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신체표현활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실천 경험과 인식

        성소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ildcare teachers' practic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in public childcare centers. Five teachers from public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actic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were insufficiently provided in the curriculum. They were mostly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art, literature, and science activities or children’s experiences. Parents were indifferent to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but teachers tried to engage parents through home-based activities. Teachers strived to try new items and challenges, and their efforts were reflected in the children's responses. Second,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s, it was important for children to learn freedom and enjoyment through physical expression in early childhood. Physical expression can lead to the hol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 role of teachers is significant. The need for human resources, time, and financial support, as well as for customized training and seminars for teacher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was recogn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to contribute toward the promotion of physical expression as a creative self-expression of young children,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본 연구는 영유아의 신체표현활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실천 경험과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 교사 5명과 반구조적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 경험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실제 교육과정에서 신체표현활동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는 않았다. 예술, 문학 및 과학 활동이나 유아 경험과 연계하여 주로 활동을 진행하였다. 부모들은 신체표현활동에 무관심하지만, 교사는 가정연계활동을 통해 부모의 관심을 이끌고자 하였다. 교사들은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위해 노력하였고 그 결과는 유아의 반응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기에는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신체표현활동은 유아의 전인 발달을 견인할 수 있으며,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현장에서는 신체표현활동과 관련된 인적, 시간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서 교사 맞춤형 연수나 세미나 또는 동료 교사들과 문제해결을 해나갈 수 있는 학습공동체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의 창의적인 자기표현으로서 신체표현활동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 분노억제와 우울의 이중매개 효과

        성소영,박기환 한국건강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ual mediating effects that are characteristic of anger suppression and the associated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22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located in Gyeonggi and Busa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therefore completed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Korean CES-D, and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 for purposes of this study. Chiefly, in order to analyze the dual mediating effec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by the use of the AMOS 18.0 program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ssociated anger suppression as noted in the participant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the incidence of depression. Second, it was noted that the depression experienced in the participant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ird, the incidence of dep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as associated between anger sup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Finally,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s experienced by the student participants surveyed had both note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via the incidence of anger suppression and depression. That is, we are confident to note that a partial du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well in this case.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ger suppression and depression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 of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conclusion, the no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분노억제와 우울이 이중매개효과를 지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42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상태-특성 분노 척도(STAXI-K), 한국판 CES-D, 자살사고 질문지(SIQ)가 사용되었다. 내면화된 수치심→분노억제→우울→자살사고로 이어지는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우울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분노억제와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우울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억제와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이중매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분노를 억제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높은 수준의 분노억제는 우울 수준을 높이며, 우울은 자살사고를 유발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인플루언서의 인게이지먼트가 스타트업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플루언서 특성을 중심으로

        성소영,김경환 한국창업학회 2020 한국창업학회지 Vol.15 No.2

        본 논문은 인플루언서의 인게이지먼트가 스타트업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으며, 표본으로 삼은 인플루언서를 실제 팔로우하는 300명의 팔로워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다중회귀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인플루언서의 특성 중 매력성과 진정성은 인플루언서의 인게이지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인플루언서의 인게이지먼트는 스타트업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스타트업 브랜드 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인플루언서의 인게이지먼트는 직접적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의미 영역의 상위언어능력에 대한 국내 문헌연구

        성소영,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9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6

        본 연구는 상위언어능력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의미영역에서 상위언어능력 연구의 방 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발간된 국내의 학술지 논문 중 의미영역의 상위언어능력에 대한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 동향, 연구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현황에서 2012년에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연구 목적에서는 특성연구 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 유형에서 연구 대상의 경우 연령집단에서는 학령기아동을 대상으 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언어 및 장애집단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정상아동과 자폐성장애, 지적장애 등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실험 연구의 종속변인 은 비유언어와 관련된 것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추론, 단어유추 순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동물교감교육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성소영,성기창,정규식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동물과의 교감을 통하여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불안정한 심리상태와 학습부진으로 인하여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아동들을 대상으로 동물교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우울증, 은둔형 외톨이, 학교폭력, 자살 등 사회 병리현상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동물교감교육 효과검증의 대상은 울산 소재의 초등학교 중 ‘두드림 (Do-dream) 학교’를 운영 중인 5개교 4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동물교감교육을 주 1회 50 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했다. 효과성의 검증을 위해 각 집단의 실험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 척도, 생명존중의식 검 사지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동물매개치료도우미견을 활용한 동 물교감교육 프로그램은 낮은 자아존중감과 불안정한 심리상태와 학습부진 아동뿐만 아니라 잠재적 아동에게도 문 제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targeting 42 students of Do-dream school, prior to the animal commune education, self-esteem test were conducted. After an animal commune education program of 10 sessions, once a week for 50 minutes, the pos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udents' self-esteem. As for test tool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animal commune education, criterion of self-esteem inventory(CSEI) and animal protection attitude and animal protection cognitive test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 revealed that the structured animal assisted education program that has been conducted by using the therapy dogs are applied not only for children with low self-esteem, poor learning and unstable mental status, but also for potential children to help prevent problems.

      • KCI등재

        Drawing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Parent-Teacher Communication:A Case Study of an Ethnoculturally Diverse Preschool

        성소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merican preschool teachers communicate with parents who come from other cultures. This study explores how parents and teachers communicate, what kind of discussion they have at transitional times, and how daily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promote mutual cultural understanding. This study adopted the technique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Parent-teacher communication is an essential part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and partner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Parents from various cultural groups have differing ideas about their relationship and role with teacher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The study found that parents’ teaching goals for their children are influenced by the parents’ cultural conventions, social norm, and their backgrounds. It is essential for teachers to learn about the parents’ backgrounds during casual communication. Cross-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llows educators and parents to understand different perspectives and to create a better found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and teacher-parent relationships in diverse educational settings.

      • 유아의 성별에 따른 자기 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

        성소영,홍지영 啓明大學校 生活科學硏究所 2010 科學論集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of young child's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8 four-year-olds, 103 boys and 95 girls who were enrolled thirtee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D City and K City Child's self-regulation was measured by using the SCRS developed by Kendall and Wilcox(1979) and adjusted by Lee(2005). Child's peer interaction was measured by using the PIPPS developed by Fantuzzo et al.(1995) and adjusted by Choi(2004).For data analyses,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ere found. Girls' self-regulation in self-control, reduction of impulsiveness, and paying concentrated att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boy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positive peer interaction were found. Girls' peer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boys, while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peer interaction according to child's gender. Third, it showed that boys' self-regulation in self-control, reduction of impulsiveness, and paying concentrated attention were related to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 Girls' self-regulation in reduction of impulsiveness, and paying concentrated attention were related to positive peer interaction, while girls' self-regulation in self-control was not related with negative peer interact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young child's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and try to cultivate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ositive peer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