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발화 분석을 통한 만 2세 한국아동의 말-언어발달 특성

        하승희(Seunghee Ha),설아영(Ahyoung Seol),소정민(Jungmin So),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본 연구는 자발화 분석을 통해 음운, 의미, 구문, 형태론을 나타내는 객관적인 지표를 구해 월령집단과 성별에 따라 다른지 살펴보면서 2세 한국아동의 말-언어발달 특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또한 아동의 자발화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발된 한국어 발화 분석기(Korean Language Analysis, KLA)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객관적인 측정치를 제시하면서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출생과 발달상의 특이사항이 없는 생후 24-30개월 된 일반아동 21명, 생후 31-36개월 된 일반아동 23명으로부터 50 발화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객관적인 말 지표로서 자음목록, 음절구조 유형 수, 평균음운길이, 단어단위 근접률, 단어단위 정확률, 자음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언어지표는 한국어 발화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낱말 수, 총 사용 낱말 수, 평균형태소길이, 평균낱말길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2세 전반과 후반의 월령집단과 성별에 따라 말 특징을 살펴본 결과 평균음운길이를 제외한 모든 측정치에서 2세 전반과 후반 아동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언어 특징을 나타내는 측정치인 서로 다른 낱말 수와 총 낱말 수, 평균낱말길이 면에서 월령집단별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성별 간 차이는 모든 말-언어 측정치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 자발화 분석을 통한 2세 아동의 객관적인 자료는 말-언어발달지연 및 의사소통장애 여부를 평가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obtained quantitative measures reflecting phonological, semantic, syntactic, and morphological aspects of language in Korean two-year-old children from analysis of spontaneous utterances.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of speech-language development patterns between children age 24-30 months and 31-36 months and between boys and girl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measures. Methods: Twenty-on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 24-30 months and 23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 31-36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Fifty utterances were collected from the children’s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s and analyzed. Consonant inventory, syllable structure,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PMLU), phonological word proximity (PWP), phonological word correction (PWC), and percentage correct consonants (PCC) were obtained as speech measures.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number of total words (NTW), mean length of utterances in morphemes (MLUm), and mean length of ut¬terances in words (MLUw) were analyzed as language measures using the Korean Lan¬guage Analysis program. Results: All the speech measures except for PMLU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ren age 24-30 months and 31-36 months. NDW, NTW, and MLUw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ge groups, but MLUm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ny of the speech and language measures between boys and girls. Conclusion: These speech and language measures from analysis of spontaneous utterances can be used as references in identifying speech-language development delay and communication disorders in two-year-old children.

      • KCI등재

        일반 영유아의 초기 발성 발달 연구

        하승희(Ha, Seunghee),설아영(Seol, Ahyoung),배소영(Pae, Soyeong) 한국음성학회 201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6 No.4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relinguistic vocal production of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aged 5-20 months based on Stark Assessment of Early Vocal Development-Revised (SAEVD-R). Fifty-eight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5-8 months, 9-12 months, 13-16 months, and 17-20 months of age. Vocaliz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infants" play activities and were classified into 5 levels and 23 types using SAEVD-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our ag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duction proportion of vocalization levels. Level 1, 2, 4, and 5 vocalizations exhibited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four age groups. Level 3 was predominantly produced across every age group. Therefore, the vocalization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four age groups. Especially, vowels in Level 3 vocalization predominantly produced across all ages during a long period. Also,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roportion of Levels 4 and 5 occurred after 9 months, which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cannonical syllables is a key indicator of advancement in prelinguistic vocal development. The results have clinical implication in early identification and speech-language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ech delays or at risk.

      • KCI등재

        초등 1, 2학년 난독 고위험군 아동에 대한 개별화된 파닉스프로그램 중재효과

        원효은(Won, Hyoeun),설아영(Seol Ah-young),장우정(Jang, Woojeong),이정민(Lee, Joungmin),배소영(Pae, So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난독 고위험군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개별화된 파닉스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한 뒤, 단어유형과 음절내위치에 따라 단어 읽기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 비언어 지능검사 2판(박혜원, 2014)에서 지능지수 평균 96.69(표준편차 13.10)이고, 한국어 읽기검사(배소영 외, 2015)의 읽기지수1(해독+읽기이해)에서 평균 63.42(표준편차 11.92)이며,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한글 교육을 6개월 이상 받았고, 다른 발달장애가 없는 아동이었다. 중재는 사전평가에서 보인 대상자의 단어 읽기 특성을 심층분석하고, 개별적인 목표를 정해 1대 1 대면으로 20회기(1회기 40분, 주 2회) 제공되었다. 연구결과 중재 후에 단어 읽기 능력에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의미단어보다 무의미단어에서 더 큰 수행력 향상을 보여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파닉스 중재가 친숙하지 않거나 의미를 알지 못하는 단어를 읽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음절내위치 중에서 종성에 대해 더 큰 수행력 향상을 보여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개별적인 맞춤형 파닉스 중재가 어려움을 보이는 특정 음절내위치의 자소 읽기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대상자의 향상된 단어 읽기 수준이 여전히 또래에 비해 낮은 수행력을 보이므로, 장기간의 중재를 통해 글자와 소리가 불일치하는 단어 읽기에도 파닉스가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통제집단을 포함한 파닉스 중재효과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vention effect of Korean individualized phonics program for 26 1st and 2nd graders at risk of dyslexia considering meaning availability and letter location within a syllable. The subjects performed very low ability in the reading index 1 of the standardized test of KORLA(Pae et al., 2015) and the average standard score was 63.42(SD 11.92) while they were intelligent as in the standard score of 96.69 (SD 13.10) on average in K-CTONI-2 (Park, 2014). , 63.42 (SD 11.92) on average in the KOLRA (Pae et al., 2015). All the children had reading and writing experience more than six months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had no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provided individualized 20 sessions of Korean phonics for 40 minutes twice a week.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ability to decoding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greater improvements in nonsense-words compared to meaning words reflecting word attack abilities in reading. Phonics intervention seemed to help children read unfamiliar or unknown words. As for letter location within a syllable, greater improvement was found for the syllable-final letters compared to syllable-initial consonant letters and syllable-medial vowel letters. Althoug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word reading, many children did not achieve the peer level of reading. Further studies are in need to provide longer sessions of intervention as well as including randomized control trials.

      • KCI등재

        영유아-어머니 상호작용에서의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어머니 의사소통 행동 특성

        이윤경(Yoon Kyoung Lee),설아영(AhYoung Seol)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배경 및 목적: 어머니의 의사소통 행동 유형은 영유아의 의사소통 및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어머니 상호작용 중에 어머니와 영유아의 의사소통행동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 유형이 언어발달지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어머니 15쌍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어머니 15쌍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어머니 15쌍, 총 45쌍의 영유아-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영유아와 어머니가 자유놀이와 책읽기를 하는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녹화된 자료 중 10분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은 주의환기, 설명하기, 지시하기, 질문하기, 피드백의 다섯 가지로, 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은 요구하기, 언급하기, 모방하기, 질문하기, 반응하기, 무반응의 여섯 가지로 측정하였다. 결과: (1) 언어발달지체 어머니들은 생활연령 일치집단의 어머니들에 비해 설명하기는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그리고 피드백은 유의하게 낮은 빈도로 산출하였다. 언어연령 일치집단의 어머니들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언어발달지체 영유아가 생활연령 일치 영유아들에 비해 언급하기와 반응하기는 유의하게 낮은 빈도를 보였으며, 무반응 빈도는 생활연령 및 언어연령 일치 영유아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3) 영유아와 양육자간 의사소통 행동의 상관분석 결과, 세 집단 모두 양육자의 피드백과 영유아의 의사소통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언어연령일치 집단에서 유의한 상관이 많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 유형이 또래 영유아 어머니와 차이가 있으며,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 유형이 영유아의 의사소통행동과의 관련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의사소통 평가 및 중재 시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 유형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It was reported that the communicative style of mothers affected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their chil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mmunicative style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heir mothers during play interaction. Methods: A total of forty-five toddlers ranging in age from 18 to 36 month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ing fifteen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and their mothers, fifteen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 with the DLD individuals (CA controls) and their mothers, and fifteen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matched for language age with the DLD individuals (LA controls) and their mothers. Language samples of the toddlers and their mothers were collected during play interaction for 30 minutes. The mothers’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categorized into calling to attention, explaining, instructing, asking, and feedback, while the toddlers’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categorized into demanding, commenting, imitating, questioning, responding, and no response. Results: The mothers of the DLD individuals used more of the explaining function and less feedback than the mothers of the CA controls. The DLD toddlers produced less commenting and responding and more no response behaviors than CA controls. The feedback of the mothers in all of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sponse of their toddler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mmunication style of mothers of DLD toddlers was slightly different than that of mothers of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 KCI등재

        소득수준과 언어수준에 따른 초등생의 읽기유창성 비교

        구가영(Ku, Kayoung),설아영(Seol, Ahyoung),배소영(Pae, Soyeong) 한국음성학회 2015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7 No.2

        This study explores reading fluen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dering language level and family income(low SES). Forty eight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s participated in two paragraph reading tasks. Half of the children were from low income family and half of the children had low lexical knowledge. Reading fluency as in the number of correctly read syllables per minute, the total error frequency and error types were used to compare group differe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rrectly read syllables per minute between two income groups and two languag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 income group and non-low income group in total number of errors only when children"s lexical knowledge were low.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error types of repetition and omission. Substitution and insertion error seemed to reflect the total error pattern.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and early involvement for children with low lexical knowledge from low income family. Monitoring and early intervention will support these children"s reading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판 영유아 언어 및 의사소통 선별검사(Korean Snapshot: K-SNAP)의 타당도 및 신뢰도

        배소영(So yeong Pae),윤효진(Hyo jin Yoon),설아영(Ah young Seol),Jill Gilkers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3

        배경 및 목적: 영유아 시기 언어발달 고위험군의 조기 선별과 지원이 필요하다. 언어발달 추적을 위해 한국의 언어 및 문화를 고려하여 개발한 Korean SNAP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52문항의 회고형 설문 LENA Developmental Snapshot을 한국어 발달에 맞게 번안하고 수정한 후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1,515명의 자료를 토대로 발달적 타당성과 다른 언어 선별검사와의 상관을 보았다. 일부 아동에게 발달검사 및 발화자료를 수집한 후 상관을 살폈다. 신뢰도는 문항의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11개 월령집단 중 9개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발달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K M-B CDI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언어선별도구로써의 타당성이 있었다. Korean Bayley II의 인지 및 동작 검사결과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아동의 발화 분석 결과와도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문항의 내적일치도는 Cronbach 알파가 .972로 매우 높은 편이다. 119명에 대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42로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한국어판 K-SNAP은 어휘중심의 K M-B CDI를 보완하고, 8문항으로 영유아 검진에서 사용하는 K-DST 언어 영역과 연계하여 발달을 추적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검사도구의 민감도와 특이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or children who are at risk of language delay. This study explor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Developmental Snapshot (K-SNAP)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as a screening and monitoring tool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 Methods: The 52-item questionnaire of the developmental snapshot was adapted into Korean by substituting 10 items. To es-tablish the developmental validity of the K-SNAP,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3-month age intervals were measured in 1,515 children age 4 months to 36 months. To identify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SNAP,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was u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K M-B CDI),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Korean Bayley II), and spontaneous speech data. The internal consistency of items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calculated. Results: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every 3-month interval on the K-SNAP were clearly evid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SNAP scores and K M-B CDI scores. Korean Bayley II and spontaneous utterance dat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K-SNAP score. Items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sults were highly correlated. Conclusion: K-SNAP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to screen and moni-tor early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conjunction with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and Children (K-DST) and K M-B CDI.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ai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K-SNAP.

      • KCI등재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Word Decoding and Text Reading Fluency among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배소영(So yeong Pae),신가영(Ga young Shin),설아영(Ah young Seol)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2

        배경 및 목적 : 이 연구는 한국의 발달성 난독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단어해독력과 읽기유창성이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으로 가면서 일반아동과 비교해 어떤 발달 특성을 보이는 지 살펴본다. 방법: 초등 저학년 20명, 중학년 18명, 고학년 20명의 발달성 난독 아동과 학년, 지능, 듣기이해력이 일치되는 일반학생이 참여하였다. 단어해독 의미 유무와 자소-음소 일치도를 고려한 KOLRA 해독 검사 및 문단글읽기 하위 과제를 개별적으로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발달성 난독 아동은 단어해독의 경우, 초등 저학년에서 격차가 가장 컸고, 초등 고학년으로 가면서 격차가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무의미낱말에서 더 큰 어려움이 관찰되었다. 유창성의 경우 10초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는 일반아동과의 격차가 계속 유지되었으나, 오류 음절율로 보았을 때 일반아동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경향도 관찰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국 발달성 난독 아동들도 음운 해독에서 약점을 보였고 저학년의 경우 무의미낱말해독에서 약점이 나타나 언어보편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읽는 속도에서의 차이도 한국의 발달성 난독 아동들에게 약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므로 단어나 덩이글 읽기 속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음운성 및 표면성 난독증과 PA, RAN, 자소지식, 형태소인식력이 한국 발달성 난독아동의 해독력 및 읽기유창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word decoding ability and text reading fluency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Dyslexic children’s developmental patterns among three grade group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Fifty-eight DD (20 early, 18 middle, and 20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ers) as well as 58 TD matched by grade, nonverbal intelligence,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child read an 80-part list, composed of 40 words and 40 nonwords, along with one grade-level text. Words and nonwords included 20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PGC) words as well as 20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PGNC) words. Results: Both DD and TD had higher performance on words and PGC words than nonwords and PGNC words. DD revealed a large gap in both word and text reading when compared with TD, although the gap between the two reading groups was narrower as grades got higher. However, DD showed a bigger gap in reading nonwords compared to meaning words. As for text reading fluency, DD took a longer time and read less accurately compared to TD, although the gap between DD and TD in error rate of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in the texts was narrower as grades got higher. Conclusion: It seems evident that Korean DD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phonological decoding of new and novel words and in reading text fluently despite the relative consistency of Korean Hangeu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ind possible subtypes of dyslexia in relation to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automatized naming, orthographic knowledge, and morphological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