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출자 박승희(1901-64)’의 극단 토월회(土月會: 1923-31) 시절 연출적 지향과 평가들에 관한 논고 : 데뷔작"길식(吉植)"(1923)을 중심으로

        성명현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4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신극(新劇)운동의 선구였던 ‘극작가 겸 연출 자 박승희(1901-64)’의 연출 활동상과 근·현대 연출사적 위상에 대한 고찰의 일 환이다. 본고에서는 그가 극단 토월회(1923-31)의 학생극단체 시절 고국방문공 연(1923.7.4-8)에서 상연한 첫 번째 자작·연출작「길식(吉植)」을 중심으로, 그의 연출 의도와 무대화 과정 및 실제 공연의 면면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토월회-박승희는 공연기획 과정에서 신파극 양식과 관습을 배격한다는 원 칙을 세웠고, 희곡의 본질을 드러내는 예술적인 근대극을 상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둘째, 박승희의 창작극「길식」은 주인공 길식을 통해 조선사회의 구습을 폭로하고 타파를 계몽하는 취지의 사회극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박승희는「길 식」의 상연에서 목적연출의 절차와 방식 및 희곡에 충실한 지향의 해석적인 구 상을 도입하였고, 조선의 전형적인 생활상을 재현하고 삶의 정서를 표현한 무대 를 창조하는 데 주력하였다. 넷째, 박승희는 도쿄(東京) 유학시절 근대적 신게키 (新劇)를 비롯한 연극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폭넓게 탐구했으나, 실천적 측면에서 조선의 극계에 상존하는 여러 난관과 그에 대한 사전인식의 부족 및 연극제작 경 험의 부재로 인해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였다. 다섯째, 토월회-박승희의 첫 공 연에 대한 평가들은 호평이 주를 이루었는데, 그 근거는 공연의 질적 수준보다는 신파극에서 볼 수 없었던 근대적인 새로움의 요소들에서 찾아진다. 또한 토월회 가 도쿄 유학생 단체라는 점도 평가에서 다분히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 KCI등재

        ‘연출자 박승희(1901-64)’의 극단 토월회(土月會: 1923-31) 시절 연출적 지향과 평가들에 관한 논고– 데뷔작「길식(吉植)」(1923)을 중심으로

        성명현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4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hingeuk activist and stage-manager Bak, Sunghee’s staging process and seeking in directing of「Gilshik」, his first work in Student Troupe Towolhoe(192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owolhoe-Bak, Sunghee established principle excluding Shinpa style and the conventional forms in the theatre production. Second, Bak, Sunghee’s original play「Gilshik」inferred the social drama from the protagonist Gilshik that eliminating old customs of the society and enlightening the modern values. Third, Bak, Sunghee pursued puposive directing as staging method based on the directing plan. Fourth, he emphasized on creating the stage depict typical lifestyle and of emotion of Chosun people based on concept true to the work in stage production of the play. Fifth, as first scene produced ever that mountain in the stage gradually dawning in Towolhoe's translated version of play,「Gigal(Hunger)」. It is inferred that it was the output combining brand-new lighting equipment of Chosun Theater and Bak, Sunghee's knowledge about stage equipments. He experienced lots of trials and errors in the first production of Towolhoe due to absence of practical experience, even though he had worked extensively on theory and reality of play along with the modern Shingeki during his days of studying abroad in Tokyo.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신극(新劇)운동의 선구였던 ‘극작가 겸 연출자 박승희(1901-64)’의 연출 활동상과 근·현대 연출사적 위상에 대한 고찰의 일환이다. 본고에서는 그가 극단 토월회(1923-31)의 학생극단체 시절 고국방문공연(1923.7.4-8)에서 상연한 첫 번째 자작·연출작「길식(吉植)」을 중심으로, 그의 연출 의도와 무대화 과정 및 실제 공연의 면면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토월회-박승희는 공연기획 과정에서 신파극 양식과 관습을 배격한다는 원칙을 세웠고, 희곡의 본질을 드러내는 예술적인 근대극을 상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둘째, 박승희의 창작극「길식」은 주인공 길식을 통해 조선사회의 구습을 폭로하고 타파를 계몽하는 취지의 사회극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박승희는「길식」의 상연에서 목적연출의 절차와 방식 및 희곡에 충실한 지향의 해석적인 구상을 도입하였고, 조선의 전형적인 생활상을 재현하고 삶의 정서를 표현한 무대를 창조하는 데 주력하였다. 넷째, 박승희는 도쿄(東京) 유학시절 근대적 신게키(新劇)를 비롯한 연극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폭넓게 탐구했으나, 실천적 측면에서 조선의 극계에 상존하는 여러 난관과 그에 대한 사전인식의 부족 및 연극제작 경험의 부재로 인해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였다. 다섯째, 토월회-박승희의 첫 공연에 대한 평가들은 호평이 주를 이루었는데, 그 근거는 공연의 질적 수준보다는 신파극에서 볼 수 없었던 근대적인 새로움의 요소들에서 찾아진다. 또한 토월회가 도쿄 유학생 단체라는 점도 평가에서 다분히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 KCI등재

        신극 단체 ‘극예술연구회(1931.7.8~1938.3)’의 운영 구조와 제작 체제 및 구성원에 관한 고찰: 당대의 언론 자료 및 사료에 기반하여

        성명현 역사문화학회 202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5 No.1

        This study aims not only to examine the operational system, organization composition and members of the Shingeuk troupe Geukyesulyeonguho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eukyeon’) but also to discuss the formation process of both directing and produc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Geukyeon, thereby elucidating the landscape in production of plays at that time. As a result of the study, Geukyeon started with the coterie system (1931.7.8~1932.12), which shares the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by all members, in its operational scheme and then switched to a membership system(1933.1~1938.3), the organization structure was changed over five times. The department in charge of directing and production, in particular, went through a revision process from the Business department (during the period of coterie system) to the Practice department (during the period of membership system), then changed back to the Directing department. The purpose of such changes was to equip with a professional theater group system and to perform the Shingeuk.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operation in Geukyeon was established with ‘General affairs bureau and its sub-departments including Directing department, Literary department, Stage Arts department, and Accounting department(1936.7~1936.6). Moreover, each department had several sections. Under such a structural system, the ‘Movie Department (1937.6~1938.3)’ was newly established as a special case in order to address the financial pressure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acting system in terms of the acting domain was still weak position because of staying at ‘Acting section’ under the Directing department. Geukyeon introduced the ‘formation system of both stage-director and stage-management & -manager’ in the first demonstration of the coterie system period. This was a pioneering attempt that drives the division of labor in theater production together with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directing (or a director). Afterward, the directing system of Geukyeon consisted of ‘stage-director, assistant stage-director, stage-manager & -management, stage-manager & -management assistant, and prompter’, and most of founding members and members typically took a path to debut as a stage-director after passing through stage-manager & -management or assistant stage-director. However, no boundary and authority of tasks have been established between stage-director and their assistants until the Geukyeon was dispersed. Accordingly, the division of their labors was not implemented and the assistants of a stage-director were just in a position to follow the instruction of a stage-director. In the case of stage production in Geukyeon, a division of labor system in which each individual takes responsibility in all domains such as devices, lighting, effects, costumes, and small and medium tools was established.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efforts to recruit practical experts from outside in the device and lighting domains, a tendency of the ‘dedicated experts and skilled people’ was very prominent. It is, however, still questionable to what extent the collaboration system in each domain has been implemented and how much the effectiveness has been achieved. This is a task to be discussed based on the performance cases in a future study. 본 연구는 신극 단체 극예술연구회(1931.7.8~1938.3, 이하 ‘극연’)의 운영 제도와 조직 구성(원) 및 그 추이에 따른 연출 체제와 제작 체계를 고찰하고 당시에 형성된 제작 판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극연은 운영상 동인제(1931.7.8~1932.12)로 시작하여 회원제(1933.1~1938.3)로 전환하였고 조직의 구조는 그 동안 네 차례 이상 변경하였다. 특히 연출과 제작을 관할한 부처는 사업부(동인제 시기)에서 실천부(회원제 전반기)로 개정한 후에 다시 연출부(회원제 후반기)로 개편하는 도정을 거쳤다. 그 목적은 전문적 극단 체제를 갖추며 ‘우리 신극’을 상연하기 위함이었다. 결과적으로, 극연은 회원제 후반기(1936.7~1938.3)에 조직체를 ‘총무국과 산하의 연출부, 문예부, 미술부, 경리부 및 산하의 반’의 구조로 수립하였다. 그 중 연기 부문은 연출부 산하의 연기반으로 두어 당시까지 연기 체계가 미약한 실정을 노정하였다. 그 후 극연은 자금난 해소를 위해 영화부(1937.6~1938.3)를 추가로 특설하기도 했다. 극연은 첫 시연부터 ‘연출(자)와 다른 직무의 무대감독’을 기용하면서 연출(자)의 독립성과 제작 부문의 분업화를 도모하였다. 그 후 연출 부문은 ‘연출자, 연출보, 무대감독, 무대감독 조수, 프롬프터’의 구성(원) 체제를 갖추었다. 그 가운데 동인(회원)은 무대감독 또는 연출보를 거쳐서 연출자로 데뷔하는 경로를 이루었다. 그러나 연출자와 연출의 조력자들 간에 직무 권한과 경계는 확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무적 분업화는 실현되지 않았고 무대감독을 비롯한 조력자들은 연출자의 지시를 추종하는 입장에 있었다. 무대미술 부문은 장치, 조명, 효과, 의상, 대․소도구 등 제반 분야에서 구체적인 개인에게 구체적인 책임을 맡기는 분업 체제를 수립하였다. 특히 장치와 조명 부문은 외부의 실기 전문가를 영입하는 노력의 결과로 해당 분야의 전공자와 숙련자가 전담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무대 부문에서도 분업 체제와 그 실천 사이에 적잖은 간극이 실재하였다.

      • KCI등재

        신극 단체 ‘극예술연구회(1931.7.8.-1938.3)’의 동인제 시기(1931.7.8-1932.12) 연출 양상과 평가들에 관한 논고 - 제1회 시연작 <검찰관>(5막)을 예로 하여 -

        성명현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ging principle, the staging work and the trial performance of Shingeuk troupe Geukyesulyeonguhoe during the period of coterie system, focusing on Gogol work·Ham Daehoon translation·Hong Haeseong directing’s <The Inspector General>(5Act). As a result, the first trial performance <The Inspector General> was based on a faithful full-scale description rather than an interpretive directing of play. It was a performance that focused on copying and implanting the external form of the <The Inspector General> performance stage of Shingeki troupe Tsukiji Little Theater. The general review of the time was summarized to the point that it was a relatively successful performance that exceeded expectations as a trial demonstration of amateur actors. However, in terms of the content of play and the form of performance, reservations and lack of contemporary(modern) interpretation caused the problem that the general audience was alienated.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achieve the effect of reflecting the reality of Chosun through <The Inspector General>, as Geukyesulyeonguhoe intended. 극예술연구회의 동인제 시기는 외국극(번역극)의 다양한 공연 형식에 대해 연구·실험한 시기였다. 당시 상연의 기조로 택한 ‘새 종자론’의 논지는 일본의 신게키(新劇)운동을 모범으로 하여 번역극 레퍼토리와 공연 형식 및 연극 자체까지 능동적인 모방과 복사를 지향한 ‘전면적 포괄적 이식주의’를 함의하였다. 동인회가 첫 시연작으로 <검찰관>을 선정한 동기는 형식상 고전극 연출을 실험하기에 좋은 작품이란 점 등 외에도, 특히 홍해성이 쓰키지쇼게키죠(築地小劇場) 시절에 출연한 경험에서였다. 홍해성은 엄격한 위상의 연출자였고, 연습 과정에서 연출대본의 플랜에 따라서 변경 없이 추진하는 방식을 지향하였다. 연기 면에는 인물의 내면적 심리와 동작, 대사, 감정 등의 세세한 부분까지 지도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극연의 <검찰관> 시연은 희곡의 해석적 연출 보다는 그대로의 전사적(轉寫的) 구현을 위주로 하며 쓰키지쇼게키죠의 <검찰관> 공연과 무대 형식을 모방·이식하는 데 주력한 공연이었다. 그러나 내용과 형식면에서 ‘그 현대적(근대적)’ 해석의 유보와 결여는 지식층-학생들 이외의 관객들이 간과된 문제점을 드러냈다.

      • KCI등재

        연출가연극의 비조(鼻祖), ‘연극공작 게오르크 2세(1826-1914)’의 연극관과 연출론에 관한 소고

        성명현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0

        This research was studied in regard to theatre perspective and the directing methods of the ‘Theater Duke Georg II.’, the ruler of the Duchy of Saxe-Meiningen in modern Germany, in his contemporary context based on the Meininger Principle. He was a theatre-cultural politician, producer and a regisseur, who used theatre as purposive media to arbitrat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ality and enhance national prestige. Especially as a regisseur, he established directing principles and methods which was performing the original texts representing playwright's perspective targeting to creat theatre as synthesis of the arts at Meningen Company. It was innovative thing itself which was that his directing art was accompanied by new theatrical aesthetics, practical principles, and staged process. He established independence and originality of directing which was breakthrough of modern stage-director's theatre. Furthermore he layed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director's theatre. 본 연구는 근대 독일 작센-마이닝겐 공국의 군주 ‘게오르크 2세 공작’의 연극관과 연출론에 대해 마이닝거 프린칲에 기초하여 그의 동시대적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그는 연극을 국내외 현실을 중재하고 국위를 고양하기 위한 합목적적 매체로 활용한 연극-문화정치가이자 제작자 겸 연출자였다. 지면 여건상 그의 연출론을 중심으로 요약하면, 그는 마이닝겐 극단에서 종합예술작품인 연극의 창조를 목표로 하여, 희곡 원전을 작가의 대변자적 입장에서 상연하는 연출 방법론을 수립하였다. 그의 전제적인 연출법에 수반된 포괄적 역사주의, 학술적 선행연구, 원전에 충실한 해석과 완결된 앙상블 효과를 위한 목적연출, 제작 단계별 분업과 협업, 배우의 개성과 앙상블 연기 중시, 체계적인 배우훈련과 철저한 리허설 실행 및 배우연극의 스타시스템과 전문역 같은 낡은 관행과 관습의 배격 등은 연극창조의 새로운 가치관과 실천 체계로서 혁신적인 것이었다. 그는 연출(자)의 독립과 독자성을 수립하며 근대 연출자연극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고, 이로써 근·현대 연출가연극을 위한 토대를 놓았다.

      • KCI등재

        신극 단체 ‘극예술연구회(1931.7.8~1938.3)’의 회원제 중ㆍ후기(1935.5~1938.3) 활동상과 연출자 유치진의 <춘향전>(4막 9장) 연구

        성명현 한국역사민속학회 2022 역사민속학 Vol.0 No.6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ctivities of performance during the mid and late period of membership system(1935.5~1938.3) of Geukyesulyeonguhoe (1931.7.8~1938.3, hereinafter referred to as ‘Geukyeon’). In addition, the purpose ist to analyse its staging principle and work system based on stage-director Yoo Chijin’s adaptation and directing work <Chunhyangjeon> (4acts 9scenes). Geukyeon of the time pursued forward in earnest the realism theatre, the goal of Shingeuk, that is to say ‘staging an original play that reproduces and criticizes the life, thought, and emotions of Chosun people’. In addition, as a branch of Shingeuk movement, it also advocated the modernization of folk drama. The latter rooted from the members' shared the folkloristic point of view and their decision to allocate shares for modifying folk drama into Shingeuk, as part of a Shingeuk movement. Especially, Yoo Chijin opened up a possibility of formative variation, expanding the concept category of Shingeuk beyond the limit of realism and into a newly constructing play, grasping the original theatrical traditions of Chosun. He pursued in adaptation and directing play <Chunhyangjeon>, aiming to establish the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Changjogeuk <Chunhyangjeon> into a modern play’, in other words ‘transformation into Shingeuk’. Therefore, based on the modern play principles of form, he eradicated Changjottuk among Changgeuk elements of form, and rather implemented the method of actors performing both acting and Pansori. Moreover, he managed a stage that added musical effect such as Pansori and dance, and audio visual devices on top of the form of historical realism in staging style, based on historical investigation. As a result, historical play of the popular Shingeuk class <Chunhyangjeon> was embodied in a form that added romantic elements to the formative beauty revealed in music and dance. It was recorded as the first play that made profit among the history of Geukyeon, with the theater full audiences. This work is meant to be an inflection point and a starting point in expanding the creative horizons beyond the limits of realism to popular musical dramas in the performance history of Geukyeon. However, although it was praised for opening up a new possibility of Chosun's Shingeuk, it was also criticized for losing the goal of Shingeuk, due to the dwindled modern ideology and realistic depict, only leaving the form of modern drama. Furthermore, he showed the competent creative capability through research experiments on new genre and play style, although it may not be proficient. Yoo Chijin, a sort of self-playwriter․standing-stage director of Geukyeon period, expanded his creative horizons by experimenting with new genres, from interpretive directing true to the playwriting to creative directing free from the playwriting. He also worked with the ‘Chosun Folklore Society’ and the ‘Chosun Puppet Theater Society’ and made a concerted effort to discover and modernize Chosun's classics and traditional performances. He showed promising capabilities in his excellent interpretation of theatre, creative planning, and creative staging, even though he was not yet skilled. This can be regarded as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for directing work represented by the stage-director Yoo Chijin who led the full-fledged phase and final stage in Shingeuk movement of Geukyeon period. 극예술연구회는 회원제 중․후기에 창작극 우선주의를 추진하며 창작희곡의 진흥과 극작가(단)의 양성에 주력하는 한편, 그동안 주창한 바 ‘신극운동의 견지에서 민속극의 신극화’를 실천으로 옮겼다. 후자는 동인(회원)들이 일찍이 민속학적 인식을 공유하며 신극(운동)의 갈래로 민속극의 신극화를 위한 지분을 상정한 데 따른 것이었다. 특히 자작․자연출(自作自演出) 유형의 상임 연출자 유치진은 신극의 개념 범주를 리얼리즘의 한계를 넘어서 조선의 고유한 연극전통을 되잡아 새로이 건설하는 연극까지 확대․포괄함으로써 형식적(型式的) 변주의 가능성을 열었다. 그 첫 실험작인 <춘향전>(4막 9장)의 각색과 연출에서는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을 목표로 하여 ‘과거의 창조극(唱調劇) <춘향전>을 근대극 형태로’ 즉 ‘신극화’를 추구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무대화 작업에서 근대극의 형식적 원리를 기초로 하며 창극(唱劇)의 형식 요소들 중 창조(唱調)뚝을 근절하였고 연기자가 연기뿐 아니라 소리까지 하는 기법을 도입하였다. 아울러 고증에 의거한 역사적 사실주의 무대 위에 소리와 춤 등의 시청각적 기제와 음악적 효과를 낭만적 요소로 편재하는 연출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로서 ‘전통적 가무(歌舞) 요소를 곁들인 대중적 신극 부류의 역사극 <춘향전>’ 공연은 관객 대만원의 성황을 이루어 극연 사상 처음 흑자를 본 공연으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공연 형식과 연출 방식에 대해서는 조선(적) 신극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호평과 더불어 근대 의식과 현실 묘사는 약화된 채 근대극의 형식만 빌려서 신극의 명분을 잃었다는 비판도 받았다. 극연의 상임 연출자 유치진은 상연 희곡의 선택에서 입센형(型)의 사실주의 작품과 보다 자유스런 연극적 형태의 작품까지 망라하였다. 무대화 작업에서는 희곡에 충실한 해석적 지향의 연출부터 보다 자유로운 창조적 지향의 연출까지 장르적 갈래와 극형식에 대한 실험을 계속하며, 아직 성숙되지는 않았어도, 유능한 창조적 역량을 드러냈다. 극연의 신극운동 사상 본격기와 마감기를 주도한 연출자 유치진의 <춘향전>을 포함한 다양한 창작 활동상은 곧 신극 단체 극연의 연출 지형과 지평을 대변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 KCI등재

        윤백남의 논설 「연극과 사회」(1920) 고찰

        성명현(Meung-Heyn Su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에 활약한 연극영화인 윤백남(1888-1954)의 논설 「연극과 사회」를 포스트콜로니얼 비평의 시각에서 고찰하고 그의 흥극사업 주창의 핵심논점들과 연극관 및 현실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윤백남은 일제치하의 식민지 현실에 순응하고 타협하며 실리를 찾은 인물로, 그의 흥극사업론은 제국 일본 지향적 개조주의를 기조로 하며 일제의 민풍개선정책에 추수하는 주장이란 점에서 문화적 민족주의자들의 문화운동과는 대척점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의 서양연극사 개관은 연극의 사회적 역할과 공리적 기능에 치중한 결과 적잖은 오류를 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연극-배우 옹호론은 연극과 지식인이 본격적으로 교우하는 시대의 개막이자 연극문화의 주요 담당계층이 지식층으로 교대되는 지형적 변화의 단초로써 의미가 있으며, 그의 계몽주의적 연극관은 장차의 신극운동을 위한 하나의 초석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re-read Yun, Baek-nam(1888-1954)s editorial 「Theatre an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 criticism. He was a man of the theatre who pursued practical interests in compliance with the colonial reality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advocacy of theatre development work was based on the Japan-directional reformism and on Japan-friendly in following after Japans improvement policy. His general discussion on Western theatre history had considerable errors as a result of focus on the social role and utility of the theatre. But his vindication of theatre-actor opened an era of interaction between theatre and intelligence in Korea. In addition, his enlightening view of a theatre became such as one of the cornerstones for the Shinkug Movement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박승희의 극단 토월회(土月會: 1923~31)의 조선극장 시절(1929.10~1930.2) 공연활동상에 관한 논고

        성명현(Sung, Meung-Heyn)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 신극단체 토월회가 식민지 조선사회의 축소판인 일본인 소유의 조선극장과 전속되다시피 제휴․계약한 사실에 주목하고, 당시에 제휴의 전말과 토월회의 공연활동 내역 및 양상을 언론자료 및 사료에 기반하여 재구성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월회와 조선극장의 실제적 제휴․계약 기간은 1929년 10월부터 30년 2월까지 5개월간이었으며, 극단이 조선극장에서 공연한 기간은 부흥 제1회 공연(1929.11.1~6)부터 15회 공연(1930.1.22~27)까지 약 3개월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당시 조선극장의 흥행 순서는 ‘영화 1편, 연극 1편, 레뷰 수종, 연극 1편, 영화 1편’의 순이었고, 토월회는 영화상영 사이에 배분된 1시간여 동안 통상 단막극 두 편을 공연하였다. 그러나 토월회는 계약상 우위에 있는 조선극장 측의 수익성에 대한 요구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으며, 공연목록과 연출에서는 재미와 볼거리에 방점을 둔 희가극과 악극이 절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토월회의 조선극장 시절은 ‘(희)가․악극 전성기’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토월회는 ≪아리랑고개≫나 ≪지나간 시대≫ 같은 창작(악) 극의 상연에서는 광무대 시절에 ‘고전의 현대화 상연’에 담보된 ‘저항성 전통주의’의 연장선상에 있는 ‘조선정조를 담은 의미심장의 시대극’이라는 이른바 ‘토월회식 근대극’을 창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것은 양식상 아직 근대 서양연극의 요소들과 일본 다이쇼기의 근대적 신게키 형태가 무질서하게 혼종화된 가(假)신극 내지 신극류의 범주에 속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토월회는 조선극장 내에서 약 3개월간 공연하는 동안에도 조선사회의 항일구국을 향한 식민지적 격동에서 비롯된 뜻밖에 사건과 사고를 피할 수 없었다. 이것은 일제치하에서 조선(인)극장은 거의 유일한 종족공간이었으나 식민권력은 예외 없이 돌입․행사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istory of Shingeuk troupe Towolhoe and Bak, Sunghee’s activities of the performances at the time of Chosun Theathre in 1920’s, focused on Towolhoe’s partnership agreement with the Japanese-owned Chosun Theatre as a microcosm of the Chosun society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Based on the Press and Historical Documents at that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ual affiliate contract period of Towolhoe with Chosun Theatre was from October 1929 to February 1930, at most 5 months, but it’s running times were from the ‘Revival of the 1st Performance’(1929.11.1~6) to the ‘Revival of the 15th Performance’(1930.1.22.~27) at least 15 times. Second, at that time, Chosun Theatre’s entertainment programs and orders were consisted of the ‘motion-picture(movie) 1, theatre 1, several works of revue, theatre 1, motion-picture 1’, and Towolhoe usually showed two plays for about 1 hour among movie screenings. However Towolhoe was never free from the need for the profitability of Chosun Theatre, and it’s repertoires were filled with the majority of the (Hui)Gageuk(operetta) and Akgeuk(musical drama) based on the amusement of fun and attractions. In this sense, the time of Towolhoe in Chosun Theatre could be characterized by ‘it’s heyday of (Hui)Gageuk and Akgeuk’. Third, Towolhoe invented the ‘meaningful period play with the Chonsun’s sentiment’, so-called the ‘modern theatre of the Towolhoe-style’ in the creative works such as ≪Arirang Hill≫and ≪Past times≫, which was at the extension of the ‘resistance traditionalism’ contained in the ‘staging of the modernization of classic works’ at the time of Gwangmudae. However, it was from the style which belongs to the category of the Shingeuklike as a chaotically hybridized form from the modern theatrical elements of Western and modern Shingeki form of Japan’s Taishow era. Finally, Towolhoe couldn’t have been avoided also during 3 months in the Chosun Theatre the unexpected incidents and accidents that had come from the colonial turbulence of Chosun society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t was because that Chosun Theatr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as the only space of ethnicity, but the colonial powers in that place was to be broken into and harmed without ex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