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생애 단계와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연구

        성경환,권동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fe stage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capture content that requires psychological support, and provide basic data for way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receive psychological support. Methods For this purpose, a background variable and life stage survey and a psychological burnout test (TBI) were conducted on 124 elementary school teacher nationwide. The data collection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xhaus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Results First,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ch as age, school size, experience of violation of teaching rights, experience of psychological support, and need for psychological support were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exhaustion.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 stage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significant with a sense of skepticism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during the adjustment period,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work and skepticism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during the independence stage, and a sense of crisis and frustration with teaching authority,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work, and skepticism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for retire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exhaustion was greater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independence, retirement preparation, and passion stages among the life stag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sychological exhaustion was found to be greater in both stages 1 and 2. I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rst, special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upport are need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each stage of their life: independence, retirement preparation, and passion. Second, 95.2%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needed psychological support. This ratio appears to be an urgent need for teachers and suggests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is. Third, this study will not only greatly requir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t will als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related to the recovery and support of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 KCI등재

        초등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연구

        성경환,권동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목적 본 연구는 의사소통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유형은 어떠한지 탐색하는데 있다. 방법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연구를 위해 본 연구는 인간 행동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인간의 행동 및 심리 과정을과학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교육의 철학적⋅심리학적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서 실시되었다. 위르겐 하버마스와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에 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결과 많은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이 교사의 성격적 특성에 중점을 둔 개인적 측면에 초점이맞추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하버마스와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적 탐색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따른 비언어적 행동 요소의 분류를 통해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은 교사 개인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환경적 맥락에 대한 고려의필요성에 따라 나타나는 행동양상을 크게 두 가지 유형인 신체언어형과 환경 언어형으로 구분하였다. 하위요소로 신체움직임, 신체감각, 목소리 등의 신체기관을 수단으로 하는 신체언어형 의사소통 행동유형과 물리적인 시간 및 공간, 인공적 상징, 사회체계를 하위 요소로 하는 환경 언어형 의사소통 행동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결론 초등학교 교실이라는 맥락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교사의 의사소통 행동 유형이 어떠한가를 살필 때 우리의 시선은 교사 개인의성격적 특성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연구들과 언어적 의사소통 행동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빈도를 측정한 연구들이 많았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체계의 복잡성 및 그 요소들의 범위가 매우 넓어 유형화 하기 어려웠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실시된 본 연구에서는하버마스와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비언어적 요소들을 공통적인것들로 구분하고 교사의 의사소통 행동 유형은 신체를 가진 교사 한 개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개인이 몸담고 있는 실제삶의 맥락인 학교, 교실, 수업, 상황이라는 시⋅공간적 환경의 통합적인 관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communication theor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integrated approach to education that can scientifically support various perspectives on human behavior and human behavior and psychological processes for the study of teacher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al types. Based on the communication theoretical exploration of Jurgen Habermas and Satir,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on the typ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Results Looking at many previous studies,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focused on the personal aspect with emphasis on th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In this study, the teacher'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was considered not only in the personal aspect of the teacher but also i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text through Habermas and Satir's communication theoretical exploration and classification of nonverbal behavioral factor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behavioral patterns that appear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types: body language type and environment language type. As sub-elements, body language type communication behavior types using body organs such as body movements, body sensations, and voices, and environmental language type communication behavior types using physical time and space, artificial symbols, and social systems as sub-elements. classified. Conclusions Conclusion When looking at the types of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in the existing studie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our gaze is focused on the teacher's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have measured the frequency. In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were difficult to categorize because the complexity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range of its elements are very wide, based on the communication theory of Habermas and Satir, various nonverbal elements appearing i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of teachers were identified as common.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teacher with a body, the teacher's communication behavior type is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temporal and spatial environment of school, classroom, class, and situation, which are the real life contexts in which the individual is involved. will have to be understood as.

      • KCI등재

        수사학관점에서 본 초등교사 제스처 분석의 교육적 의미

        성경환,권동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Although the gestur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very important and meaningful action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students, it is difficult to conduct systematic analysis because of the diverse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human actions. In particular, for children who have grown up in the visual culture environment of various visual media these days, the teacher's gesture is an important communication behavior as one of the visualized media and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education. However, research on teacher gestures has been steadily progressed in relation to non-verbal communication studies, but studies that analyze them are rare,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and explaining them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at rhetoric as a communication theory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useful implications for analyzing teacher gestures. Accordingly,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hetorical success in ancient and modern rhetoric was the speaker, and when the speaker of rhetoric was viewed as a teacher, the teacher was deliberately engaged in a social role in order to contribute to persuasion to student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ir right behavior is an important norm and that they themselves have been a decisive factor in communication. Teacher's gestures ar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and are very meaningful actions that help students develop cognitive and affective, and ultimately, gesture research is an educational strategy for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will contribute to educ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교육이 또래관계 및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경환,유재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요즘 초등학생들은 또래와의 놀이와 교제의 즐거움을 알고 실생활에서의 다양한 경험과 앎, 보편적인 기본생활 습관 형성이이루어지는 시기에 과도한 경쟁과 입시 불안 등으로 이러한 삶과는 먼 생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교육이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초등학령기 아동의 건전한 사회⋅심리적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도록 돕는데 있다. 방법 사교육이 또래관계 및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22년 12월 10일부터 2023년 1월 3일까지 서울, 세종, 충북에 소재한 9개 초등학교 11학급 남녀 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 및 학업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1과목 이상 사교육을 받고 있는 약 96.4%의 초등학생 214명의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결과, 사교육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 사교육 계속여부에 대하여서는 또래관계 하위변인인 정서적 갈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사교육과 학업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심리적 부담감, 시험⋅성적 스트레스, 부모와의 갈등, 학교생활 문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및 통신강의 수강 비율이 높은 학생들은 시험⋅성적 스트레스와 부모와의 갈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나타났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초등학생들이 또래나 부모님과의 갈등을 겪지 않고 자신의 수준에 맞게 스스로 정보기기를 활용할수 있다. 인터넷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는 학습자 자신이 주도한 만큼 또래관계에서 겪는 경쟁이나 정서적 갈등을 줄일 수 있으며, 학업 스트레스도 덜 받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은 미래 사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초등 탐구수업에 나타난 초등학교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패턴 분석

        성경환(Sung kyunghwa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탐구수업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사의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다양한 수업방식과 교수 실천에 있어 실제 교실 상황을 분석하는 일은 주로 발문이나 언어적 의사소통 연구에 치중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실증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탐구수업 관찰 프로토콜(RTOP)과 행동 분석 프로그램(Observer XT)을 활용하였고, 현직 교사 3명의 실제 수업 촬영 영상을 대상으로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와 학생의 RTOP 분석에서 상호작용 척도 측정결과에서 상호작용 척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탐구수업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하위 요소 중 정보제공 및 설명시 제스처를 사용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수업에서 교사가 중심일 때 보다 학생 중심으로 진행될 때, 교사와 학생의 친밀한 거리, 학생 개개인과의 눈 맞춤 비율이 늘어났고, 학생들의 질문과 요구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행동 패턴이 두드러졌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수업 영상에서는 학생들을 평가 하거나 피드백 하는 빈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중요한 정보 제공 시 모두 목소리에 적절한 변화를 주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더욱 강조되고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나갈 것이라고 볼 때,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사의 의사소통 역량은 단순한 학생들의 참여의 여부와 활동 의미를 두기보다는 상호작용 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아동들에게 의미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teacher s communication competency, which is emphasized in new educational demands, by analyzing the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patter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quiry classes. Methods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e analysis of actual classroom situations in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practices has mainly focused on questionnaires and verbal communication studies. We collected and analyzed empirical data on variou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To this end, the inquiry class observation protocol (RTOP) and behavior analysis program (Observer XT) were used, and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actual class footage of three incumbent teachers. Results In the inquiry class where the interaction scale was the highest in the RTOP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ratio of using gestures for information provision and explanation among the sub-elemen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was also high. When the class was student-centered rather than teacher-centered, the close distanc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nd the ratio of eye contact with each student increased, and the behavioral pattern of responding directly to the students questions and demands was prominent. In the classroom video of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evaluating or giving feedback to students was rarely seen, and it was found that all important information was emphasized by changing the voice appropriately.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learner-centered classes will be more emphasized and continuously expanded not only in the present but also in the future classes that are expected to change in the future, the teacher s communication competency emphasized in the new educational demands depends on whether or not students simply participate. It suggests that it is meaningful for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and use it well in interaction, rather than placing the meaning of activities with childre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손가락 길이 비율(2D:4D)과 공격성의 관계 연구

        성경환(Sung Kyung hwan),김현욱(Kim Hyun 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태아기 성호르몬의 노출의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두 번째 손가락과 네 번째 손가락 길이의 비율(2D:4D)이 초등학교 남녀학생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남녀학생들의 공격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188명을 대상으로 두 번째 손가락과 네 번째 손가락 길이를 측정하고, 공격성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교 남학생의 손가락 길이 비율이 여학생의 손가락 길이보다 낮았고, 남학생의 손가락 길이 비율이 낮은 경우 신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여학생의 오른손 손가락 길이 비율이 낮은 경우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민한 발달과정 중에 있는 초등학생들의 선천적인 기질을 이해함으로써 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 행동발달에 도움이 되는 교육적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ra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nd to 4th digit length ratio (2D:4D), which reflects the amount of exposure to the prenatal sex hormon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2D:4D and aggression. The subjects were 188 sixth-grade children in Kyounggi-do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e typical sex difference in 2D:4D ratio that girls had significantly higher 2D:4D ratio than boys. If boys had significantly lower 2D:4D ratio among them, they had higher tendency of ‘physical aggression’, ‘roundabout aggression’, and ‘negativism’. If girls had significantly lower 2D:4D ratio of right hand among them, they had higher tendency of ‘roundabout aggression’ and ‘verbal aggres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mount of exposure to sex hormone in the prenatal period seems to have an impact on the determination of children’s aggression. It is considered to be the useful way to understand the temperament of children and the cues of educational guidance.

      • KCI등재

        직무순환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세대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경환(Gyeonghwan Seong),양성병(Sung-Byung Yang),최세연(Se Yeon Choi) 한국경영학회 2022 Korea Business Review Vol.26 No.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급격한 변화와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있는 오늘날의 경영환경에서 조직들은 조직 내외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인적자원관리 전략의 하나로 직무순환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직무순환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형태와 횟수 등의 형식적인 면에 치중해왔으나, 동일한 인사제도라 하더라도 구성원의 인식에 따라 태도와 성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직무순환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이 직무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때 구성원의 특성 또한 함께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구성원 인식인 공정성 지각에 초점을 맞추어 직무순환에 대한 지각된 공정성의 세 가지 차원이 각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조직이 다양한 연령대의 비동질적인 집단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특성 중 세대별 유형이 각각의 과정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여부를 함께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업에서 근무 중인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 250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조직공정성 중 분배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은 조직유효성의 지표 중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는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대별 유형에 따른 차이도 보고되었는데, 상호작용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밀레니엄 세대보다는 X세대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X세대보다는 밀레니얼 세대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직무순환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 및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 과정에서 세대별로 차이를 보인다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acing rapid changes and fierce competi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organizations have actively employed job rotation as one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Job rotation can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nd employees’ perception of job rotation can significantly influenc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job rotation based on organization justice theory and aims to explore its effe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organization is a heterogeneous group of various age cohorts, we also investigate how different age cohorts affect this process. To test the hypotheses,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250 employees consisting of Generation X and Millennials working in domestic (South Korean)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lead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in job rotation and job satisfaction is stronger in Generation X than in Millennials, while the on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s stronger in Millennials than in Generation X.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how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job rotation influences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how differences in generation affect this influencing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