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으로 다시 쓰는 예술

        양은아(Yang Eun-A),석지혜(Seok Ji-Hy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최근 평생교육맥락에서 확장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한 사례로서 평생교육현장의 다양한 접점에서 예술교육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가르치는 예술가”로서의 ‘Teaching Artist’ 사례에 주목하였다. 본래 다양한 예술장르의 전문예술가 그룹이었던 이들이 “가르치는 예술가(teaching artist)”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두드러진 차이는 기존의 예술(art)을 이해하는 방식의 변화 없이 단순히 페다고지적 방법론을 추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과정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들은 교육적 역량이 매개되면서 기존의 자신의 예술작업 전체를 다시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을 경험하며, 이는 예술가로서뿐 아니라 교육자로서도 성숙하는 계기로 발전된다. 교육경험이 축적되면서 이들은 교육활동에 내재된 관계적 속성이 예술창작활동의 본질과도 유사한 속성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예술가에서 교육가로의 삶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맥락과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둘째, “가르치는 예술가”로서의 활동을 기획하면서 이들이 결집하고 있는 ‘Teaching Artist’ 프로그램과 교육활동을 통해 ‘예술가’이자 ‘교육자’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해가는 공통된 경험을 밝힌다. 셋째, “가르치는 예술가”로서 거듭나는 과정에서 경험한 교육적 역량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기존의 예술세계는 어떻게 재규정되는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예술가이자 교육자라는 자아의 공존이 이들의 삶에서 어떻게 융합되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ase of “Teaching Artists” who have taken a leading role in arts education as a newly emerging arts education tren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 transformative process from performing artists to “teaching artists” is that it is not just a pedagogic methodological addition without the changed way of understanding art. They experience changes in viewpoint, rethinking their artwork in transition to “teaching artists”. It becomes an opportunity for them to grow as a great teacher as well as a great artist. With the accumulation of teaching experiences, they realize that the interactive feature of teaching has a similarity to the nature of artwork. This research has four parts. First part is to examine the life context and meaning in the process of attracting performing artists to “teaching artists”. Second part is to examine the reconstruction of identity both as a teacher and as an artist through the common experience they share in Teaching Artist Program. Third part is to reveal the educational competence of “teaching artists” and the different features of performing artists and “teaching artists”. Fourth part is to explain the self-coexistence both as a teacher and as an artist, and how they are fused together in their life.

      • KCI등재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홍애령 ( Ae Ryung Hong ),석지혜 ( Ji Hye Seok ),임정신 ( Joung Shin Im ),오헌 ( Hun Seok Oh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3 No.-

        본 연구는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및 특성을 분석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핵심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발레 및 현대무용 분야의 최고 수준 무용수 6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전사된 자료의 테마분석을 실행하였고, 이들이 겪은 다양한 성장과정은 다음과 같이 3단계의 발달과정과 특성, 핵심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은 ``기술적 전문성 습득 단계``, ``독자적 전문성 모색 단계``, ``창의적 전문성 탐색 단계``의 3단계로 구분되었다. 먼저, 기술적 전문성 습득 단계에서는 기본적인 무용 기술과 테크닉을 습득하여 한 명의 무용수(a dancer)로 성장하게 되며, "결정경험", "춤추는 기계(dancing machine)", "오디션 그리고 데뷔"라는 과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독자적 전문성 모색 단계에서는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자각과 독특한 색깔을 담아내기 위한 해석, 표현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보유한 무용수(unique dancer)로 발돋움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무용이라는 언어", "아무개라는 고유한 무용수(the dancer)", "무대 위 주인공"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전문성 탐색 단계에서는 뛰어난 무용수이자 무용을 창조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왜 무용을 하는가?"와 같은 "무용에 대한 근원적 물음"을 제기하고, "무용에 몰입"하며, "무용수로 태어난 사람"으로 성장한다. 둘째,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중 상위 단계로 성장할 수 있는 핵심요인으로 ``양가적 마음(ambivalence)``을 제시한다. 무용수들은 신체를 통해 자신의 예술 세계를 표현하는 만큼 뼈를 깎는 고통을 감수하며 자신의 몸을 단련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고 수준의 공연을 위해 끊임없이 몸을 만들고 다듬어야 하는 무용수들은 무대 위에서나 무대를 벗어난 일상에서나 늘 자기관리에 대한 부담감을 이겨내야 하는 만큼 그 어느 분야보다도 강인한 정신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고된 훈련과 부상, 공백과 좌절, 더 이상 발전하지 않을 것 같은 기술적 한계, 노력한 만큼 보상받지 못한 것 같은 아쉬움, 배신감에 너무 힘들어 그만 두고 싶지만, 막상 춤을 벗어나서는 살 수 없고 다른 것은 생각한 적도 생각할 수도 없다는 이들의 양가적 마음은 어린 시절 단순한 호감으로 시작된 그들의 전문성을 최고 수준의 창의적 전문가 반열에 오르게 한 동력이자, 새로운 핵심요인의 하나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최고 수준의 무용수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환경 조성, 무용 교육자나 안무가 등 무용 분야 전문인의 전문성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무용 분야의 발전을 위한 연구와 실천의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are shown during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xpertise dancer. For that, the interview data which was conducted for the 6 experts who were proposed and selected as highly qualified dancing experts by top experts in the field was used in this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xpertise dancer were divided into three phases; ``a dancer``, ``the dancer``, and ``unique dancer``. Details of characteristics of phase were (1) individually crystallizing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2) making a body and trained as a dancer in order for acquiring technical performance through deliberated intensive practice, (3) Auditioning for having a chance of the first stage as a professional, (4) recognizing his/her enthusiasm toward creativity and developing uniqueness as a dancer, (5) delving deeper into performing a dance and much more training himself/herself in order to look for his/her own world as a unique dancer, (6) experiencing highly qualified immersion and rapport during performing a dance on a stage, (7) showing creative expertise and continuously looking for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reason why he/she has become a dancer, (8) recognizing a endless thirst for dancing and trying to resolve that through searching something different from a dance, (9) completing his/her own dance as a performing artist and feeling it his/her duty and destiny to dance. Second, the core factor which makes a dancer reach a superior one in terms of performance might be ambivalence. It is complicated emotion of having love and hatred including tendency, an attitude which can be in conflict with an inconsistency about a certain target. More researches will be able to find some meaningful characteristics of the highest leveled performance through far more diverse cases in the itemized dancing field in the future.

      • KCI등재

        TIE 참여교사의 사회과 가치교육에 관한 인식 및 학생들의 가치변화에 대한 연구 : 극단 에듀라마를 중심으로

        석지혜,남상준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4

        본 연구는 현직교사로 구성된 극단 에듀라마를 중심으로 연구 극단의 배우들이 TIE 프로그램 구안 과정에서 사회과 가치교육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참여 학생들의 가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TIE를 통한 사회과 가치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사회과 가치교육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되는 TIE 프로그램 중에서 [은하수 마을의 꿈]과 [날아라, 비행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여 학생틀에게 TIE 프로그램을 도입·적용하였으며, 단계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고, 연구 극단의 교사들은 TIE 참여 전과 후의 면담으로 사회과 가치교육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E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연극적 테크념들은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상 행위 지향적인 성향과 잘 결부되어, 아동들이 놀이하면서 배우고, 행동하면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TIE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생활모드’의 경험을 통해 실제 생활인 것처럼 행동하도록 도와줌으로써 학습자에게 사회 상황을 공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TIE는 가치 영역 중 도덕적 가치 뿐만 아니라 탈도덕적 가치까지 포함한 가치·태도를 변화시키는 사회과의 가치교육에 적합하였다. 넷째, TIE 참여 학생들은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 타협해 가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는 사고의 개방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다섯째, TIE는 일회성의 연극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깊고 풍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극적 사건을 반추하고 사고의 인식 및 확장을 지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TIE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제기된 쟁점에 대해서 논의하거나 극의 결과를 실제로 결정하는 경험을 통하여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몰입하게 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환상, 전체 구성, 그리고 캐릭터라는 주된 성분 요소들을 취하고 있어 학생들을 몰입시키는 TIE만의 예술성도 나타내었다.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validating the possibility of value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hrough TIE,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the research drama club's actors on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hat is shown in the process of devising TIE programmes focused on the drama club, EDURAMA which is composed of incumbent teachers and by analyzing participant students' value change. I undertook the research based on [The Dream of Galaxy Town] and [Fly, an Airplane] and I introduced and applied these TIE programmes to the students and analyzed the students' responses of each step through students' learning reports, questionnaires, and video recording. For the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value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of the research drama club's teachers, I interviewed them before and after they joined the TIE programmes. As the results, I have found out that the following are the significance of value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by using TIE. First, a variety of dramatic techniques that are used in TIE are so compatible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ination that pursues for activity considering their development stage that TIE is very effectiv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learn while playing and acting. Second, TIE programmes were devised in the way that encourages learners to sympathize with social circumstances by helping them act as if they are in real life through the experiences in 'complete life mode'. Third, TIE is suitable for value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hat changes value and attitudes including moral value and nonmoral value as well among value domains. Fourth, the students who joined TIE sticked to their own ideas at first justifying their position on some given issues, but they recognized it was the best way to compromise in order to reach reasonable alternatives as the programmes progressed. Fifth, TIE supplies participant students with deeper and richer learning experiences than those provided by a discontinuous play and it is proven that participant students review dramatic events and continue to recognize and expand their thinking through TIE. Sixth, as TIE programmes progressed, participant students were engrossed and participated actively while centering themselves in the programmes by discussing the raised issues and determining the results of drama in real. Finally, it contains fantasy, the whole plot, and characters, which shows off the unique artistry of TIE that drives students into immer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