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토기본법」의 규율 내용에 관한 법적 검토

        석호영 한국토지공법학회 2024 土地公法硏究 Vol.106 No.-

        국문초록 2003년 1월 1일부터 시행(법률 제6654호, 2002. 2. 4., 제정)되어 온 「국토기본법」은 국토에 관한 계획 및 정책을 수립·시행함에 있어서 지향하여야 할 이념과 기본방향을 명시하고, 국토계획의 수립과 이의 체계적인 실천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며, 종전의 국토건설종합계획법을 폐지하고 이를 보완·발전시킨 것이었다. 이 법은 국토관리의 기본이념을 규정하고, 국토의 균형있는 발전, 경쟁력있는 국토여건의 조성,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토 여건 조성, 환경친화적 국토관리 등을 실천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수단으로서 국토계획을 규정하고 있다. ‘국토계획’이란 국토를 이용·개발 및 보전할 때 미래의 경제적ㆍ사회적 변동에 대응하여 국토가 지향하여야 할 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말하며, 국토종합계획, 초광역권계획, 도종합계획, 시·군 종합계획, 지역계획 및 부문별계획으로 구분한다. 이 법에 따르면 「국토기본법」은 국토종합계획이 초광역권계획, 도종합계획 및 시·군종합계힉의 기본이 되며, 부문별계획과 지역계획은 국토종합계획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국토기본법」은 국토의 종합관리에 관한 기본법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국토관리의 기본 이념(법 제2조),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법 제3조), 경쟁력 있는 국토 여건의 조성(법 제4조),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토 여건 조성(법 제4조의2), 환경친화적 국토관리(제5조), 지속가능한 국토관리의 평가지표 및 기준(법 제5조의2) 등 국토에 관한 계획 및 정책의 수립ㆍ시행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본적 사항에 부합하는 국토에 관한 계획 및 정책 등을 수립하고 시행하기 위해서는 「국토계획법」상 국가계획, 광역도시계획 및 도시ㆍ군계획의 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환경 등 특정 분야에 있어서의 계획과의 일관성, 연계성 및 정합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특히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이에 따른 주거 및 도시 환경 등의 급격한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국토의 계획 및 정책 수립을 위해서라도 「국토기본법」이 국토의 종합관리에 관한 기본법으로서의 기능을 지속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규율내용 중에서 국토계획의 내용과 그 수립절차를 중심으로 국토계획의 수립과 관련하여 공청회 절차 및 국토에 관한 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의 의견을 청취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개선이 필요한 점은 없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Abstract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Land,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January 1, 2003, (Act No. 6654, February 4, 2002, enacted), aims to specify the ideology and basic direction to be aimed at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lans and policies for national land, to establish a national land plan and to prepare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systematic implementation thereof, and to abolish and supplement and develop the previous Comprehensive National Land Construction Plan Act. This Act stipulates the basic principles of national land management, sets the goal of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creation of competitive national land conditions, creation of national land condi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nd sets national land plans as a means of realizing these goals. The term "national land plan" means a plan to establish and achiev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at the national land should aim for in response to future economic and social changes when utilizing, developing, and preserving national land, and shall be classified into a national land comprehensive plan, a wide area plan, a city-gun comprehensive plan, a regional plan, and a sectoral plan. According to this law,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Land stipulates that the comprehensive national land plan is the basis of the ultra-wide area plan, the comprehensive provincial plan, and the city and county comprehensive system, and that sectoral and regional plans should be in harmony with the comprehensive national land plan. As such,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Land has the character of a basic law on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national land. Consistency, connection, and consistency with national land plans and policies shall be secured not only in relation to national land management,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competitive national land conditions, creation of national land condi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environment-friendly national land management, and in order to establish and implement national land plans and policies that meet these basic matters, it is necessary to ensure consistency, connection, and consistency with plans in specific areas such as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future improvements are needed by reviewing public hearings and national land plans and polici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national land plan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land plan and its establishment procedures,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National Land Framework Act as a basic law on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country.

      • KCI등재

        협의보상율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석호영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一鑑法學 Vol.- No.53

        The state or public institution implements many public utilities, including multi-purpose dams, roads, railways, ports, and industrial complexes, and houses or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state or public organizations first consult with their owners to acquire them. At this time, if a smooth consultation is made, necessary land, etc. is purchased by signing a mutual contract, and if the consultation is not made, land for public works is forcibly acquired through the land expropriation system. The Act on Acquisition and Compensation of Land, etc. for Public Wor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and Compensation Act") stipulates "Acquisition or Use by Consultation" and "Acceptance or Use of Land, etc." If consultation with landowners is not smooth, it takes at least one year to settle an objection. Therefore, consider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project promotion and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expropriated landowners,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the project can be promoted and completed quickly through smooth consultation between the project operator and the landowner.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atus and procedures of consultation compensation through an overview of the consultation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Land Compensation Act,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Korea through a review of foreign expropriation systems and consultation compensation systems. Through this, we tried to examin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urrent consultation compensation system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As a result, "the need to improve the uncertainty of the provisions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rationalization of the period in the consultation compensation procedur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ompensation council, provision of benefits for consultation compensation, and adjustment of compensation calculation standards" were suggested as improvement measures. 국가나 공공기관은 다목적댐이나 도로, 철도, 항만,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주택이나교육시설을 건설하는 등 많은 공익사업을 시행하고 있고, 이러한 공익사업을 시행하기위해서는 사업에 이용할 토지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가나 공공단체는 이를 취득하기위하여 그 소유자와 우선 매수 협의를 하게 된다. 이때 원만한 협의가 이루어지게 되면상호간 계약을 체결하여 필요한 토지 등을 매수하게 되며, 그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는경우에는 토지수용제도를 통해 공익사업을 위한 용지를 강제로 취득하도록 하고 있다.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토지보상법’이라 한다) 은 제14조 이하에서 ‘협의에 의한 취득 또는 사용’에 관하여 규정하고, 제19조 이하에서‘토지등의 수용 또는 사용’과 ‘협의 및 의견청취 등’에 관해 규정하고 있는데, 토지소유자와의 협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용 및 이의재결절차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협의에서 이의재결까지는 1년이란 기간이 평균적으로 소요되고, 소송의경우에는 최소 2년의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에 사업추진의 신속성과 효율성이나 피수용 토지소유자의 경제적 이익 등을 고려한다면 사업시행자와 토지소유자가 원만한협의를 통해 사업이 신속히 추진되고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논문은 「토지보상법」상 협의보상제도에 대한 개관을 통해 협의보상 현황과절차에 대해 살펴보고, 외국의 수용제도와 협의보상을 위한 제도(노력)에 대한 검토를통해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현행 협의보상 제도관련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토지보상법」상 규정의 불명확성 개선 필요성, 보상협의회의 효율적 운영 방안, 수용대상 토지에대한 사권 해소, 협의보상을 위한 혜택 부여, 보상금액 산정기준 조정”을 개선방안으로제시하였다.

      • KCI등재

        Genetic and phylogenetic structure of Hynobius quelpaertensis, an endangered endemic salamander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석호영,배한규,김동영,원하리,백해준,이창훈,김동윤,고영민,송재영,이항,민미숙 한국유전학회 2020 Genes & Genomics Vol.42 No.2

        Background The Korean Peninsula is a small but unique area showing great endemic Hynobius diversity with H. quelpaertensis, H. yangi, H. unisacculus and three species candidates (HC1, HC3 and HC4). H. quelpaertensis i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and in Jeju Island, while the remaining species have extremely narrow distributions. Objectives To examine the genetic structure of H. quelpaertensis and the phylogenetic placement in Hynobius. Methods Three mitochondrial and six microsatellite loci were genotyped for 204 Hynobius quelpaertensis, three H. leechii, three H. yangi, three HC1, two H. unisacculus, three HC3, three HC4 and ten Japanses H. lichenatus. Results A high level of mitochondrial diversity was found in H. quelpaertensis. Our mitochondrial data showed evidence of a historical link between inland and Jeju Island despite the signature of founder effect likely experienced by the early island populations. However, our microsatellite analysis showed the fairly clear signature of isolation history between in- and island populations. Upon phylogenetic analysis, H. quelpaertensis, H. unisacculus and HC1 formed a cluster, whereas H. yangi belonged to a separate cluster. HC3 and HC4 were clustered with either H. quelpaertensis or H. yangi depending on the locus used. Conclusion Our results show at least partially the historical imprints engraved by dispersal of Korean endemic Hynobius during Pleistocene, potentially providing a fundamental basis in determining the conservation units and find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se species.

      • KCI등재

        지하공간 이용활성화에 따른 법적쟁점 연구

        석호영 한국감정평가학회 2022 감정평가학논집 Vol.21 No.2

        Effective land use is especially critical in Since Korea. Due to its limited size and mountainous geography, South Korea must utilize both underground and public spaces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to its land. Due to recent development of engineer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use types of facilities that were previously impossible to realize in underground spaces, so the scope of use of underground or public spac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and complex transfer centers in urban areas is expand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related legal issues and suggest improvements as the use of underground spaces are expected to be increasingly utilized in the future society. 한정된 자원인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의무이자 미래세대를 위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이 좁은 국가이기에 토지 위뿐만 아니라 지하와 공중공간 모두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할 것이다. 최근 공학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에는 실현 불가능하였던 유형의 시설들이 지하공간에 설치하고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초고층건물이나 도심지내 복합환승센터 등 그 지하 또는 공중공간의 이용 가능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 더욱 활성화 될 것이 예상되는 지하공간의 이용과 관련한 법적쟁점에 대해 검토하고 개선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토지이용에 있어 공중권에 관한 법적 고찰

        석호영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8 No.-

        The State has developed various plans to achieve this objective because it has a duty to carry out and carry out the plans considering the balance of development, sustainability, public nature, convenienc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fficiency of resource utilization in th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national territor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recently-announced "Northern Road Elevation Project," the city's core project for balanced development of Gangnam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s "Broadway Traffic Vision 2030" announced on October 30 are all aimed at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upply of land needed for people's lives, balanced development, and quality of life among regions. Here we can find common ground in terms of the use and management of national territory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use of national territory. The use of land will be very important, especially in countries with limited resources, such as South Korea, because all of these plans utilize urban underground or air space in three dimensions. Moreover, the recent emergence of new devices such as drones in relation to the fourth industry requires consideration of the use of indicators and separate spaces in the use of the land in three dimensions.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the air space in the use of the land, including airborne devices such as drones that use the air space by reviewing the air right in land use. 국가는 국토의 이용 및 관리에 있어 개발의 균형성, 지속가능성, 공공성, 편의성, 환경보호성, 자원 활용의 효율성 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여 수행할 의무를 부담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서울시의 ‘북부간선도로 입체화 사업’이나 서울시의 강남북균형발전의 핵심사업인 ‘강북횡단 경전철 사업’ 그리고 지난 10월 30일 국토교통부가 공식 선포한 ‘광역교통비전 2030’ 등 위의 법률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모두 국민생활에 필요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공급, 지역 간 균형발전,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국민 삶의 질 향상 등을 위한 계획이라 할 것이다. 여기서 국토의 이용 및 관리 측면에서 이러한 계획들이 가지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 바로 ‘국토의 입체적 이용’이다. 토지는 한정된 자원으로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면적이 좁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입체적인 국토의 이용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인데, 이러한 계획 모두 도심의 지하공간이나 공중공간을 입체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가능한 계획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제4차 산업과 관련하여 드론과 같은 새로운 비행장치가 등장함에 따라 국토의 입체적 이용에 있어 지표와 분리된 공간의 이용까지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을 제외한 토지이용에 있어 공중권에 대한 법적 검토를 통해 공중공간의 새로운 이용주체로서 등장한 드론과 같은 비행장치를 비롯하여 토지의 이용에 있어 공중공간의 이용 관련 쟁점을 검토하고 그 법적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