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기술거래 활동을 위한 네트워크 활용이 기술사업화 역량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석봉인,한문성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network utilization for enterprise technology trading activities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market utilizati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market search), and innovation performance. We also tried to test the effec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market utiliz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market search) on innovation performance.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328 companies, including SMEs (110), mid-sized enterprises (106), and large enterprises (112)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other areas in Korea. That is, we carried out the survey (one questionnaire per company) over three months from Mar. 1, 2017 to Mar. 30, 2017, and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twork utilization for technology trading activiti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market utilization, market search). Second, network utilization for technology trading activiti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Thir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market utilization, market search)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network utilization for technology trading activities can lead to the bette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market utilization, market search). Furthermore, it means that the higher network utilization for technology trading activities and the bette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market utilization, market search) can also lead to the better innovation performance. 본 연구는 기업의 기술거래 활동을 위한 네트워크 활용이 기술사업화 역량(시장 활용), 기술사업화 역량(시장 탐색), 그리고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술사업화 역량(시장 활용), 기술사업화 역량(시장 탐색)도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검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그리고 그 외 지역 등 한국에 위치한 중소기업(110개), 중견기업(106개), 대기업(112개) 등 총 328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7년 1월 9일부터 2017년 3월 30일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설문 수집(기업 당 1부씩 설문조사)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거래 활동을 위한 네트워크 활용이 기술사업화 역량(시장 활용, 시장 탐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거래 활동을 위한 네트워크 활용이 혁신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사업화 역량(시장 활용, 시장 탐색)이 혁신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거래 활동을 위한 네트워크 활용도가 높을수록, 기술사업화 역량(시장 활용, 시장 탐색)이 뛰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술거래 활동을 위한 네트워크 활용도가 높고, 기술사업화 역량(시장 활용, 시장 탐색)이 뛰어날수록 혁신성과 또한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기업의 기술거래 활동 특성이 사업성과 및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석봉인,한문성 글로벌경영학회 2017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기업의 기술거래 활동 특성이 사업성과 및 시장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기술거래 활동 특성이 사업성과 및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세지원(특례)의 조절효과를 함께 검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그리고 그 외 지역 등 한국에 위치한 중소기업(110개), 중견기업(106개), 대기업(112개) 등 총 328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7년 1월 9일부터 2017년 3월 30일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설문 수집(기업 당 1부씩 설문조사)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기술거래 활동에 있어 기술이전 특성(재무적/비재무적)과 기술취득 특성(재무적/비재무적)이 사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기술거래 활동에 있어 기술이전 특성(재무적/비재무적)과 기술취득 특성(재무적/비재무적)이 시장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기술거래 활동에 있어 기술이전 특성(재무적/비재무적)과 사업성과의 관계에서 조세지원(특례)은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술취득 특성(재무적/비재무적)과 사업성과의 관계에서 조세지원(특례)은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기술거래 활동에 있어 기술이전 특성(재무적/비재무적)과 시장성과의 관계에서 조세지원(특례)은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술취득 특성(재무적/비재무적)과 시장성과의 관계에서 조세지원(특례)은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외부기술 도입이 기술창업(일자리창출)과 기술사업화(일자리창출) 및 개방형 혁신에 미치는 영향

        석봉인,한문성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

        본 연구는 외부기술(무상/기관) 도입이 기술창업(일자리 창출), 기술사업화(일자리 창출), 그리고 개방형 혁신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했다. 더불어, 기술창업(일자리 창출), 기술사업화(일 자리 창출)가 개방형 혁신에 미치는 영향력도 함께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그 외 지역 등 한국에 위치한 기업(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8일부터 2018년 1월 31일까지, 약 25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제작하여 본연구의 주제에 부합하고, 응답이 가능한 실무진에게 메일과 문자, 메신저 등으로 발송했다. 이렇게 수집된 유효한 표본은 320부로 나타났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기술 무상도입과 외부기술 기관도입이 기술창업 일자리 창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부 기술 무상도입과 외부기술 기관도입이 기술사업화 일자리 창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부기술 기관도입, 기술창업 일자리 창출, 기술사업화 일자리 창출이 개방형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창업 일자리 창출이 개방형 혁신에 가장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외부기술 무상도입은 개방형 혁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 KCI등재

        내부 회계 관리자의 역할 스트레스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봉인,한문성 한국상업교육학회 2018 상업교육연구 Vol.32 No.1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internal accounting manager’s role stres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hypothesis testing, regarding the influence of role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the non-profit and for-profit corporations’ internal accounting manag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rs working at non-profit and for-profit corporation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other regions. We collected a total of 206 valid samples (106 from for-profit corporations and 100 from non-profit corporations), and the collected valid samples were used to perform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accounting manager's role stress from the for-profit vs. non-profit corporations, the role conflict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ole burdening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However, the role ambigu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mong the role stress of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rs from the for-profit vs. non-profit corporations, the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role burden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rs working at for-profit vs. non-profit corporations, we observed mediating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ole conflict was found to show partial mediat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e effect of internal accounting manager’s role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for-profit and non-profit corporation managers.

      • 정부의 기술개발지원제도 효용성이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석봉인,한문성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2

        본 연구는 정부의 기술개발지원제도 효용성이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 및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도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그리고 그 외 지역 등 한국에 위치한 중소기업(621개)을 대상으로 2016년 6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약 4개월에 걸쳐 설문 수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기술개발지원제도 효용성이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의 기술개발지원제도 효용성이 중소기업의 경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는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기술개발지원제도 효용성이 높을수록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와 경영성과가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얻어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건설적인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의 녹색기술제품 및 친환경인증제품(환경표지인증)에 대한 행동의도와 행동예측: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석봉인,김민주,박휘,백승권 한국상업교육학회 2023 상업교육연구 Vol.37 No.5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predict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action of consumers for green technology products and eco-friendly certified products, has set up th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s preemptive factors based on the planned behavioral theory; and verified the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action empirically through a model analysis by the structural equation.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a consumer who has purchased all products of green technology products and eco-friendly certification and who has experienced of using them.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a total sample of 300 people was collecte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the SmartPL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roducts of green technology: Th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consumers has shown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 on the behavioral intention statistically. Especial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ttitude (β=0.353) caused the greates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It has shown that statistically the behavioral intention caus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 on the behavior. (2) Eco-friendly certified product: It has shown that th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consumers caus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 on the behavioral intention statistically. Especial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ubjective norm (β=0.385) caused the greates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it has shown that the behavioral intention caus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 on the behavior statistical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onsumer purchases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 for green technology products and eco-friendly certification products promoted by the government for carbon neutrality. Education and promotions that can change consumer awareness of green technology products and eco-friendly certified products must be promoted.

      • KCI등재

        외부기술 도입이 기술창업과 기술사업화・개방형 혁신에 미치는 영향

        석봉인,한문성 한국상업교육학회 2019 상업교육연구 Vol.33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job creation through technology startup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y comparing the effectiveness and outcome of technology transfer, which is part of the government's support system for technology development, with the effect of job creation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open innovation, one of the biggest issues at the moment. The authors of this study surveyed companies (small, medium-sized, and large companies), located in Korea including Seoul, Gyeonggi-do, and other regions, for approximately 25 days from Jan. 8, 2018 to Jan. 31, 2018. Specifically, the surveys were online surveys sent by e-mail, texts, and instant messages to the working-level employees who were suitable a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nd able to respond. There were a total of 320 valid samples collect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troducing free external techniques and institutional external techniques positively affect job creating for technology startups. Second, introducing free external techniques and institutional external techniques positively affect job creating for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Third, the introducing free external techniques and institutional external techniques positively affect open innovation. In particular, it has been confirmed that creating new technology startups has the greatest impact on open innova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pen innovation in the case of introducing for free external techniques. As a result, the study proved that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technologies, a method of open innovation by a company, is not the case for free external techniques

      • KCI등재

        소비자의 녹색인증(녹색기술제품) 인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중심으로

        석봉인,백승권,이주영,강시원,김문진,조수빈 한국상업교육학회 2024 상업교육연구 Vol.38 No.1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consumers' perceptions and behaviors regarding green certification, with a focus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how consumers' perception of green certification influences their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Furthermore, the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Finally, the empirical study tested how behavioral intentions affect actual behavior. To conduct this research,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300 consumers who have knowledge of green technology certification and prior experience in purchasing and using green technology products. Three statistical programs, namely SmartPLS (based on PLS), GSCA Pro (based on GSCA), and JASP (based on covariance), were us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summarize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 of green certification by consum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2) The perceived ease of use by consum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s. (3) The perceived usefulness of product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s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4) Consumers' attitud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s. (5)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ctual behavi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rom PLS, GSCA, and covariance-based approaches were consiste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an be applied to analyze certification systems. Additionally, it is recommended to promote nationwide consumer awareness of green certification. This will encourage consumers to purchase products that bear the green certification mark, as it provides a practical mean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 KCI등재

        리더-구성원 간 교환관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팀웍을 중심으로

        석봉인(Seok, Bong-Ihn),한문성(Han, Mun-Sung)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리더와 구성원 간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LMX)가 팀워크를 중심으로 하여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정하고자 하였다. 팀제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리더(팀장급)와 구성원(팀원 급)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구성원은 팀에 소속되어 근무를 하며, 그 팀을 이끄는 리더와 교환 관계를 가지게 된다. 교환관 계는 리더의 리더십에 따라 업무에 있어서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게 될 것이다. 즉, 리더의 리더십에 있어서 LMX가 구성원의 다양한 반응을 팀워크, 직무만족, 조직몰입이라는 측정도구로 구성하여 교환관계를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 및 자료수집 방법은 팀제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리더 1부와 구성원 3부를 1set로 구성된 설문지 총 200set가 배포 되었고, 그 중 유효한 94set의 표본을 연구의 실증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로인한 구조방정식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MX는 직무만족, 팀워크, 조직몰입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둘째, 팀워크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셋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focusing on the teamwork.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orporates that implemented team system and was based on the leaders (team leader) and members (team member). An organization member, who is employed at a corporate, works as team member and has an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team leader. The exchange relationship has various reactions depending on the leadership of the leader. Therefore, the exchange relationship was examined by using teamwork,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measurement tools for the various reactions of members in response to the leadership. For the sample and data collection of the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orporates that has implemented team system. Each set consists of 1 copy for the leader and 3 copies for the team members. Among them, a total of 94 sets were valid and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he LMX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eamwork,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teamwork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리더-구성원 간 교환관계가 팀웍,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석봉인(Seok, Bong-Ihn),한문성(Han, Mun-Sung)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와 구성원 간 교환관계(LMX)가 팀웍,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팀제를 도입한 기업을 통해 리더(팀장급)와 구성원(팀원급)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구성원은 팀에 소속되어 근무를 하며, 그 팀을 이끄는 리더와 항상 교환 관계를 가지게 된다. 교환관계는 리더의 리더십에 따라 업무에 있어서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게 될 것이다. 즉, 리더의 리더십에 있어서 LMX가 구성원의 다양한 반응을 팀웍, 직무만족, 조직몰입이라는 측정도구로 구성하여 교환관계를 연구하고자한 것이다. 따라서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 및 자료수집 방법은 팀제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리더 1부와 구성원 3부를 1set로 구성된 설문지 총 200set가 배포 되었고, 그 중 유효한 94set의 표본을 연구의 실증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로인한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MX는 직무만족, 팀웍, 조직몰입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팀웍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influence of exchange relation (LMX) between leader and members on teamwork,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this study is operated with object of leader (caption level) and members through companies who introduced team system. Members in company work, by belonging to teams, and always have exchange relation with leader of their team. Exchange relation will show various responses in works according to leader’s leadership. That is, this study intended to study exchange relation, by LMX’s forming various responses of members with measuring mea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for the method of sampling and materials collection for actual analysis, total of 200sets of questionnaire, composed with 1 copy or leaders and 3 copies of members, were distributed, and 94 sets of effective sampling were used in empirical analysis. When generalizing such analysis result of, it is as follows. First, it is analyzed that LMX weigh significant (+) influence on immersion into job satisfaction, teamwork, and organization. Second, it is analyzed that teamwork doesn’t weigh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is analyzed that job satisfaction weighs (+)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