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세포사멸 및 신경퇴행과 관련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들

        성지현,정효순,조쌍구,정미영,이응룡 대한암예방학회 2006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1 No.3

        Apoptosis is a programmed cell death which has a critical role in embryonic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homeostasis in various cells and tissues. The mitochondrian is the cellular power plant providing ATP for most processes requiring energy and also, has a decisive role in the regulation of apoptosis by controlling the release of some mitochondrial proteins such as cytochrome c, AIF, Smac/ Diablo, and Omi/HtrA2. Studies in mice gene-deleted for Omi/HtrA2 and AIF showed the involvement of these mitochondrial proteins in selective cell degeneration in the striatum and celebellar neurons. Mutation in the mitochodrial AAA protease gene, paraplegin, caused an autosomal form of 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and a distinctive apoptosis in corticospinal neuronal axo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 fault of respiratory chain in mitochondria contribute to various neurological disorders. However, the pathogenetic mechanisms of selective neurodegeneration is not completely known. The elucidation of biological functions of mitochondrial proteins may shed new light on the development of novel drug for the prevention and therapy for the human neurological diseases. (Cancer Prev Res 11, 256- 263, 2006)

      • KCI등재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에 작용하는 요소와 교수·학습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성지현,이종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1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은 타고난 잠재력과 창의적 생산력을 지니고 있지만, 단순히 그들이 모여 있다고 해서 집단 수준의 창의적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을 촉진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학영재학급 수업에서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총 3차에 걸친 델파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에 작용하는 요소는 투입 변인과 과정 변인으로 나누었다. 투입 변인에는 집단 구성원, 집단 구조 및 분위기, 외부 요인이 포함되었고, 과정 변인에는 인지적 과정과 사회적 과정이 포함되었다. 또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능력과 흥미에 적합한 것으로 개념, 과정, 문제 기반, 프로젝트 기반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분류되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수업 방법, 수업 주제, 수업 모형으로 분류되었고,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활동하거나 집단 활동을 통해 협력적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방법들이 적절하다고 도출되었다. 그 외에도 수학적 창의성 발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문제제기나 문제해결, 집단구성원이 지닌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적절하였다.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ho have inborn potential and creative productivity, may not achieve grouplevel creative synergy, although it is important for them to achieve it. Therefore, it is crucial to find beneficial factors, effective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to enhance group creativity among them. For this purpose, the delphi method was adopted. Th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manifestation process of group creativity were not only input factors, such as group members, group structure, climate, and external factors but also process factors, such as cognitive processes and social processes. In conclusion, teachers should consider those beneficial factors before planning teaching.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for enhancing group creativity are those suitable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terests and abilities, which may be categorized as mathematical concept, mathematical process, problem-based, and project-bas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nhancing group creativity are those suitable for student-centered activity or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which may be categorized as teaching method, subject-oriented method, and teaching model. In addition, teachers should adopt such contents to maximize potential group productivity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apply the methods that can encourage problem solving or posing for the manifest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 KCI등재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목표 및 양육피드백이 양육플로우 경험을 매개로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지현,백지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roles of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as conditions for flow experiences in parenting,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flow experiences on parent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651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Mother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four scales. Path analyses showed that both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others’ flow experiences.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were also direct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ing goa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atisfaction; however, parenting feedback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In the association among parenting goals, feedback, efficacy, and satisfaction, flow experiences mediated the relationships through their indirect effects on parenting efficacy and satisfac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are conditions for flow experience in parenting. Parents may be able to develop or increase the number of their flow experiences, which can enhance thei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daily parenting, by fulfilling the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se experiences.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이 긍정적인 경험이 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플로우(flow) 이론을 바탕으로 양육에서 부모가 가지는 양육목표와 양육피드백이 양육플로우 경험의 조건이 되는가를 확인하고 양육플로우 경험은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양육플로우 경험이 변인 간을 매개하는 모형을 가정하고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만 3-5세 유아를 둔 어머니 651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1)양육목표 및 양육피드백, 2)양육플로우 경험, 3)양육 효능감, 4)양육 만족 척도로 총 4가지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목표, 양육피드백은 양육플로우 경험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이었다. 둘째, 양육목표는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양육피드백은 양육 효능감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양육플로우 경험은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양육목표와 양육피드백은 양육플로우 경험을 매개로 하여 양육 효능감과 역할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양육에서 플로우 경험이 가지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양육목표와 양육피드백이 양육플로우 경험을 형성하는 조건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부모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양육에서 플로우를 느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動詞「見せる」に関する一考察 -「見せる」動作の対象を中心に-

        성지현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3 일본언어문화 Vol.24 No.-

        The verb “miseru” means “showing”, and it can be used in the following sentencestructure: AがBにCを見せる. Here, A represents an Agent, B represents a Patient,and C represents an Object. Unlike an agent and a patient, who are always humans,various things can serve as an object, such as a human (e.g., hanayome wo miseru(花嫁を見せる), a thing (e.g., denbunn wo miseru (電文を見せる)), or an event (e.g.,ittchi wo miseru (一致を見せる)). However, not all nouns (or noun phrases) can serve as an object of the verb“miseru,” as shown by the following examples that are inappropriate: “jiyuu wo miseru(自由を見せる)”, “mendo wo miseru (面倒を見せる)”. In this paper, we examined empirical data to address the question: what servethe object of the verb “miseru” as in the sentence structure “AがBにCを見せる”?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ings that have concrete forms, such as a thing, partsof the body (mono (モノ)), were most often used as objects. In addition, things thathave less concrete forms, such as human figure, appearance, reaction, facialexpression, and motion (koto (コト)) also found to serve as objects. Furthermore,ideas that do not have concrete forms nor can be visualized, such as inner feelings,status, will, physical condition, abstract concepts also served as objects. All thesedifferent kinds of objects had one common characteristic; they all belonged to theagent. Finally, the verb “miseru” can be also used when the patient notices the object,as opposed to when the agent shows an object. In such a case, non-volitional objectsof the verb “miseru”, such as “suki(隙)”,“kehai(気配)”,“iro(色)”were used.

      • KCI등재

        「見える」と「보이다」の意味・用法について-コーパスに見られる使用実態に基づいて-

        성지현 한국일어일문학회 2023 日語日文學硏究 Vol.125 No.-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Japanese word "mireru" and the Korean word "poida", which have many similarities, such as recognizing the object of motion and expressing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as a verb based on visual activity. Despite these many similarities, there is no study that compares Japanese "mireru" and Korean "poida", and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consideration is needed for each study of "mireru" and "poida". In this paper, we use a corpus based on examples extracted from various texts to empirically examine sentences in which "mieru" and "poida" are used, describe their meanings and usage, and examin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forms. In other words, the meanings and usages of "mieru" and "poida" represent "visual usage", "subjective judgment usage", and "objective judgment usage", and the similarity of their usage was pointed out. In addition,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it was found that "mieru" was dominated by "visual usage", and "poida" was dominated by "subjective judgment usage". Lastly, it was pointed out that both "mieru" and "poida" can represent not only individual "subjective judgment" but also "objective judgment"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 KCI등재

        표찰화 관점에서의 격의 역할

        성지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3

        Chomsky (2000)의 최소주의에서는 격조사의 역할을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격의 변화가 의미해독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Chomsky (2005)는 격 자질이 값을 가지는 것은 φ-자질의 일치로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특히 값이 없는 T의 φ-자질이 DP의 φ-자질로부터 값을 받을 때, 격이 주격으로 값을 가진다. Saito (2014)는 Chomsky (2005)의 주장에 대해 뒤섞기와 다중 격조사 현상이 나타나는 언어에서는 격의 값 부여와 표찰 알고리즘이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진다고 제안한다. Saito (2014)는 Bošković (2007)의 분석을 받아들여 격의 값 부여는 φ-자질의 일치와 무관하게 일어난다고 보고, T와 DP가 φ-자질 일치를 이루고 난 후에, DP가 TP의 spec자리로 내부병합을 할 경우, T로부터 격의 값을 부여받는다고 주장한다. Saito (2016)는 격접미사가 발달된 한국어나 일본어 같은 언어에서는 격접미사가 명사에 붙어 항-표찰화 기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 주장을 받아들여 항-표찰화 기제 작동의 증거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일본어에서는 Saito(2016)의 예문을 통사적 데이터로, 한국어에서 Park (2010)의 실험데이터를 심리언어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통사적 심리언어학적 분석이 논항에 붙어있는 격접미사가 항-표찰화 기제 역할을 하여, 문장의 통사적 도출에서 표찰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통사적 도출에서 격접미사는 λ-자질을 포함하고 있어 항표찰화 기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