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에 따른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상 AGUS 의 임상 분석

        석원익(Won Ik Seok),이광범(Kwang Byum Lee),이종민(Jong Min Lee),엄기남(Gi Nam Um),윤성준(Seong Jun Yoon),최수란(Soo Lan Choi),김석영(Seok Young Kim),김광준(Kwang Jun Kim),이순표(Soon Pyo Lee),이지성(Jee Seong Lee),박찬용(Chan Yong Pa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6

        목적 : 폐경상태에 따른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상 AGUS의 조직학적 결과 및 진단적 접근방법의 차이에 대한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AGUS로 진단된 104명 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7명을 대상으로 폐경상태에 따른 조직학적 결과 및 진단 방법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결과 : AGUS로 진단된 87명 중 폐경기 이전의 환자와 폐경 후 환자는 각각 46예 (52.9%)와 41예 (47.1%) 이었다. 87명중 70명 (80.5%)에서 중요한 조직학적 소견을 보였고, 이중 침윤성 질환을 보인 폐경기 이전 및 폐경 후 환자는 각각 19명 (41.3%)과 31명 (75.6%)으로, 폐경 후 환자에서 폐경기 이전 환자에 비하여 침윤성 암종이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 (P=0.002). 또한 진단방법의 평가에 있어 폐경 후 환자에서 폐경기 이전 환자에 비하여 제2군의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필요하였다 (P=0.018). 결론 :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상 AGUS는 추후의 조직검사에서 비침윤성 및 침윤성 병변의 높은 빈도와 관련되어 있다. 특히 폐경 후 환자에서는 제 1군의 검사 후 설명되지 않는 AGUS 환자에서 자궁경 및 자궁내막 병변의 잠재성의 병리상태 뿐만 아니라 드물지만 위장관, 난관, 난소 또는 유방 등 자궁 이외의 병변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검사가 추천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GUS including histologic results and diagnostic modalities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Methods : One hundred and four patients with AGUS were identified. Corresponding biopsies were available for 87 of these cases. The evaluation for histologic results and diagnostic modalities was made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Results : Among the 87 patients with AGUS, the number of premenopausal and menopausal patients were 46 (52.9%) and 41 (47.1%), respectively. Over all, 70 (80.5%) of 87 patients were found to have important histologic findings and of them, premenopausal and menopausal patients with invasive diseases were 19 (41.3%) and 31 (75.6%)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hologic findings between premenopausal and menopausal patients indicating more invasive lesions in menopausal than premenopausal patients (p=0.002). For the evaluation of diagnostic modality, the second arm was significantly more needed for menopausal than premenopausal patients (p=0.018). Conclusion : AGUS on pap smear represents a cytologic diagnosis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underlying preinvasive and invasive lesions, especially in postmenopausal patients. Thus aggressive work-up is recommended to rule out the potential pathologic conditions in endocervix, endometrium and rarely extrauterine lesions such as gastrointestinal, tubal, ovarian or breast in patients otherwise unexplained AGUS after careful first arm work-up.

      • KCI등재

        초극소 치골상 복식절개하 질식 자궁절제술에 대한 검토

        최유덕 ( Yu Duk Choi ),이순표 ( Soon Pyo Lee ),석원익 ( Won Ik Seo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2

        목적 : 복식 자궁절제술이 금기에 해당하는 양성질환에 시도한 새로운 질식자궁 절제 수술법의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한 검토를 목적한다.졓米?및 방법 : 2002년 2월 1일부터 2002년 7월 10일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무작위 연속적으로 초극소 치골상 복식절개하 자궁절제술 (MAVH)을 시행 받은 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의 안정성과 유용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치골상부 치모선에 평행으로 약 2-2.5 cm 정도의 극소절개 Objective : To review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a new vaginal hysterectomy method, Minilaparatom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MAVH), tried on benign diseases with?indication of abdominal hysterectomy. Materials & Methods : The analysis of th

      • KCI등재

        자궁경부암종에서 방사선치료의 반응성과 p53 , bcl - 2 및 bax 단백질 발현

        이의돈(Eui Don Lee),이광범(Kwang Beom Lee),석원익(Won Ik Suk),최준렬(Jun Ryeoul Choi),이종민(Jong Min Lee),이지성,박찬용(Chan Yong Park),하승연(Seung Yeon Ha),이규찬(Kyu Cha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목적 : 자궁경부암종에서 방사선 치료의 예후 판정에 apoptosis 관련인자인 p53, bcl-2 및 bax 등이 유용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함.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에 내원한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 (stage Ⅱb와 Ⅲ)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를 받기 전에 자궁경부 조직 생검을 실시하여 Bcl-2, p53 및 bax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P53의 발현은 방사선 치료의 비관해군에서 관해군에 비하여 많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43). 2. Bcl-2의 발현은 방사선 치료의 비관해군에서 관해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 (p=0.001). 3. Bax의 발현은 방사선 치료의 관해군에서 비관해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 (p=0.04). 결론 : Bcl-2와 bax의 발현은 방사선치료의 반응성과 관련이 있으며 자궁경부암종에서 예후인자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p53은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53, bcl-2 and bax protein expressions and clinical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possibility of using them as an useful marker for sensitivity of radiation therapy.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3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stage Ⅱb and Ⅲ). Th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before radiation therapy by colposcopic directed biopsy and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gainst p53, bcl-2 and bax. Results : 1. P53 was more expressed in nonresponders than responders to radiation therap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0.43). 2. Bcl-2 was significantly more expressed in nonresponders than responders to radiation therapy (p=0.001). 3. Bax was significantly more expressed in responders than nonresponders to radiation therapy (p=0.04). Conclusion : Expression of bcl-2 and bax are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and would be considered as an useful marker for sensitivity of radiation therapy. However, it is necessary to further evaluate p53.

      • KCI등재

        임신주수에 따른 신생아 체중 변화

        최유덕(Yu Duk Choi),이경훈(Gyoung Hoon Lee),김용욱(Yong Wook Kim),이광범(Kwang Beom Lee),서은정(Eun Jung Seo),손문성(Moon Sung Son),안현경(Hyun Gyoung Ahn),석원익(Won Eik Seok),최영진(Young Jin Choi),김광준(Gwang Jun Kim),김석영(Su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0

        N/A Objective : The birth weight distributions are obtained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pregnancy, and then compared with other results already published in literature to verify the difference. Methods : A total of 17,291 deliveries in Gachon medical center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9 i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of 28∼42th week of gestation are analysed, and the 10th, 25th, 50th, 75th and 90th percentiles of birth weight are determined for each week and also according to sex and parity. Furthermore the 10th, 50th, 90th percentile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other reports. Results : 1. The 10th, 50th, 90th percentiles of birth weight classifed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are as follow : in 28th week of pregnancy, 1,068, 1,240 and 1,812 g; in 32th week, 1,470, 1,890 and 2,266 g; in 36th week, 2,170, 2,720 and 3,240 g; in 40th week, 2,910, 3,370 and 3,870 g; in 42th week, 2,977, 3,475 and 4,023 g. 2. The mean birth weight of the male neonates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emale ones from 37th week to 41th week (p<0.01). 3. Comparisons of 10th, 50th, 90th percentiles of birth weight with Park groups show that there is an increase of birth weight by 100∼144 g. Conclusion : Comparison of the birth weight-gestational age table with ones published by other groups shows that infants tend to be heav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