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성정원,이명훈,신현탁,윤정원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4 기후연구 Vol.9 No.1
Corydalis cornupetala is one of annual herbaceous species and belongs to Corydaceae. This spring ephemeral plant is also one of the Korean endemic plant species and ranged only at the Gyaejeongsub(woodland) in Gyeongsan City. The overall researches to this species due to limited distribution and life strategy has highly significant. The present study is to support the habitat conservation including single recovery plan based on information of sit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The wild habitat of Corydalis cornupetala is typically ranged at 70m HSL with silt sandy loam on the southeast gently slope. The flowering time was slightly different by the year; 18 March in 2011, 6 March in 2012 and 8 March in 2013. The flowering period was gradually increased in the recent three years; 19 days in 2011, 29.2 days in 2012 and 32 days in 2013. The habitat of Corydalis cornupetala should be managed both by in situ and ex situ conservation. Regarding to this, the clear evidence is remained as individual number was gradually decreased as 186.51 in 2011, 182.64 in 2012 and 160.24 in 2013.
쇠뿔현호색 (Corydalis cornupetala Y.H.Kim et J.H.Jeong) 자생지의 생육환경과 식생구조
성정원,이명훈,윤정원,김기송,신현탁,김용식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3
The species of Corydalis cornupetala Y.H.Kim et J.H.Jeong Which is belong to the Corydaliaceae is only distributed at the Gyaejeong Forest in Gyeongsan. As one of the spring ephemeral plants, this species has limited growing period. The present study is on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in the wild habitats of Corydalis cornupetala Y.H.Kim et J.H.Jeong and offers basic information on habitat conservation including recovery plan. The soil texture is silty loam and soil acidity is ranged as pH 5.4~5.9. The electric conductivity was 0.22–0.50 ds/m and soil organic content is ranged as 7.61~15.78 %. Fifty nine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from 5 quadrats. According to the two way cluster analysis applied by the PC-ORD, the community was classified as Acer ginnala, Vicia amoena and Stellaria aquatica. The habitat of Corydalis cornupetala Y.H.Kim et J.H.Jeong was determined by the dissimilarity indices rather than the species number of appearance. Species diversity was 1.26, and dominance and evenness were found to be 0.08 and 0.92, respectively. 쇠뿔현호색은 현호색과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경산시 계정숲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특산식물종이며, 춘계단명식물로 제한된 생육기간과 자원으로 생활전략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쇠뿔현호색 (Corydalis cornupetala Y.H.Kim et J.H.Jeong) 개체군을 대상으로 자생지의 입지 특성과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쇠뿔현호색 개체군 및 생태연구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 자생지 보전을 위한 복원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토성은 미사질식양토이며, 토양산도는 pH 5.4~5.9로 약산성, 전기전도도는 0.22~0.50ds/m, 토양유기물함량은 7.61~15.78%로 나타났다. 토양분석결과 양이온치환용량이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방형구에서 유독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식생분석결과 5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59분류군이었다. 군락분류의 경우 PC-ORD를 이용한 이단계 군락분석 결과 신나무, 갈퀴나물 및 쇠별꽃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쇠뿔현호색의 자생지는 출현종의 수보다는 우점하는 종의 상이성에 따라 집단의 유연관계가 결정되었다. 종다양도는 평균 1.26로 산출되었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08와 0.92이었다.
성정원,송영근,구하은,김현화,변세민,이채림,박석곤,이경철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6 No.2
Abstract - In the current study, four groups; control, 500, 1000, and 2000 ㎎/L, were tre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n Machilus thunbergii under various fertilization levels. As a result of the physiological response to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e fertilized group demonstrated relatively higher levels of A, ITE, WUEi, Vcamx, PIabs, and SFIab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The best photosynthetic mechanism was most clearly seen at 1000 ㎎/L, which involved gas exchange through active stomatal opening and closing. For a productive photosynthetic mechanism. As seen in the growth response of M. thunbergii to fertilization treatment, the fertilized group has significantly higher height, DRC, leaf dry weight, stem dry weight, total dry weight, LWR, and SWR than the control group. A healthy seedling quality index was particularly evident at 1000 ㎎/L, and other growth indicators were also at a decent level. 500 ㎎ /L also demonstrated growth characteristics that were comparable to those at 1000 ㎎/L. As a result, M. thunbergii featured the best physi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the fertilization treatment at 1000 ㎎/L, and 500 ㎎/L also showed a similar trend, which is considered to be a good option from an economical perspective. 적 요후박나무 묘목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시비농도에 따른 간장, 근원경, 묘목품질지수, 광합성 반응 측정으로 생장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적정 용기묘 생산에 적합한 시비량을 확인하였다. 광합성 특성은 대조구에 비해 시비처리구에서 순광합성속도(A), 순간증산효율(ITE), 내재적 수분이용효율(WUEi), 최대카르복실화속도(Vcmax) 등 높았다. 특히, 시비 농도는 활발한 가스교환을 통해 비교적 높은 A, Vcmax 보였던1000 ㎎/L 과 기공개폐 기작의 조절로 광합성 반응기작을 향상시킨500 ㎎ /L가 적정 수준의 시비로 실험 결과를 보였다. 생장량 또한 대조구보다 시비처리구에서 묘목의 품질지수등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00 ㎎/L은 근원경, 간장이 처리구 중 가장 큰 특징을 보였으며, 잎, 줄기, 전체건중량, 역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았고, 묘목의품질을 나타내는 H/D율 및 T/R율도 건전한 수준인 것을 볼 수있었다. 500 ㎎/L 역시 양호한 생육 특성을 보여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한 가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2000 ㎎/L의 경우, 근원경의 감소로 H/D율은 높아졌고, 지상부에 비해 지하부로의 물질분배가 저조하여 T/R율 역시 증가하는 형태적 특성과 비용 저감을 위한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2000 ㎎/L 의 시비농도는 과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후박나무 용기묘의시비는 500 ㎎/L 혹은 1000 ㎎/L이 경제적으로나 식물의 형태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시비량이라고 판단된다.
성정원,신현탁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1 기후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 당단풍나무, 진달래, 철쭉, 구상나무를 중심으로 생물기후학적 연구를 위한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생물지리학적 장기예측·관리시스템을 확립하고, 식물의 생육환경 변화를 사전에 예측·관리함으로써 식물유전자원을 안정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식물 모니터링 결과 대부분의 식물들이 2009년 보다 2010년 조사에서 개화시기가 적게는 3일에서 많게는 19일까지도 늦어진 경향을 보였다. 낙화시기 또한 개화시기와 마찬가지로 지리산의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수종에서 그 시기가 늦어진 결과를 보였다. 개엽시기는 모든 종들이 2009년과 2010년이 비슷하거나 적게는 4일에서 많게는 67일 정도 시기가 늦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물계절성 연구 중 가장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단풍의 경우 일정한 규칙성 없이 전년도와 비슷하거나 몇 주간을 틈으로 빠르거나 늦은 모습을 보였고, 낙엽은 대부분의 2009년과 비슷하거나 1~2주 정도 늦어진 시기에 시작하였다. 2009년과 2010년의 후반 기온차가 그리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결과 단풍과 낙엽의 시기가 비슷한 것으로 보이며, 몇 몇 식물의 생리적 사이클 시기가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것은 개체 각각의 생리적, 환경적 특성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테라코타 교육의 실태 및 내용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성정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2
Clay, one of the materials frequently and widely used in many places since the prehistorical period, has been utilized in contemporary Korean art education. Playing with clay gives pleasure to students and the tactility from that activity helps them to catch the essence of the nature. Furthermore, making terra cotta works enables students not only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object and space, but also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emotions. Terra cotta class generally provides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others cultural heritages by learning terra cotta works from various historical moments around worl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rt textbooks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and Textbook"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and currently us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erra cotta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art textbooks, terra cotta curriculum needs to improve for the effective education. It requires developing gradual continuations from one to the next grade, embracing more contemporary art works, and carry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make students interested. Furthermore, art textbooks need to include guidelines of 3D field such as modeling and craft fields so to effectively teach terra cotta curriculum.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in curriculum, terra cotta education demands the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 physical environments like studios with essential materials and tools as well as teachers who should be knowledgeable about the nature and relevant materials of terra cotta - for the productive terra cotta education. 인류 초기부터 제작된 테라코타는 자연 재료인 흙을 사용하여 소조기법으로 제작한 후 불에 소성한 것으로 조소영역 안에서 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테라코타 수업은 학습자에게 유희성, 자연의 본질체험, 촉각의 회복, 전통문화교육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테라코타 교육이 학교교육에서 어떻게 시행되는지 알아보고자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초․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통해 실태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테라코타 교육 방향을 논의해보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서 분석 결과로 볼 때 테라코타에 대한 내용이 충분하지 않으며, 초․중․고등학년별 테라코타 교육의 연계성의 확보가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학년별 연계성 확보와 내용의 심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현대 미술의 동향을 반영하고, 다른 교과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수업 내용의 구성, 그리고 물리적인 환경의 개선 등이 효율적인 테라코타 교육을 위해 제시될 수 있다.
성정원,강신구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3 No.4
The flora of Sejong were summarized as 531 taxa including 104 families, 315 genera, 462 species, 3 subspecies, 59 varieties and 7 form. The rare plants were 8 taxa including Nepeta cataria L. and Aristolochia ontorta Bunge. The Korea endemic plants were 9 taxa includ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T. B. Le and Clematis trichotoma Nakai.. The specific plants were 42 taxa including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Ⅴ), Corydalis decumbens (Thunb.) Pers(Ⅳ), Poncirus trifoliata Raf(Ⅲ),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Ⅱ), Cyrtomium fortunei J.Sm.(Ⅰ).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9 taxa including Sicyos angulatus L, Ambrosia trifida L, Physalis angulata L.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Galinsoga parviflora Cav, and Erigeron philadelphicus L. Especially, Sicyos angulatus L., Phytolacca americana L. and Bidens frondosa L. have been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are required to manage. The naturalized index(NI) and urbanized index(UI) were 8.7% and 15.3%. Useful plants incuding Edible was 199 taxa, Pasture was 193 taxa, Medicinal was 178 taxa, Ornamental was 82 taxa, Timber was 25 taxa, Fiber was 18 taxa, Stain was 9 taxa. Useful plants will be important materials for plant design in recreational and healing forests. 본 연구는 세종시 식물자원의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식생관리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식물생태계 보존대책을 마련하기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종시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은 104과 315속 462종 3아종 59변종 7 품종의 총 53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총 8과 8속8종 8분류군으로 취약종(VU) 개박하 등 2분류군, 약관심종(LC) 쥐방울덩굴 등 4분류군, 자료부족종(DD) 큰개고사리 1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여 전체 식물종 중 1.5% 비율로 나타났다. 주목은생태적으로 중요하지만 수형과 형태가 곧아 조경 식재용으로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특산식물은 총 8과 9속 9종 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은사시나무, 오동나무는 산림경관용 군락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 등급 자리공 등 2분류군, Ⅳ등급은 좀현호색 등 4분류군, Ⅲ등급은 탱자나무 등 8분류군, Ⅱ등급은 참개별꽃2분류군, Ⅰ등급은 쇠고비 등 2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8과 38속 48 종 1변종 4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UI) 15.3%, 귀화율(NI) 8.7%로 분석되었다. 산림휴양과 치유에 필요한 유용식물은 식용이 199분류군으로 가장 높았으며, 목초용 193분류군, 약용 178분류군, 관상용 82분류군, 목재용 25분류군, 섬유용 18분류군, 염료용 9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세종시 남부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기 위해수행하였다. 주로 조사된 자료는 생태적 가치에 집중된 경향이있기 때문에 향후 이용객들이 식물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할 수있도록 보전용, 약용, 식용, 관상용 등 구분하여 보전에 대한 중요성 제고와 실생활과 밀접한 자원 발굴 등 자료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세종시 남부일대의 식물상에 대한 자원적 및 생태적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기준 적용을 통한 설악산 보호구역 평가
성정원,강신구,김근호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was aimed to design core areas applied by the global conservation criteria to promote the public awareness to the protected areas and the value cognition of the Key Biodiversity Areas (KBAs), targeting the Mt Seorak,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globally important biodiversity areas. As a method for carrying out this study, the biota were catalog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field trips. With applied by the Global Red List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only nine species were categorized in the studied area; plants were classified into six species as follows: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Hanabusaya asi- atica Nakai, Thuja koraiensis Nakai, Leontopodium leiolepis Nakai, Androsace cortusaefolia Nakai, fish was classified one species as follow: Pungitius sinensis Tanaka, and the mammal was classified as two species as follows: Hydropotes inermis, Naemorhedus caudatus. According to the occupation area (EoO, Extent of Occurrence) and Minimum Viable Population(MVP), the size of protected area was 234.56 ㎢ for plants, 235.07 ㎢ for mammals, and 0.14 ㎢ for fish, and the Key Biodiversity Area (KBA) of Mt. Seolak suggested as 286.72 ㎢ .
공동주택의 식재설계와 시공 일치를 위한 수목 수관폭 표준화 - 느티나무, 대왕참나무, 메타세쿼이아, 왕벚나무를 대상으로 -
성정원,박상욱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1
Unexpected problems in the design process lead to inconsistencies in design and constructi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inconsistency is greatly increased due to the design that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e, and the construction that does not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Eventually detailed design drawings and construction completion drawings show a big diffe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ize of the tree symbol reflecting the exact tree crown width for the major trees that used for landscaping planting construction. The size of the tree symbol to be reflected in the planting design is 21 times larger than that of Zelkova serrata, 23 times larger than that of Quercus palustris, 17 times larger than that of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22 times larger than that of Prunus yedoensis. Further research is needend on the low-frequency analysis tree that of Liriodendron tulipifera, Lagerstroemia indica, Ginkgo biloba, Chionanthus retusa, Aesculus turbinata. The standard of crown width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green cover ratio of apartment complexes. 조경공사는 설계과정에서 예측하지 못했던 문제점으로 인해 설계와 시공간에 불일치가 발생하게 된다. 수목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설계와, 설계자의 의도가 반영되지 않은 시공으로 인해 설계와 시공의 불일치가 발생하며, 실시설계 도면과 준공 도면은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시공되고 있는 주요수목을 대상으로 정확한 수관폭이 반영된 수목심벌 크기를 제안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식재설계에 반영될 수목심벌의 크기는 느티나무는 근원직경의 22배, 대왕참나무는 근원직경의 24배, 메타세쿼이아는 흉고직경의 18배, 왕벚나무는 흉고직경의 23배를 적용시에 시공과 일치하는 배식도면 작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빈도가 낮게 분석되었던 목백합, 배롱나무, 은행나무, 이팝나무, 칠엽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목의 규격별 수관폭 기준은 공동주택 단지의 녹피율 계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성정원,윤정원,신현탁,배준규,강신구,이명훈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는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에 위치한 구룡산 일대 관속식물의 분포조사를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6년 3월부터2017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87과 298속449종 4아종 63변종 10품종 총52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CR등급복주머니란 1분류군, VU등급꼬리진달래를 포함한 5분류군, LC등급 세잎종덩굴을 포함한등 9분류군, DD등급 도라지모시대 1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여 총1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특산식물은 참개별꽃을 포함한 1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84분류군으로 V등급좀미역고사리을 포함한 2분류군, IV등급 회리바람꽃을 포함한 7분류군,III등급 산팽나무를 포함한 21분류군, II등급 가래고사리를 포함한 22분류군, I등급촛대승마를 포함한 3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또한 귀화식물은 좀명아주, 말냉이, 소리쟁이를 포함한 37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11.53%, 귀화율은6.99%로 각각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at Mt. Guryong, we surveyed from March in 2016 toOctober in 2017. The flora of Mt. Guryong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526 taxa comprising of 87 families, 298 genus, 449species, 4 subspecies, 63 varieties, 10 forma. Among them, the endemic plan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as 10 taxa ofincluding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The Korean rare plants species were investigated as 16 taxa, among themdegree of CR investigated as 1 taxa of Cypripedium macranthum Sw., VU investigated as 5 taxa of including Rhododendronmicranthum Turcz., degree of LC investigated 9 taxa of including Clematis koreana Kom., degree of DD investigated 1 taxaof Adenophora grandiflora Nakai.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as 14 taxa of including seudostellaria coreana (Nakai)Ohwi and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a total of 84 taxa such as 2 taxa in degree V(in cluding Polypodium virginianumL.), 7 taxa in degree IV (including Anemone reflexa Steph. & Willd.), 21 taxa in degree III(including Celtis aurantiacaNakai), 22 taxa in degree II (including Thelypteris phegopteris (L.) Sloss.) and 31 taxa in degree I (including Cimicifugasimplex (DC.) Turcz.)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nvestigated as 37 taxa of includingChenopodium ficifolium Smith., Thlaspi arvense L., Rumex crispus L. and the percentage of urbanization index was11.53%, the naturalized ratio was 6.99% respectively.
성정원,김주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3
정의적 영역은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의 인식 부족과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수업과 평가에서 소홀히 다루어지는 편이다. 하지만 정의적 영역은 인지적 영역의 학습에 영향을 주고, 학습의 결과로 얻게 되는 정의적 영역이 사회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교육의 수단과 목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존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는 범교과적인 수준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구체적인 수업과 평가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과별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교과의 정의적 특성을 선정하기 위해 지리전공 수석교사 10명, 박사학위 소지 지리교사 11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소에 대한 감수성’, ‘자연환경에 대한 감수성’, ‘지구촌에 대한 공감적 이해’, ‘공간과 삶에 대한 성찰’, ‘국토에 대한 사랑’,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 ‘세계화에 대한 관심과 기대’, ‘향토를 가꾸고 지키려는 마음’의 지리교과 정의적 특성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리교과의 정의적 영역 교육이 학교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 일반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와 지리교과 정의적 특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를 추후 과제로 제안하고 있다. Affective domain has not been considered in teaching and assessment in Korean schools, due to the lack of teachers’ awareness of it and not being reflected in university admissions. However, it affects the cogni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the affective domain developed as a result of learn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al life. Therefore, affective domain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n educational goal and means. Previous research studies have been done at cross-subjects curriculum level, but in order to apply affective domain in individual subject teaching and assessment, studies on subject-related affective domain should be done first. Hence, a delphi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affective characteristics for learning geography, in which 10 senior teachers and 11 teachers with a doctorate degree in geography participat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8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geography were chosen; ‘sensibility of place’, ‘sensitivity to natural environment’, ‘empathy for the global village’, ‘reflection on space and life’, ‘love for the homeland’, ‘curiosity and inquiring minds for the unknown place’, ‘interests and expectations of globalization’ and ‘the willingness of protecting and recreating hometow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further studies be done so that affective domain can be consistently applied in geography teaching in school ; one on raising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geography, and another on developing measurement tools for affective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