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ermano-Tellurite 유리에 첨가된 Tb3+과 Yb3+ 이온의 상방전환 형광

        성삼식,김병국,최혜영,김중환,노현미,문병기,정중현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10

        Upconversion photoluminescence was obtained in Tb^3+/Yb^3+-codoped germano-tellurite glasses. The absorption, emission properties, and the pump-power dependence of samples with different Tb^3+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Upon excitation at a wavelength of 975 nm emitted from a laser diode, strong green light and weak blue light that was emitted due to transitions to the ^5D_4 and the ^5D_3 states of the Tb^3+ ion, respectively, were observed. The green emissions are due to cooperative energy-transfer upconversion from Yb^3+ ions to Tb^3+ions, which is a two-photon process. For the blue emission, a Tb^3+ ion in the ^5D_4 state can absorb radiation at 975 nm either from the input radiation or from a Yb^3+ ion in the ^2F_(5/2) state. This raises the Tb^3+ ion to a higher energy level that emits blue light, which is identified as a three-photon process. 4.0 몰% Yb^3+ 이온과 x 몰% (x = 0, 0.1, 0.5, 1.0, 1.5)Tb^3+ 이온을 같이 첨가한 Germano-tellurite 유리에서상방전환(upconversion) 형광을 얻었다. 흡수와 형광스펙트럼 그리고형광의 펌프광세기 의존을 측정하여 이 시료의 상방전환 형광의 메커니즘조사하였다. Yb^3+ 이온만 효율적으로 펌핑하는 발진파장이 975 nm인적외선 레이저 다이오드(LD)를 시료에 입사하여 Tb^3+ 이온에서발광하는 강한 녹색과 약한 청색형광이 측정되었다. 녹색형광은 두 광자과정이며 협동적 에너지 전달 상방전환과정에 기인하고, 청색형광은협동적 에너지 전달과정으로 형성된 ^5D_4 준위에 있는 Tb^3+이온이 하나의 입사광자를 흡수하거나 들뜬 상태의 Yb^3+ 이온에서에너지를 전달받아서 발광되는 세 광자 과정이다.

      • KCI등재

        Er^(3+) 과 Yb^(3+) 이온을 첨가한 ZrO₂나노형광체의 Upconversion 형광 특성연구

        성삼식,김병국,최혜영,김중환,노현미,문병기,정중현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4

        Upconversion photoluminescence (UCPL) is investigated in ZrO_2:Er^(3+), Yb^(3+) nanophosphors at different Yb^(3+) concentrations. The nanophosphors were synthesized by using the solvothermal method. The lattice structure for the tetragonal phase and the spherical shape of the nanophosphors were confirmed by using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pectively. The red UCPL under an excitation of 975 nm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Yb^(3+) concentration at room temperature. The pump-power dependence of the green and the red UCPL leads us to conclude that the red UCPL is enhanced by the energy back-transfer between Er^(3+) and Yb(^3+) ions (4S_3/2(Er^3+) + ^2F_7/2(Yb^3+) ^4I_13/2(Er^3+) + 2F_5/2(Yb^3+)) 3 mol% 의 Er^(3+)와 x mol% (x = 0, 5, 10, 15) 의Yb^(3+)이온을 첨가한 ZrO₂나노형광체를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하여Yb^(3+) 이온이 upconversion(UC) 형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사진과 X-선 회절상을 분석하여ZrO_2:Er^(3+),Yb^(3+) 나노 형광체는 구형이며 정방형의결정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 W, 975 nm 적외선 레이저다이오드로 여기 하여 강한 녹색과 적색의 UC 형광을 측정하였으며Yb^(3+)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녹색 형광에 비해 상대적으로적색 형광의 세기가 크게 증가되었다. 녹색과 적색 UC 형광의 펌프광세기의존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Yb^(3+)이온의 첨가로 인한Er^(3+)이온이 방출하는 적색 UC 형광의 증가는 근접한 Er^(3+)와Yb^(3+) 이온 사이에 발생한 energy back transfer(^4S_(3/2)(Er^3+) + ^2F_(7/2)(Yb^3+)→^4I_(13/2)(Er^3+) +^2F_(5/2)(Yb^3+)과정에 기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Er3+/Yb3+-doped CaMoO4 와CaWO4에 첨가된 Li 이온이 Er3+/Yb3+ 상방형광에 미치는 영향

        김병국,성삼식,최혜영,김중환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8

        Er3+and Yb3+ co-doped CaWO4 and CaMoO4 polycrystalline powders were prepared by using a solid-state reaction, and their upconversion (UC) luminescenc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detail. Under 975-nm laser-diode excitation, the two kinds of powders exhibited strong green UC emission peaks at 530 nm and 550 nm, which were due to the transitions from the 2H11/2 and the 4S3/2 states to the ground state (4I15/2) of the Er3+ ion, respectively. The effects of Li+ doping into CaWO4:Er3+/Yb3+ and CaMoO4:Er3+/Yb3+ were investigated. Introduction of Li+ ions not only promoted crystal growth but also enhanced the UC luminescence intensity by more than two time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Li+ ions acting as charge compensators, which modifies the crystal field strength by reducing the lattice constant. 고상반응법으로 Er3+과 Yb3+ 및 Li+이온이 동시에 첨가된 CaMoO4와 CaWO4 형광체를 합성하고, 상방전환 (upconversion:UC)형광을 조사하였다. 불순물 함량에 관계없이 모든 형광체 분말의결정구조는 주 회절 피크 (112)면을 갖는 scheelite 구조였다. 975 nm 레이저 다이오드를 시료에 입사하여 530 nm와 550 nm 중심파장을 갖는강한 녹색 UC 형광이 관찰하였다. 이 형광은 Er3+ 이온의 2H11/2 및 $4S3/2 준위에서 바닥상태 (4I15/2)로천이한 것이다. CaWO4:Er3+/Yb3+와 CaMoO4:Er3+/Yb3+에 Li+ 이온을 첨가함으로써결정소결온도를 낮추었을 뿐 아니라 UC 형광의 세기도 두 배 이상증가시켰다. 이것은 Er3+ 및 Yb3+ 이온이 Ca2+ 자리에치환됨으로써 생기는 양전하 부족을 Li+ 이온이 보상하고 나아가격자상수를 줄임으로서 Er3+ 및 Yb3+이온에 미치는 결정장크기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