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규직과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 수급율과 급여수준 비교연구실업급여를 중심으로-성은미
성은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7 사회복지정책 Vol.28 No.-
한국의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미가입문제만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비정규노동자는 사회보험에 가입한다고 해도 급여를 받지 못하거나 혹은 낮은 급여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런 문제는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 가입유인을 낮출 뿐만 아니라 사회적 안전판이 없어 비정규노동자가 빈곤층으로 추락하는 것을 막지 못하는 상황을 만든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가입문제와 동시에 비정규노동자가 사회보험에 가입했을 때 받게 되는 급여수준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노동패널 2차-8차 자료를 활용해 비정규노동자와 정규직노동자의 미래연금급여, 실업급여수준을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비정규노동자는 정규직노동자에 비해 낮은 임금과 고용불안으로 낮은 연금급여와 실업급여를 받게 된다. 둘째, 연금가입기간과 관련 없이 연금을 지급하면 비정규노동자와 정규직노동자의 시장임금격차가 연금급여에서 어느 정도 줄어들지만, 10년 이상 연금에 가입한 사람에게만 연금급여를 하게 되면, 임금격차보다 연금급여 격차가 더 커진다. 셋째, 실업급여는 하한선을 결정해 최저임금 90%를 보장해줌으로서 비정규노동자의 노동시장에서의 저임금이 실업급여로 반영되는 정도가 연금에 비해 약하다.따라서 향후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가입비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과 동시에 비정규노동자가 사회보험에 가입했을 때 독특한 고용형태 때문에 낮은 급여를 받지 않도록 국민연금가입기간을 낮추고, 비정규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크레디트제도 등을 고려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The Study of benefits rate of nonstandard worker in the pension and the unemployment insurance This article is on the base of that nonstandard worker’s insurance benefit is important as well as nonstandard worker’s affiliation of social insurance. Even if nonstandard workers are come a member to social insurance, they receive very low social insurance benefit. So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analysis for the future pension benefit and unemployment benefit of nonstandard worker through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The results are first, nonstandard workers are received low pension benefit and unemployment benefit compare with standard worker’s benefit. Second, the gap of pension benefit between nonstandard workers and standard workers are high compare with gap of income benefit between nonstandard workers and standard workers. So, The reduction of the length of pension affiliation and pension credits to a nonstandard worker are necessary. Key word: nonstandard worker’s social insurance, nonstandard worker’s pension benefit, nonstandard worker’s unemployment benefit
정규직과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 수급율과 급여수준 비교연구실업급여를 중심으로-성은미
성은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7 사회복지정책 Vol.29 No.-
The Study of benefits rate of nonstandard worker in the pension and the unemployment insurance This article is on the base of that nonstandard worker’s insurance benefit is important as well as nonstandard worker’s affiliation of social insurance. Even if nonstandard workers are come a member to social insurance, they receive very low social insurance benefit. So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analysis for the future pension benefit and unemployment benefit of nonstandard worker through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The results are first, nonstandard workers are received low pension benefit and unemployment benefit compare with standard worker’s benefit. Second, the gap of pension benefit between nonstandard workers and standard workers are high compare with gap of income benefit between nonstandard workers and standard workers. So, The reduction of the length of pension affiliation and pension credits to a nonstandard worker are necessary. Key word: nonstandard worker’s social insurance, nonstandard worker’s pension benefit, nonstandard worker’s unemployment benefit 한국의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미가입문제만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비정규노동자는 사회보험에 가입한다고 해도 급여를 받지 못하거나 혹은 낮은 급여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런 문제는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 가입유인을 낮출 뿐만 아니라 사회적 안전판이 없어 비정규노동자가 빈곤층으로 추락하는 것을 막지 못하는 상황을 만든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가입문제와 동시에 비정규노동자가 사회보험에 가입했을 때 받게 되는 급여수준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노동패널 2차-8차 자료를 활용해 비정규노동자와 정규직노동자의 미래연금급여, 실업급여수준을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비정규노동자는 정규직노동자에 비해 낮은 임금과 고용불안으로 낮은 연금급여와 실업급여를 받게 된다. 둘째, 연금가입기간과 관련 없이 연금을 지급하면 비정규노동자와 정규직노동자의 시장임금격차가 연금급여에서 어느 정도 줄어들지만, 10년 이상 연금에 가입한 사람에게만 연금급여를 하게 되면, 임금격차보다 연금급여 격차가 더 커진다. 셋째, 실업급여는 하한선을 결정해 최저임금 90%를 보장해줌으로서 비정규노동자의 노동시장에서의 저임금이 실업급여로 반영되는 정도가 연금에 비해 약하다.따라서 향후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보험가입비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과 동시에 비정규노동자가 사회보험에 가입했을 때 독특한 고용형태 때문에 낮은 급여를 받지 않도록 국민연금가입기간을 낮추고, 비정규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크레디트제도 등을 고려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복지 이용시설 격차 및 유형 분석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성은미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와복지 Vol.5 No.1
This study’s purposes are to identify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p in the use of welfare facilitie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use of welfare facilities is important in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The gap was analyzed using a SSD index,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Gyeonggi-do. According to the SSD index, a disparities exist in the us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communit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e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Group 1 was rural and urban-rural complex areas, which lack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low-income class and the disabled. Groups 2 and 3 are urban areas and urban-rural complexes adjacent to Seoul, where the population is increasing, but appropriate welfare facilities have not been expanded to meet the growing population. Finally, group 4 is an area where the population is declining, and the number of children is decreasing and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In order to decrease this gap,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and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population growth and aging.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의 격차수준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복지시설에 주목한 이유는 지역사회보장 균형발전과 관련된 여러 과제 중 복지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책임과 권한이 시군에 부과되어 있기 때문이다. 분석대상이 되는 복지시설은 노인대상 시설, 아동대상 시설, 장애인대상 시설, 저소득층대상 시설, 정신장애인대상 시설 중 이용시설이다. 복지시설 격차 분석은 표준화상이점수(SSD)를 활용했고, 시군단위 분석을 위해 광역 중에서 시군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를 대상으로 연구를 추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표준화상이점수에 의거해볼 때, 지역별로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격차가 존재하며 둘째, 이런 격차를 도시유형별로 일반화하긴 어려웠다. 즉 도시지역, 도농복합지역, 농촌지역 특징으로 볼 수 없는 다양한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총 4개 집단으로 시군을 구분하였는데, 1집단은 저소득층과 장애인대상 복지시설이 부족한 지역이었다. 2집단과 3집단은 서울시에 인접한 도시지역과 도농복합지역으로 증가하는 인구에 맞춰 적절한 복지시설이 확대되지 못한 지역들이다. 마지막으로 4집단은 인구 감소지역으로서 아동인구 감소, 노인인구 증가에 맞춰 노인대상 시설이 부족한 지역들로 유형화되었다. 이런 시설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별로 인구증가, 인구고령화에 맞춘 적극적 시설 확대가 필요하며, 광역과 중앙정부는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Toluene내성세균 Pseudomonas sp. BCNU 154을 이용한 방향족화합물의 분해
성은미,정영기,이호원,주우홍 한국생명과학회 1999 생명과학회지 Vol.9 No.6
The biodegradative potentialities of a toluene-tolerant Pseudomonas sp. BCNU 154, isolated from waste water, were investigated. Among 16 aromatic substrates tested, cumene, cyclohexane, ethylbenzene, p-xylene, m-xyene, toluene and diphenylether were metabolized. Pseudomonas sp. BCNU 154 degraded aerobically toluene, ethylbenzene, p-xylene and cumene. With toluene competitive degradation occurred after 12 hours, but with p-xylene and cumene, and with ethylbenzene, 90 and 75% degradation occurred after 12 hours of incubation, respectively.
지역별 복지시설 설치의 불평등 현황분석 연구 - 경기도 아동이용시설, 노인이용시설, 장애인시설을 중심으로 -
성은미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71
This study analyzed that welfare facilities were unequally established by region after decentralization in Gyeonggi-do, focusing on children's use for children,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inequality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in detail, the Standardized Score Dissimilarity(SSD) and the Focal Location Quotients(FLQ) were used. Both variables are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Location Quotients(LQ), which is mainly used to measure local specialized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in the previous studies, welfare facilities were distributed uneven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hildren's use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hich were found to be installed equally in the LQ, the SSD and FLQ were found to be unequally installed in each reg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LQ, the limitations of over-installation of welfare facilities in the large rural areas were overcom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in detail that the welfare facilities are unevenly distributed by region using SSD and FLQ.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를 대상으로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와 관련되어 있는 복지시설이 지역별로 불평등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경기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아동인구대비 아동이용시설, 노인인구대비 노인이용시설, 등록장애인인구 대비 장애인시설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복지시설의 불평등한 분포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표준화상이점수와 포칼입지계수를 활용했다. 두 지표 모두 복지시설 분포불평등 측정에 활용되어온 입지계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개발된 지수들이다. 분석결과 복지시설 분포의 불평등을 분석한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복지시설은 불평등하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지계수에서 평등하게 설치된 것으로 나타난 아동이용시설이나 장애인 시설의 경우에도 표준화상이점수나 포칼입지계수를 살펴보면, 지역별로 불평등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주로 면적이 넓은 농촌지역에서 복지시설이 과잉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던 한계 역시 표준화상이점수를 활용하면서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표준화상이점수와 포칼입지계수를 활용해 지역별로 복지시설이 불평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적작약약침(赤芍藥藥鍼)이 관절염(關節炎)에 미치는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성은미,이병렬,Seong, Eun-Ni,Lee, Byung-Ryul 대한침구의학회 2000 대한침구의학회지 Vol.17 No.1
In order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at the effect of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lactiflora on arthritis of mice induced by collagenII, the author performed several experimental items : that is increase, paw thickness, DTH, weight of spleen, hematological change, expression of $CD4^+$, $CD8^+$, $CD19^+$, gene expression of IL-1, IL-6, IL-12, IFN-${\gamma}$, TNF, proliferation of synovial cells and cytotoxicit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hibitory effects of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lactiflora on arthritis induced by collgenII. 1) In incidence, paw edema, AI and DTH were inhibit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The splenic weight w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leukocytes was de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The number of $CD4^+$, $CD8^+$ activated cells and surface-receptor expression we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4) In hematological change, total protein, creatinine and LDH were decreased significantiy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FACS analysis on normal BABL/c of spenic cells treated with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lactiflora. 1)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lactiflora activated adhesive splenic cells of mice morphologically in vitro. 2)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dactiflora enhanced the gene expression of IL-12 and also enhanced that of interferon-${\gamma}$ remarkably. 3)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lactiflora reduced the number of $CD4^+$, $CD8^+$, $CD19^+$ activated cells and their surface-receptor expression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Effects of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lactiflora on human synovial cells. 1) In cytotoxicity against synovial cells,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lactiflora didn't show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 of $10-100{\mu}g/m{\ell}$ but showed significantly at concentration of $200-400{\mu}g/m{\ell}$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lactiflora reduced the gene expression of IL-6, IL-$1{\beta}$ and TNF-${\alpha}$. 3) Aqua-acupuncture solution of Paeonia lactiflora inhibited proliferation of synovial cells at concentration of 100 and $200{\mu}g/m{\ell}$.
황기건중탕합리중탕(黃耆建中湯合理中湯)이 항궤양(抗潰瘍) 및 위장관(胃腸管) 기능(機能)에 미치는 효과(效果)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성은미,백태현,Sung, Eun-Mi,Baik, Tae-Hyeun 대한한방내과학회 1997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ol.18 No.1
An experimental studies were done to investigate the spontaneous movements to the isolated ileum with the liquid extracts of Wahngkigunchunghapleechungtang. Then the effects of isolated ileum, pylorus-ligated and indomethacin-induced ulcer, gastric juice secretion, and transport abilities of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were studied.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1. Wahngkigunchunghapleechungtang showed to have an inhibitory effects on the smooth muscle contraction of the isolated ileum by acetylcholine chloride and barium chloride. 2. Wahngkigunchunghapleechungtang showed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the contraction of the gastric fundus-strip by acetylcholine chloride and barium chloride. 3. The preventive effects were not recognized on the pylorus-ligated ulcer, by administration of Wahngkigunchunghapleechungtang. 4. The preventive effects were recognized on the indomethacin-induced ulcer by administration of Wahngkigunchunghapleechungtang. 5.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secretion gastric juice, free & total acidity, and pepsin output were recognized by administration of Wahngkigunchunghapleechungtang. 6. The transport abilities in the small intestine were not recognized by administration of Wahngkigunchunghapleechungtang. 7. The transport abilities in the large intestine were increased by administration of Wahngkigunchunghapleechungtang.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erimental effects of Wahngkigunchunghapleechungtang has correspond to the oriental medical literatures.
성은미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4 No.-
This study examines the documents of Choihwamu[催花舞], inquiring the reasons of differences among diverse performances of the dance in terms of the roles of dancers. The four performances of Choihwamu documented in Jeongjae Mudo Holgi[呈才舞圖笏記] consisted of 2 Jukganja[竹竿子], 1 Jungmu[中舞], 4 Hyeopmu[挾舞](7dancer) and 6 Hyeopmu(6dancers). The diverse documents of Choihwamu shows different composition of dancers, lyric, music, dance formation, and dance content. The dance is performed in two forms, Dang-ak Jeongjae[唐樂呈才] and Hyang-ak Jeongjae[鄕樂呈才]. Jeongjae is danced with different numbers of dancers depending on one form for one event, or the contents are changed by era. The true point cannot be found in the history of Korean royal court affair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new clue to reveal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rown Prince HyoMyeong's[孝明世子] creation of two types of Choihwamu with completely different contents for the same event. 본 연구의 출발은 <최화무>가 동일 정재이면서 무용수 역할을 다르게 하여 추어진 점에 의문을 갖고 『정재무도홀기』소재 <최화무>의 기록양상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정재무도홀기』에 전하는 4편의 <최화무>는 무용수가 죽간자2인ㆍ중무1인ㆍ협무4인[무용수7인]과 협무6인[무용수6인]으로 구성되었다. 동일 정재이지만 무용수 구성ㆍ창사ㆍ음악ㆍ춤 대형 및 무용적인 내용을 다르게 구성한 <최화무>는 당악정재와 향악정재 2가지 형식으로 추어진 춤이다. 정재는 한 종목에 한 가지 형식에 의거하여 무용수 인원을 달리하여 추거나 시대별로 내용이 변화되기도 하지만 <최화무> 처럼 한 가지 정재 종목에서 무용수 역할을 달리 구성하여 내용이 전혀 다른 두 가지 정재로 추어진 점은 한국궁중정재사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효명세자가 동일 종목의 정재를 내용이 전혀 다른 2가지 형식의 <최화무> 춤을 만들게 된 역사적 배경을 밝히는 새로운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