다. 변수들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목적지와 거주지에서 대중교통수단 결절점 접근성, 그리고 승용차 이용여건 등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통행자는 통행목적과 상관없이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데에 통행시간을 크게 고려하고 있어서, 통행시간이 길수록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고, 환승을 감수하며, 버스보다는 지하철을 선택한다. 승용차 여부를 선택 시에는 차량이용 여건과 목적지의 주차용이성을 고려하며, 대중교통수단 선택이후에는 대중교통 결절점 접근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 다. 통행목적간 비교에서는 통근통행에서는 목적지에서의 주차와 차량이용 여건이 좋을수록 승용차를, 쇼핑 및 여가통행에서 는 주거지에서의 버스 및 지하철의 접근성에 따라서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통근행태와 건강과의 연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성현곤,신기숙,노정현 대한교통학회 2009 대한교통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association of commuting behavior with health for workers in the Korea Capital Region. The study surveyed a total of 1,285 commuters whose major work is deskwork-oriented; the authors obtained their health status on body form, blood pressure and cholesterol as well as their commuting behavior. The measures of the latter were comprised of a main commuting mode, a use term, out-of-vehicle time, total travel time, transit transfer, and alternative mode in order to identify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obtained through commuting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 that non-automobile commuters are positively associated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 as compared to car commuters. Specifically, bus commuters and walkers had decreased weight, blood pressure, and cholesterol, while rail commuters are only correlated to relieving cholesterol. In addition, the measures for health are improved as out-of-vehicle time increases. For commuters who drive to work, their health status tends to be worse.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통근행태와 건강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행정/사무/관리/연구직 등 대체로 앉아서 근무하는 직장인 1,285명의 통근행태뿐만 아니라 키와 몸무게, 혈압, 콜레스테롤 등 건강상태를 포함하여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건강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통근행태를 통하여 신체활동의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는 통근수단, 이용기간, 차외시간, 총 통행시간, 환승여부, 대체수단 여부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승용차를 이용하는 통근자에 비하여 비승용차를 이용하는 통근자들의 건강상태가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버스와 도보를 이용하는 통근자는 비만 감소와 혈압, 콜레스테롤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으며, 반면 지하철을 이용하는 통근자들은 비만과 콜레스테롤의 감소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승용차 이용기간이 긴 통근자는 비만과 혈압, 그리고 콜레스테롤이 보다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서울시 역세권에서의 토지이용 및 도시설계특성이 대중교통이용증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성현곤,김동준,박지형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4

        도시의 무분별한 확대를 방지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TOD)이다. 이는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여러 구성요소가 조화롭게 개발되는 계획기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밀도(Density) 및 다양성(Diversity) 등의 토지이용특성과 가로망 및 건물형성 등의 도시설계특성이 대중교통이용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서울시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토지이용특성과 도시설계특성을 대변하는 다양한 계획요소를 고찰하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총 32개의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7개의 요인을 도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업무 및 상업중심의 고밀도 특성과 토지이용의 복합화, 그리고 협소한 가로망이 밀집되어 있는 특성은 대중교통이용증대에 매우 큰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신도시개발시 또는 기존 역세권을 정비할 때 이와 같은 요소의 반영은 대중교통의 이용을 증대시켜 대중교통중심도시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One of the efforts both to prevent urban sprawling development patterns and to promot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is known as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including such planning elements as the density and diversity of land use and pedestrian-friendly urban design around a transit center. The aim of this study is thus to conduct impact analyse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transit ridership in the Seoul rail station areas. First, the authors investigate and draw out various actual elements of TOD planning by using GIS-based data and Smart Card data. Then the authors analyze impact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transit ridership for the Seoul rail station areas. After condensing 34 variables presumably influencing transit ridership into seven factors by using factor analyses, the study utilizes multiple regression modeling methods to identify their impacts on transit ridership.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ransit ridership tends to increase more in rail station areas where there is a non-residential high density, mixed use of land and narrow and small-size road network patterns. The implementation of TODs should be a useful method in inducing a Transit-Oriented City through redevelopment and new development.

      • KCI등재

        수도권 역세권 토지이용패턴과 철도이용 수요와의 연관성

        성현곤,천상현 국토연구원 2014 국토연구 Vol.81 No.-

        This study identifies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user demand for railway stations and the land use pattern of transit station area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Using 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land use strategy beyond the walkable distance (about 500m) from a rail s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attracting rail transit users. More specifically, land use characteristics within 1,500m from a station is significant to shape transit ridership for both intra-urban and urban railway extension routes.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to effectively increase rail transit ridership, mixed-use development strategy is important, as much as density one, especially for intra-urban and urban railway expansion railway types. Another implication for TOD planning and policies is that different railway types operat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require differentiated TOD development strategies to increase transit ridership effectively. Non-residential development is effective for urban railway expansion routes, whereas both residential-oriented and mixed-use development are more effective for inter-urban railways. For inter-regional railways, non-residential development in non-walkable areas from a rail station can be beneficial. 본 논문은 수도권 철도역세권을 대상으로 TOD 계획요소(토지이용 밀도와 다양성 패턴)와 철도역 이용수요와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수도권 내 운영되는 다양한 철도 유형별로(도시철도, 도시철도 연장, 도시 간 철도, 지역 간 철도) 다수준 회귀모형(1수준-철도역 속성, 2수준-철도노선 속성)을 구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설명변수로서 토지이용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로서, 수도권 철도역세권 개발 시 도보권 내뿐만 아니라 비도보권에서의(반경 1,500m까지) 개발밀도 역시 철도역 이용자수를 증진시키는 데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도시철도(연장선 포함)의 경우는 개발밀도 외에 토지이용복합도 증진 전략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광역철도의 유형별로 TOD와 연계하여 철도역 이용수요를 증대시키고자 할 때, 철도의 유형(도시철도 연장선, 광역, 지역 간)에 따라 전략적으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성현곤,김태현 대한교통학회 2005 대한교통학회지 Vol.23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by rail use characteristic. Most studies have categorized rail-oriented areas, based on land use patterns or/and urban spatial structure in Korea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land use pattern of a subway station area tends to form by the real use of subway users since the latt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former. Therefore,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and policy of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rail use.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uses a factor analysis for rail use, in terms of time of the day and day of the week, and then conducted 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o identify a relation of the real pattern to land use pattern. The results find that the Seoul subway station areas are categorized into residential, commercial and recreational, and office-centered ones. Furthermore, un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study identifies that many station areas have the mixed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ctivities. That is, they form more than a centered function such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residential and office, commercial and office, residential, commercial and office.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s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rail use and land one. In short, identification of these mixed characteristics for subway station area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method of TOD in Korea. 본 연구는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역의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서울시의 역세권을 유형화한 후 이를 토대로 토지이용특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역세권 유형화를 위하여 지하철역 이용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토지이용특성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의 지하철의 역세권이 주거, 상업 및 여가, 그리고 업무중심우위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거/상업, 주거/업무, 주거/상업/업무 등의 다기능 우위를 지닌, 즉, 복합적 이용특성을 가진 다수의 지하철역도 파악되었다. 이러한 복합적 이용기능의 특성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역세권개발과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의 역세권 유형화 연구가 대부분 도시공간구조나 토지이용특성을 가지고 계획적 측면에서 접근한 반면에, 본 연구가 지하철역의 이용패턴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역세권을 유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