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좀비사회’를 위한 기독교사회윤리적 제언 - 휴먼포비아를 넘어서 공감과 환대

        성신형,엄국화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본 연구는 현대를 좀비 사회로 진단하면서, 그 특징을 바우만의 액체근대론에기초하여 분석하였고, 그 윤리적 대안을 찾기 위해서 한국의 대표적 좀비 콘텐츠인 <킹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레비나스의 존재론적 모험과정을 통해서, <킹덤>의 주인공 이창의 존재론적 모험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민중의 현실에 대한 이창의 ‘공감,’ 그리고 자신을 희생하면서 타자에게 다가가는희생에 대한 결단은 ‘환대’의 구체적인 실천이었다. 이러한 분석과 함께 본 연구는 좀비 사회에 만연한 휴먼포비아를 극복하기 위한 윤리적인 대안으로 공감과환대를 제시하였다. 공감에 대한 접근은 동아시아 문화의 서(恕) 개념을 살펴보았고, 환대에 대한 레비나스의 철학적 성찰과 그에 대한 데리다의 윤리적 의미를함께 고찰하였다. 끝으로 데리다가 주장한 무조건적 환대의 가능성을 찾기 위해서 리쾨르의 사랑과 정의의 변증법적인 의미를 고찰하면서, 이를 환대와 공감의변증법적 실천으로 해석하였다. While diagnosing the modern age as a zombie society, this study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Bauman’s liquid modernity. In order to find an ethical alternative, the narrative of <Kingdom>, a representative zombie content in Korea, was analyzed. This study looked at the ontological adventure of Lee Chang, the main character of <Kingdom>, through the ontological adventure process of Levinas. Lee Chang’s ‘sympathy’ for the reality of people and his determination to sacrifice himself to approach others was a concrete practice of ‘hospitality.’ Along with this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sympathy and hospitality as an ethical alternative to overcome human-phobia prevalent in zombie society. For the approach to sympathy, the concept of Seo(恕) in the Ease-Asian tradition was examined, and Levinas’ philosophical reflection and Derrida's ethical meaning on hospitality were also considered. Finally, to find the possibility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as claimed by Derrida, the dialectical meaning of Ricoeur‘s love and justice was examined, which was interpreted as a dialectical practice of hospitality and sympathy.

      • KCI등재

        문화전쟁의 관점으로 본 한국개신교 근본주의 분석

        성신형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6 No.-

        오늘날 한국개신교 근본주의가 형성한 혐오와 배제의 메커니즘은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역기능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개신교 근본주의를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문화전쟁의 관점에서 한국개신교 근본주의를 분석한다. 문화전쟁이란, 미국개신교 근본주의가 1970년대 이후 미국 사회의 자유주의 물결에 반대하면서 벌인 일련의 사회적 현상을 말한다. 본 연구는 문화전쟁 현상을 한국 사회가 개신교를 받아들이고 성장해가면서 형성시켜온 근본주의를 분석하는데 활용한다. 본 연구는한국개신교 역사에서 드러난 한국개신교 근본주의의 발전과정을 형성·내면화·극대화의 과정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가운데 문화전쟁현상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한국개신교근본주의가 드러내고 있는 역기능, 즉 혐오와 배제 현상에 대한 성찰을 시도한다.

      • KCI등재

        칭의에서 정의로‚ 이신칭의에 대한 사회윤리적 접근 ‚

        성신형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1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social ethical implication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s it concentrates on the Apostle Paul and the reformer Luther. This study searches the social backgrounds of both theologians as such, and how they develope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On the one hand, the Apostle Paul demonstrated justification since he found a serious conflict between Jewish and Gentile Christians. These Christians tried to excluded each other based on the ideology of law (Torah). Within this situation, Paul argued that Christ was crucified for all Christians, that is justification (by faith, not by law). On the other hand, Luther developed justification in order to make congregation follow the freedom of consciousness rather than the order of Catholic Church and the power of Pope. These arguments have the social ethical significance in that embracement and freedom are the foundation of ethical deeds for people. Thus, justification is a simple token to go to heaven, but it is the ethical foundation that makes a Christian follow the principle of justice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love of God. 본 논문은 ‘이신칭의’에 대한 사회윤리적인 해석을 위해서 이신칭의 논쟁의 중심에 서 있는 두 신학자 바울과 루터의 신학과 그 사회윤리적인 의미를 살피고 있다. 우선 바울과 루터가 살았던 시대의 배경을 살피고, 바울과 루터가 이신칭의 교리를 주장했던 그 사회적인 의미를 살핀다. 아울러서 이신칭의의 사회윤리적인 함의를 논증하고 있다. 우선 바울의 시대의 칭의는 유대인과 비유대인의 분쟁 속에서 만들어진 기독교신앙의 원리로, 이것은 단순한 교리적인 차원의 의미가 아니라, 그 타인을 배제하지 않고 포용한다는 사회윤리적인 함의가 있다. 아울러서 루터가 자신의 시대에 이신칭의를 주장하게 된 배경은 잘못된 교황권에 저항하면서 개인의 신앙의 자유를 지키고 양심에 입각한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논증 속에서 본 논문은 바울의 칭의론에서 발견되는 사회윤리적인 의미는 타인을 배제하지 않고 사랑으로 포용하는 공동체를 만들고자 함을 밝히고 있으 며, 루터의 칭의론에서는 양심의 자유를 따르면서 세계를 위해서 봉사하는 그리 스도인이 되고자 하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논증은 이신칭의가 그리스도 인이 구원을 얻기 위한 단순한 상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의(정의)를 세우기 위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철저하게 따르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라인홀드 니버의 〈정치학〉에 드러난“미국정신”에 대한 연구

        성신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7 기독교사회윤리 Vol.38 No.-

        본 연구는 니버의 <정치학>(Reinhold Niebuhr on Politics)을 바탕으로 니버의국제정치 사상을 살피면서 그 속에 녹아있는 미국의 제국주의적인 흐름에 대해서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하나의 연설문의 형태로 구성해봄으로, 마치 오바마가 “미국정신”에 대해서 역설함으로 자신의 지지자들 앞에서 연설하는 것과같은 상황을 재현해보았다. 단일민족국가가 아닌 미국은 자신의 독특한 역사적인 경험, 즉 기독교적인 요소와 다양한 이민으로 구성된 역사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자기의 국가정체성을 형성하였다. 또한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가장 큰 힘을가진 국가가 됨으로, 자유와 민주주의의 확대라는 거대한 목표가 미국에게 국제사회에서 자신의 힘을 드러내는 것에 정당성을 부여해주고, 그러한 희망과 책임속에서 미국이 자신을 국제사회에서 패권국가가 되도록 했다. 비록 니버가 정치사상을 발전시켜가면서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역할에 대해서 지극히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였고, 그것이 힘의 균형에 의한 평화를 지키는 것에 대한 정치학적이고 기독교 사회윤리적인 토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한 점을 과소평가 할 수는 없지만, 미국 바깥에서 니버의 정치사상을 바라보는 기독교윤리학의 입장에서 본다면, 니버는 오늘날 미국의 제국주의적인 패권 형성에 기초를 놓은 윤리학자라는평가를 쉽게 피할 수는 없을 것이다. This study delves into Reinhold Niebuhr’s political thoughts on international politics based on Reinhold Niebuhr on Politic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imperial implication on Niebuhr’s idea on international politics. Barak Obama used a political rhetoric such as “the American Spirit” as he ignites the pride of American nationality, and he spok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olitical thinkers was Reinhold Niebuhr. After 9/11, not a few scholars have been criticizing America as a new Empire ruling over the world. With this idea, this research studies the Niebuhrian international politics as his political thoughts are related to the American Imperialism in that it emphasizes the imperial foundations such as American responsibility, American destiny, Christians as the chosen people, and the advocator for the freedom and democracy. And he justifies the usage of power for the world peace as other empires had done. Lastly, the unique form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tires to organizes a political speech as if Obama speaks his political ideas toward people in order to exemplifies “the American Spirit” as a political rhetoric for American Imperialism.

      • KCI등재

        A Study of the ethics of Reinhold Niebuhr focusing on his thought of individuality

        성신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Reinhold Niebuhr is generally renowned as the establisher or the exponent of social ethics throughout the world. This research is, on the contrary, arguing how he develops his concepts of individualization in terms of ethics as it is focusing on the anthropological thoughts of Niebuhr. Niebuhr completely analyzes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at human beings individualize themselves as creaturely beings who contain the image of God based upon the neo-Augustinian theology. Thus, Niebuhr develops his ethical thoughts concentrating on the concept of “individualization.”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begins from the understanding of human finiteness and freedom which are one of the main ideas of human nature. This individualizing process is the basis of the ethics of agape (divine love) that is the foundation of Niebuhr’s ethics for society. Humanity’s acknowledgement of society and love is the fundamental way of individualization, especially since both loves of self-giving and forgiving are the main origination of individualization of the self which formulates morality not only human relations but also the individuals relation to God. Only this love makes people meet others and have a relationship in community. Sometimes, the community supports individuals to fulfill their individuality; however, it frequently frustrates their desire to attain individuality because the individual’s morality conflicts with the communal order or morality. This situation is the place of Christian realism in Niebuhr. Love, equality, and justice are the main basis of Christian realism, that is, Christian realism tells us the harmony of equality and justice based on love a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ethics. In short, this research paper delves into how individualization unfolds one of the main thoughts of the ethics of Reinhold Niebuhr. 라인홀드 니버는 일반적으로 사회 윤리의 정초자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니버의 인간관을 중심으로 그 인간관이 윤리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니버는 어거스틴의 전통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있으며 그러한 인간 이해는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서 철저히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니버는 인간의 개인화에 중심을 둔 윤리 형성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개인화 되어가는 과정은 인간의 본성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와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개인화가 출발하게 되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윤리의 초석인 사랑의 윤리를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니버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인간의 창조성과 하나님의 이미지를 가진 존재로 창조되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비록 인간은 죄로 인해서 한계적인 존재이지만, 동시에 자신을 계속 발견해가고 초월자 하나님을 만나는 과정에서 자기초월을 이루어 가는 존재입니다. 이러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자기 초월을 이루어 가는 과정을 니버는 “개인화 (Individualization)”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인화 과정이 윤리의 중요 주제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한 자기 초월의 과정은 신적인 사랑인 아가페를 통해서 구체화되며, 사람간의 상호 사랑 (에로스) 역시 사랑의 진정성의 측면에서 사회 윤리를 이루어가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비록 인간의 죄 때문에, 사람에게는 그 한계가 분명하지만, 그 한계를 극복해가면서 개인화 과정을 통해서 정의와 분배, 그리고 사랑을 이루어가는 것을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니버가 이해한 인간관과 그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화“가 어떻게 니버의 윤리 사상을 어떻게 전개시키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KCI등재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존재론적 모험’에 대한 연구

        성신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3 No.-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ontological adventure’ which is initiated by Emmanuel Levinas as his ethical foundation. This paper searches Levinas’ works from his early to the latest in order to track this adventure. Levinas started this adventure as he wondered the limitation of the Western Philosophy which is founded on ontology, and he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of existence and existents. He concentrated on the phenomenological meaning of the Other’s face and human relation. As humanity meets the face, he or she can listen to the petition of the face. This leads them to experience the Infinity. Through this experience, humanity realizes the significance of subjectivity which is based on the identity of selfhood rather than that of sameness. At this moment, the subject experience a completely new dimension of being, called, ‘substitution.’ Finally, the subject formulates the ‘ethical subjectivity’ who is responsible of the petition of the other. Thus, this research paper studies the ethical foundation of Levinas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ion of responsibility as this pursuits the ontological adventure. 본 연구는 레비나스 윤리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개념인 ‘존재론적 모험’에 대해 서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레비나스의 저작들을 그 저술 순서대로 살피면서 이 모험의 과정을 살피고 있다. 레비나스는 그의 초기 저작에서 레비나스가 존재와 존재자를 인식하면서 서구 철학의 한계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생각을 점진적으로 발전시켜가면서, 타인의 얼굴의 현상학적인 특징을 고찰하면서 인간 관계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주체가 타인의 얼굴을 접하게 되면서 그 얼굴의 호소에 귀를 기울이게 되고, 이런 경험을 통해서 주체는 무한이라고 하는 신비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후기 저작으로 넘어오면서 레비나스는 위와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자아가 주체성을 확립하게 되고, 더 나아가서윤리적인 주체로 발전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런 과정 속에서 주체는 대속을 경험하게 되고, 마침내 책임 있는 주체로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레비나스의 중심 개념인 타인의 얼굴에 대한 그의 관심이 어떤 순서로 발전하게 되었는지를 살피면서, 그의 윤리의 핵심 개념인 책임에 대한 사유과정을 밝힘으로 주체가 도덕적인 자아, 즉 윤리적인 주체로 성장하게 되는 과정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 인성함양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S대학교 인성캠프를 중심으로

        성신형,차봉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6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through an extracurricular program set up for this purpose. Korean universities have utilized character and global citizenship as a part of general educatio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enactment of Korea's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of 2015 and the heightened interest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owever, a more fundamental reason is that local universities are now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beral education through character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takes a deeper look at the global citizenship of the Glocality in the context of world citizenship education. This case study examines Soongsil University's character camp as a sample.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camp's progress were measured through an analysis of student satisfaction. The study found that camp-type non-curricular education can be a useful tool for promoting the sense of global citizenship. These results suggests that an important task lies ahead for educators to further imple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인성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현황을 살피고,이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사례를 연구하고 있다.국내 대학은 인성과 세계시민을 서로 적절하게연결하여서 교육의 주제로 활용하고 있다.그러한 흐름은 한국의 인성교육진흥법이발표된 시기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기가 비슷한 데에서 그 원인을찾을 수 있지만,보다 더 근본적인 이유는 현재 국내 대학이 인성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을 매개로 교양교육의 질을 높이려고 하는데 있다.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이해를 시작으로,세계시민교육의 내용 중에 글로컬 시대의 세계시민성에 대해서 조금 더 깊게 살펴보고 있다.이는 본 사례연구가 가지고 있는 캠프형 인성교육프로그램에 적합한 내용이기 때문이다.아울러서 본 연구는 그 구체적인 사례로S대학교의인성캠프를 살펴보고 있다.인성캠프가 발전되어 오면서 세계시민성을 그 주제로 취하게 된 배경과 함께,학생들의 만족도 분석을 통해서 캠프 진행의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고 있다.이 분석을 통하여 캠프 형식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세계시민교육에 비교과 프로그램의 하나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아울러서 본 연구는세계시민교육이 국내 대학에 정착하기 위한 과제도 제언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사회 갈등 현상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성찰

        성신형 한국기독교철학회 2024 기독교철학 Vol.39 No.-

        본 연구는 오늘 이 시대를 끊임없은 갈등과 폭력의 시대로 규정하면서, 갈등과 폭력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기독교 사회 윤리적 대안을 모색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갈등과 폭력의 현실을 분석한다. 한 사회의 갈등과 폭력은 혐오와 배제의 메커니즘을 만든 사회학적 원인과 철학적인 차원에서 인간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 그 원인이 있다. 한편 한국 사회가 특별하게 더 크게 드러내는 갈등과 폭력의 양상도 존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벌어진 세 개의 ‘묻지마 폭력’ 사건을 통해서 이를 분석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갈등과 폭력의 종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살핀다. 폭력의 종류는 직접적·구조적·문화적 폭력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구조는 실행 이전 단계부터 실행, 그리고 실행 이후 단계까지 계속해서 벌어진다. 한편 갈등과 폭력은 완전히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그 순기능을 이해하면서, 현실적인 차원에서 갈등과 폭력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끝으로, 이러한 현실적인 대응을 위해서 본 연구는 현실주의적인 차원에서 기독교 윤리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감폭력의 윤리와 되기의 윤리를 그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갈등과 폭력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기독교 윤리적인 차원에서의 현실적인 실천을 기대한다. This study defines this era as an era of constant conflict and violence and seeks Christian Social ethical alternatives for living in this era of conflict and violence.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reality of conflict and violence in Korean society. Conflict and violence in society originate from sociological causes that create mechanisms of hatred and exclusion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uman identity at a philosophical level. Meanwhile, there are also aspects of conflict and violence that are particularly evident in Korean society, and this study analyzes these through three recent ‘do not ask violence’ incidents. Second, this study examines conflict and violence’s types, structures, and functions. Types of violence can be divided into direct,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nd the structure unfolds continuously from the pre-execution stage to the implementation stage and the post-implementation stage. Since conflict and violence cannot be eliminat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positive functions and respond to them realistically. Lastly, for this realistic response, this study presents a Christian ethical alternative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e ethics of reducing violence and the ethics of becoming. In this way, this study expects realistic practice at the level of Christian ethics for modern people living with conflict and violence.

      • KCI등재

        한국 사회의 혐오 현상에 대한 분석과 기독교 윤리적 제언 - 예멘 난민 이슈를 중심으로 -

        성신형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9 선교와 신학 Vol.47 No.-

        본 연구는 혐오 현상의 기원, 난민 혐오 이슈를 통한 한국적 혐오 현상 분석, 그리고 그에 대한 기독교윤리적인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인간의 심리적인 기저에 자리하고 있는 수치심(마사 너스바움) 그리고 폭력의 속성과 표현 양식(르네 지라르와 조르조 아감벤)등이 혐오 현상의 기원이 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적 혐오 현상을 난민 혐오 이슈를 실례로 들어서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예멘 난민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에 형성된 혐오의 모습을 살피면서 폭력과 혐오에 대한 한국 사회의 심리적인 상태와 폭력의 상황 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혐오 현상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인 대안을 리쾨르의 사랑과 정의의 변증법적 해석을 통해서 제시하였다. 철저한 사랑의 실천을 통해서 구현되는 정의의 실현이 오늘 한국 사회의 혐오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기독교윤리적인 대안임을 주장하고 있다. This study proposes an ethical alternative on the issue of abhorrence phenomenon, as it delves into the origins of the abhorrence phenomenon and the analysis of this phenomenon in Korean abhorrence through the refugee issue. The abhorrence is initiated by the shamefulness in human psychology(Marthar Nussbaum) and the characteristic of violence (René Girard and Giorgio Agambe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Korean abhorrence phenomenon by taking Yemen refugee issue as it examines the psychological condition and violence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gainst them. Finally, this study presents a Christian ethical alternative to the abhorrence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dialectical interpretation of Ricoeur 's love and justice. It demonstrates that the realization of justice realized through the practice of thorough love is a Christian ethical alternative that can overcome the aversion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today.

      • KCI등재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 분석과 기독교윤리의 만남

        성신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50 No.-

        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그 윤리적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윤리와의 만남을 시도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한국적판타지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면서 내러티브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의 한 예로 <신과 함께-죄와 벌>를 선택하여 내러티브를분석하고, 윤리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그것은 인과응보적인 차원에서 ‘정의와 공정’의 실현이다. 또한 본 연구는 독자(향유자)의 내러티브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는데, 이 분석에서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윤리의식에 큰 차이가드러나지 않았다. 이는 한국교회가 공동체의 구성원(교인)들에게 기독교윤리에대한 올바른 가르침이 부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접근하기 위해서 기독교윤리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인과응보(정의)적인 세계관을 벗어나서 사랑을 통해서 정의를 실현하는 기독교윤리적인 실천을제안한다. 이는 평화·화해·용서·환대의 공동체를 만들어가기 위한 사회윤리를 실천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교회는 내세중심적 세계관에서 하나님 나라의 윤리로 전환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는 예수의 오심으로 이미 시작되었고, 예수가 원수를 사랑하고, 평화·화해·용서·환대를 실천하는 삶을 살라고 가르치는 것은 바로 미래 지향적인(종말론적인) 삶을 사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윤리적 삶을 통해서 새로운 내러티브를 만들어가는 것이 한국교회를 살리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Korean-style fantasy narrative, interprets their ethical meaning, and approaches them with a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narratives while attempting to understand Korean-style fantasy.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s “Along with God – the Two Worlds” as an example of Korean-style fantasy. It is the realization of justice and fairness based on causal retribution. In addition, this study overviews readers’ narratives through big-data analysis, which does not reveal much difference ethically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showing the lack of proper teaching of Christian ethics to church members. Thus, this study presents Christian ethical alternatives to approach these issues. This study proposes a Christian ethical practice of achieving justice through love beyond causal retribution, that is, to practice social ethics to create a community of peace, reconciliation, forgiveness, and hospitality. Also, the Korean church should shift from the afterlife-oriented perspective to the ethics of God’s kingdom. Because the kingdom of God has already begun with Jesus’ incarnation, and because the teaching of Jesus to live a life of loving his enemy means living a future-oriented (eschatological hope) life. Creating new narratives through these ethical lives will be the way to save the Korean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