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야‧신라시기 부산지역 대왜교류의 변화와 반전

        선석열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3 항도부산 Vol.29 No.-

        . 본 연구는 삼국시대 부산지역의 대왜교류에 대해 3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삼국시대의 부산지역의 독로국은 가야권에 속해 있다가 신라권으로 편입되었다. 신라는 왜와 처음에는 적대관계에 있었으나, 7세기에 이르러 친선관계로 반전되었다. 따라서 부산지역의 대왜교류도 세 차례의 변화를 겪었다. 가야시기 부산지역의 대왜교류에 대한 문헌 기록이 거의 없어 고고학적 연구성과를 통해 살펴보고, 『삼국사기』와 『위지동이전』 그리고 『진서동이전』의 기록과 부합한 사실을 밝혔다. 3세기말 4세기초에 부산의 독로국은 임나가라 연맹왕국의 주축세력으로 존재하였다. 이 시기 대왜교류는 낙동강하류역과 북부구주가 중심지였다. 4세기 후반부터 백제-가야-왜 동맹이 성립되자 교류의 중심은 畿內지역으로 옮겨졌으나, 북부구주는 여전히 교류의 거점 역할을 유지하였다. 400년 광개토왕의 남정으로 임나가라연맹이 약화되어 세력의 중심은 독로국으로 옮겨졌으나, 대왜교류는 다른 지역으로 옮겨갔다. 다음은 신라시기 부산지역의 대왜교류이다. 이 시기에는 『삼국사기』에 관련 기록이 상당수 있어서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5세기 중엽 독로국은 신라에 편입되고 거칠산군으로 편제되었다. 신라는 왜와 적대관계에 있었으므로, 부산지역의 대왜교류도 경제적․문화적 성격의 교류보다 정치적․군사적 성격의 교류로 변화해 갔다. 463년 왜인의 삽량성 공격으로 인하여 신라는 남쪽 변경의 전략적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면서 부산지역에 두 성을 쌓았고, 493년에는 이들을 군진으로 개편하였다. 6세기 초부터 신라와 금관가야 사이에 전쟁이 발생하였으나, 『일본서기』의 기록과 달리 왜는 낙동강하구로 오지 않았다. 그러므로 6세기에 이르러 부산지역은 대왜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7세기 부산지역의 대왜교류이다. 이 시기의 대왜교류에 대한 자료는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에 많은 기록이 있다. 7세기에 이르러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이 일어났다. 신라와 왜의 관계는 송사외교라는 친선관계로 반전되어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신라는 대왜외교나 대왜교역을 행할 때 부산지역이 중요하였다. 신라의 대왜교통로는 경주-울산-기장-형변-대마도-이키-하카타로 이어지는 해상교통로가 이용되었다. 부산의 기장 해안과 형변은 중요한 중간기착지의 역할을 수행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6세기 초반 신라 금석문을 통해본 『梁書』 新羅傳의 관등 사료 비판

        선석열 부경역사연구소 2011 지역과 역사 Vol.- No.28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records of Silla with the records of China about official ranks of the Silla. The records is two types. The one is the Silla inscriptions which are erected early in the 6th century, the other is the Silla records which the Chinese described. The Silla inscriptions are Joongseongribi, Nangsooribi, and Bongpyeongbi. And the history records which the Chinese describe is the Silla Records in The Ryangseo. Researcher criticized a Chinese record with Silla record, as follows. Currently, official ranks of the Silla is recorded fourteen kinds in inscriptions. In opposition, the Silla Records of The Ryangseo only introduced five kinds. When Silla code was proclaimed in 520, there was the 17 - official rank system. In spite of it, Many official ranks were left out in the Silla Records of Ryangseo. On the contrary, all of 17 official ranks in Silla were introduced in the Silla Records of Suiseo『隋書』,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It is thought that this incorrect information collected by Ryang(梁), Namzo of China resulted from diplomatic activities in 521. Baekje’s envoy took Silla’s envoy to Ryang and interpreted between Ryang’s officials and Silla’s envoy in 521. Then, Baekje’ envoy didn’t deliver correct information about Silla, and Silla was introduced as an adjunct of Baekje in Ryangchikkongdo 『梁職貢圖』. This wrong information was passed down until the early age of Tang. This was why Tang looked down on Silla. It was an error, but ironically incorrect information might have led to Silla’s victory in La-Tang war. Wrong information often brings about a lot of ironies.

      • KCI등재
      • KCI등재

        일인 관학자들의 단군신화의 불가조작설과 그 비판

        선석열 한일관계사학회 2022 한일관계사연구 Vol.76 No.-

        본고는 20세기를 전후하여 일본인 관학자들이 제기한 단군신화의 불가조작설에 대해 검토하고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일찍이 일본인 학자들은 일선동조론을 내세우기 위한 목적 아래, 단군이 일본 상고의 신 소전명존이라는 주장이었다.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비판도 있었지만, 이는 단군의 존재를 왜곡한 것이다. 다음 일본인 관학자들의 불가조작설은 한국의 유교사가조차 단군신화를 황탄하여 믿을 수 없다고 말한 점에 가탁하여 조작의 시기, 조작의 주체로서 불교 승려 일연을 들었다. 일본인 학자들은 단군신화에 대해, 중국 역사서에 보이지 않는 점과 조선의 유교사가가 한국 고대의 여러 신화를 황탄하여 믿을 수 없다는 점에 가탁하여 부정하였다. 특히 那珂通世는 단군의 王儉은 평양의 옛 이름인 王險의 ‘險’자를 인편(人扁)[‘儉’]으로 조작한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과 달리 중국 사서에는 차자표기법을 적용하여 왕험성이 기록되어 있었다. 인칭인 왕검과 지명인 왕험은 표기한 것이며 조작은 아니다. 이는 王儉의 ‘王’은 국왕을 의미하는 ‘임금’의 훈독으로써 표기한 것이고, ‘儉’은 임금의 ‘금’을 음독으로써 표기한 것이며, 고조선의 입장에서 보면 왕검은 인칭으로서 임금이라는 의미였다. 즉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왕검’이었으며, 임금이 거처하는 왕성은 ‘왕험성’으로 표기하였다. 다시 말하면 위만 등장 이전에 이미 왕검의 존재가 전해지고 있었으며, 이후 한국에서는 불가 외에 유교사가들에 의해 인지되어 있었다. 지금까지도 한국에서는 임금이라는 칭호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 단군신화는 고조선 건국 당시에 인식된 것이며, 이는 고려시대의 승려가 단군신화를 날조할 수 없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 KCI등재

        신라의 남부가야 진출과 일본열도 왜의 대응

        선석열 ( 宣石悅 ) 부경역사연구소 2011 지역과 역사 Vol.- No.29

        今まで、新羅が南部伽揶で進出した狀況に對して、倭がどんな對應をしたのかを考察した。これを要約すれば、次のどおりである。 6世紀に至ると、新羅は南部伽揶地域への進出をはかったが、このことを二つの時期に分けた。一つは、㖨己呑と駕洛國を竝合する時期である。二つは、卓淳國を竝合する時期である。時期によって、日本列島の倭は、それぞれ反應が違う。 新羅が㖨己呑を竝合した時期は、國王が南邊を巡幸した524年直前であった。駕洛國を竝合したときは、記錄上に、三國史記と日本書紀に、智證王代ㆍ532年と529年で、それぞれ違がある。紀年の誤差がない三國史記の記錄どおり、532年で見た。 日本書紀の近江毛野臣の駕洛國派遣記事は、實は安羅に派遣された毛野臣を駕洛國に派遣したことで操作しておいたので、これは蕃國觀に卽した任那日本府の觀念によって、前提的な論理に過ぎないのであった。したがって、㖨己呑と駕洛國が滅亡した時、日本列島の倭は何らかの對應がなかった。 新羅は引き繼して卓淳國を倂合した。532年以後に、相當な歲月が經った後に卓淳國が倂合されたことである。ここには安羅で活動していた、倭人官僚の親新羅活動が媒介になっていったのである。 510年代百濟の己汶-帶沙の占領を支持したように、日本列島のヤマト倭は、540年代前後の安羅を媒介とした親新羅政策も、先進文明の入手と鐵資源の確保という古代日本列島倭の韓半島に對する政策の本質にあったのである。

      • KCI등재

        신라 헌덕왕대의 정치과정과 정교부인의 혼인 문제

        선석열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6 新羅文化 Vol.48 No.-

        본 연구는 헌덕왕대의 정치과정에 대하여 논란이 되는 태자의 존재 여부를 두고 태자비 정교부인의 혼인 문제와 결부시켜 추구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충공의 딸 정교부인이 누구와 혼인하였는가를 추구하였다. 그것은 헌덕왕대의 정치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태자의 존재 여부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기록상으로는 헌덕왕의 태자 또는 김균정이 정교부인과 혼인한 것으로 되어 있어 논란의 소지가 있었다. 먼저 김수종(777~836)은 이미 혼인한 상황에서 822년에 정교부인과 혼인하였다고 볼 수 없다. 822년 김수종이 부군이 되어 거처한 월지궁은 동궁이 아니라는 연구도 참조된다. 다음으로 검토한 것은 김균정의 부인이 정교부인이라는 점이다. 연령상으로 볼 때 김균정은 822년에 정교부인과 혼인하여 부부관계가 될 수 없었다. 그러므로 822년에 정교부인과 혼인한 태자는 분명히 존재하였다. 둘째, 헌덕왕대의 정치과정에 대해 추구하였다. 헌덕왕이 왕위를 찬탈하였을 때 그의 지지세력은 헌덕왕의 형제들과 가까운 친척들이었다. 그러나 김수종은 애장왕과 처남 매부 관계였으므로, 애장왕의 시해를 주도하지 않았다. 이후 헌덕왕의 지지세력은 안정된 국정을 운영하였으며, 헌덕왕은 태자를 책봉하여 부자 직계계승을 도모하였다. 822년에 김수종을 부군으로 임명하였는데, 이는 헌덕왕이 후계가 태자로의 적자계승을 지향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헌덕왕이 찬탈하였듯이 김충공과 김수종의 정치적 협력 속에서 태자는 제거되고 김수종이 흥덕왕으로 즉위하였다. 이후에도 적자계승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왕위계승쟁탈전이 한동안 계속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