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소비자법 민법전편입의 이론적 근거와 방향성 - 실질적 사적자치론 · 소비자계약론의 관점에서 -

        서희석 한국재산법학회 2010 재산법연구 Vol.27 No.2

        The application of Civil Code to consumer transactions means that civil code will regulate the type of transaction (BtoC) the modern civil code did not envisage. However, it is a type of transaction which the civil code as a general private law should have included. If so, it can be justified that the legal representation of consumer transactions, "consumer contract" may be governed by the Civil Code. The issue is whether or not the Civil Code can embrace individual consumer protection laws which have developed outside the scope of the civil law. Because the consumer protection law is for the purpose of the consumer protection, it would be possible to conflict with the idea of the civil law which has its origin in the private autonomy.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consumer contracts induce the necessity of the consumer protection, this article tries to justify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incorporation of the consumer contract law into the Civill Code through the theory of substantial private autonomy. In short, as long as the private autonomy of the civil law is understood the substantial private autonomy, it can be justified that the legal rules to accomplish the substantial private autonomy of the consumers is incorporated into the Civil Code. In the meanwhile, regarding what principle or rule will be necessary to accomplish the substantial private autonomy, this article will comparatively study the contract law principles between in consumer contract law and in civil law. Also, through the comparison study, it will try to induce the legal principle of the consumer contract which our legal system doesn't have. Legal principles or rules for regulating the process of and the content of the consumer contract play a role in protecting the consumers (or parties) in the contract process by using the civil law principle or by influencing the doctrine or the application of civil law. What makes these two parties connect is the very theory of substantial private autonomy. In sum civil lfound that the legal principles or rules for regulating the process of and the content of the consumer contract harmonizes with the theory of the civil law within the limits for helping to realize the substantial private autonomy by self-determination of consumers. The theoretical basis and the direction for the purpose of the incorporation of the consumer law into the Civil Code should be understood in this way.

      • KCI등재

        퍼지로직을 적용한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서희석,Seo, Hee-Suk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8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7 No.3

        Unlike conventional researches, we are able to i) compare the fuzzy logic based BBA with non-fuzzy BBA for verifying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uzzy logic application ii) dynamically respond to the intrusion using BBA whereas the previous IDS was responding statically and iii) expect that this would be a cornerstone for more practical application researches (analyzing vulnerability and examining countermeasures, etc.) of security simulation. Several simulation tests performed on the targer network will illustrate our techniques. And this paper applies fuzzy logic to reduce the false negative that is one of the main problems of IDS. Intrusion detection is complicated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generally involves enormous factors about the monitored system. Fuzzy evaluation component model, which is a decision agent in the distributed IDS, can consider various factors based on fuzzy logic when an intrusion behavior is detected. The performance obtained from the coordination of intrusion detection agent with fuzzy logic is compared against the corresponding non fuzzy type intrusion detection agent. The results of these comparisons allow us to evaluate a relevant improvement on the fuzzy logic based BBA. 단순히 퍼지만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연동하는 경우와 퍼지로직을 같이 사용하여 침입 탐지 에이전트의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경우에 관한 연구로서, 블랙보드 기반의 비퍼지로직을 사용하는 경우와 블랙보드 기반의 퍼지 로직을 사용하는 경우을 비교한다. 또한 BBA를 통해 정적으로 대응하던 시스템을 향상시켜 동적 대응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현실적인 시스템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대상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퍼지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false negative를 줄일 수 있었다. 분산 침입탐지를 위해 포함된 퍼지로직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기 때문에 침입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퍼지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 퍼지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퍼지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보이며, 이러한 비교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 KCI등재

        신용계약의 규율방향 시론 - 대부신용을 중심으로 -

        서희석 한국민사법학회 2011 民事法學 Vol.55 No.-

        When it is based on the forms of credit available, the credit transaction can be classified into loan credit (net credit), sales credit and lease credit. It is a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Korean legislation that various special laws exist for regulating each region of such credit transactions. The problem is that as these special laws were enacted for each individual purpose, not being governed systematically by comprehensive concepts such as credit contract or consumer credit,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law and the range of disciplines remain unclear or vague. Consequently, credit laws are recognized as the highly complex and esoteric realm. Thus, special laws on credit contracts for a variety of purposes require a more detailed analysis on the discipline system or the mutual relationship. Considering the above problem, this article examined mainly the loan credit. Loan credit has two main issues in terms of the civil law, that is, how to be regulated by contract law (the issue of contract law) and how to regulate the high interest (the issue of interest limitation). After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laws (Civil Code, Loan Credit Business Act,Interest Limitation Act), this article suggested the way to incorporate the main ideas of credit contract into the Civil Code by subdividing the section of 'loan contract for consumption' of the Civil Code into the general provisions, loan credit, sales credit. Interest Limitation Act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loan credit', however, the dual structure of interest limitation (i.e., the vertical split into the Interest limitation Act and the Loan Credit Business Act) shall be settled first. Additional things other than Interest Limitation Act shall be determined through the review of the practical needs and of comparative laws.

      • KCI등재

        통신판매중개자의 법적 지위와 책임 - 전자상거래법상 통신판매중개자책임의 재구성 -

        서희석 한국소비자법학회 2021 소비자법연구 Vol.7 No.1

        This paper analyzed the ‘platform operator responsibility’ under the E-commerce Act by dividing it into ‘basic responsibility’ and ‘strengthened responsibility’, and tried to reorganize the responsibility.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basic responsibility is generally recognized for its legislative significance, but the strengthened responsibility was found to be problematic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oint of view.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that recognition of “uniqu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arising from the status as architect and operator of platform” is preferable rather than attempting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platform operator as a e-commerce seller. In summary of this paper’s conclusions: As the “architect and operator of platform”, the platform operator is obliged to form rules of transaction and maintain and manage the transaction order to ensure that transactions on the platform are carried out appropriately within the limits permitted by law. The order of platform transactions needs to be made in three respects, the legality of the supply of goods, the legality of the seller’s conduct, and the proper resolution of disputes between the parties. In each respect, it is desirable to form a principle of civil responsibility and give autonomy to platform operator if possible. 본고는 전자상거래법상 통신판매중개자책임을 기본적 책임(①고지의무와 연대배상책임, ②신원정보제공의무와 연대배상책임, ③분쟁해결 등을 위한 조치의무)과 강화된 책임(④통신판매업자인 통신판매중개자의 책임, ⑤거래관여형 통신판매중개업자의 보충적 책임)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통신판매중개자책임의 재구성을 시도해본 것이다. 검토의 결과 통신판매중개자의 기본적 책임(①②③)에 관한 규정은 대체적으로 입법의의가 인정되지만, 강화된 책임(④⑤)에 관한 규정은 이론적⋅실무적 관점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입법론적으로는 통신판매중개자에게 통신판매업자로서의(④) 또는 그를 대신하는(⑤) 책임을 부담시킴으로써 책임을 강화하려는 시도보다는 “플랫폼의 설계⋅운영자로서의 지위로부터 발생하는 고유한 의무와 책임”을 인정하는 방향의 책임론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론으로 제시하였다. 본고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판매중개자는 “플랫폼의 설계⋅운영자”로서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거래가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사적자치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거래의 규칙을 형성하고 거래질서를 유지⋅관리하여야 할 주의의무를 부담한다. 플랫폼거래의 질서는 재화등의 공급에 있어서의 적법성, 판매자의 판매행위의 적법성, 당사자간 분쟁의 적절한 해결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유지⋅관리될 필요가 있다. 각각의 경우에 민사책임의 원칙을 형성하되 가능한 한 통신판매중개자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한국의 최근 민법개정과 소비자법 - 보증⋅여행에 관한 「2015년 개정민법」을 중심으로 -

        서희석 한국소비자법학회 2020 소비자법연구 Vol.6 No.2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ontents of the revised Civil Code in 2015 (“the 2015 Revised Civil Code”). The 2015 revised Civil Code has provisions for the protection of guarantors and travelers in guarantee contract and travel contract, and either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sumer Contract Law. With respect to guarantee contract, the written contract requirement and the obligation of the creditor to provide information has been newly established, and both of which is the generalization of the important principles of the Consumer Contract Law in the Civil Code. Meanwhile, the travel contract has been newly added as a typical contract of the Civil Code, including the cancellation of the commencement of travel, termination due to unavoidable reasons after the commencement of travel, and the warranty of the travel organizer. It can be assessed that a consumer contract has been realized as a typical contract in the Civil Code, given that travel contract is a type of consumer contrac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law and civil law, Korea is neither a country with the “Consumer Contract Act” as a special law of the Civil Code like Japan, nor a country like Germany that incorporated the special laws on consumer contract into the Civil Code. The 2015 revised Civil Code did not follow any of the above legislative models, nor did it use the consumer concept, generalized some of the main contents and principles of the Consumer Contract Law into the Civil Code, and also realized a consumer contract as a typical contract in the Civil Code. If the above trend continues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law and civil law in the future,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this trend as a legislative model (a “generalization model”) in which the contents, principles or ideas of consumer law are generalized to the Civil Code without using the consumer concept. 본고는 「2015년 개정민법」의 내용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2015년 개정민법은 보증계약과 여행계약에서 보증인과 여행자의 보호를 위한 규정을 두고 있는바, 어느 것도 소비자계약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 보증계약에 관하여는 계약의 방식요건(서면주의)과 채권자의 정보제공의무를 신설하였는데 어느 것도 소비자계약법의 중요한 법리를 민법에 일반화한 것이다. 한편 여행계약은 민법의 전형계약의 하나로 새롭게 추가되었는데, 여행개시전 해제, 여행개시 후 부득이한 사유로 인한 해지, 여행주최자의 담보책임 등이 주요한 규정내용이다. 여행계약은 소비자계약의 일유형이라고 해도 좋을 계약유형이라는 점에서 일부 소비자계약의 전형계약화를 실현하였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한국은 소비자법과 민법의 관계에 관하여 일본과 같이 민법의 특별법으로서 「消費者契約法」을 갖고 있는 국가(일본모델)도 아니고, 독일처럼 소비자계약에 관한 특별법을 민법에 통합한 국가(독일모델)도 아니다. 2015년 개정민법은 위의 어느 입법모델에 의하지도 않고, 또한 소비자 개념을 사용하지도 않고 소비자(계약)법의 주된 내용과 법리의 일부를 민법에 일반화 하고 일부 소비자계약의 전형계약화를 실현하였다. 향후 소비자(계약)법의 존재형태 내지 소비자법과 민법의 관계에 관하여 만일 위와 같은 경향이 계속된다면, 소비자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소비자(계약)법의 내용⋅법리나 이념을 민법에 일반화하는 형태의 입법모델(“이른바 일반화방식”)에 의한 입법의 실현으로 이해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알고리즘거래에서 착오주문의 문제 - H증권사건 하급심판결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서희석 한국상사법학회 2020 商事法硏究 Vol.39 No.2

        The problem with error orders in electronic securities transactions is serious in that the transaction itself is highly automated and the financial investor's one error order can lead to tens of thousands to hundreds of thousands or more error-making transactions. Not only can a single mistake lead to a question of financial investor's survival, but it can also seriously damage the stability of stock market. The very example is the 'H Securities Case' to be addressed in this paper. The H Securities Case resulted in massive losses when the company entered one variable through the automatic transaction program (algorithm) of the derivative by mistake, resulting in the cancellation of its accreditation of th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nd bankruptcy. The Korea Exchange filed a lawsuit for reimbursement against H Securities after paying the full amount of the payment to C Capital, etc.(Litigation 1) and H Securities filed a lawsuit against C Capital to claim the return of unfair gains for cancellation of civil errors (Litigation 2). If the error cancellation is recognized, the Korea Exchange's indemnity bonds will not be established, so whether the error cancellation is established will be an issue for both the first and second lawsuits. In conclusion, this paper judged that although the error was caused by a gross negligence of H Securities, the cancellation of the error can be possible under civil law because C Capital, the counterparty to the transaction, was apparently willing to use it in anticipation of a mistake of the H Securities. 이른바 전자증권거래에서의 착오주문의 문제는 거래자체가 고도로 자동화되면서 금융투자업자의 한번의 착오주문으로 수만에서 수십만건 또는 그 이상의 착오거래가 성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착오이체의 경우보다 그 파급력이 훨씬 크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한번의 실수가 금융투자업자의 존망의 문제로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의 안정성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바로 그러한 예가 본고에서 다룰 ʻH증권사건ʼ이다. H증권사건은 금융투자업자인 H증권이 파생상품의 자동프로그램(알고리즘)에 거래조건을 입력할 때 착오로 숫자를 잘못 입력하여 대규모의 손실이 발생하였고, 결국 당해 회사는 금융투자업의 인가가 취소되고 파산하게 된 사건이다. 한국거래소는 이 사건 착오거래의 상대방인 C캐피탈 등에게 결제금액 전액을 대신 결제한 후 H증권을 상대로 그 구상금청구소송을 제기하였고(제1소송), H증권은 C캐피탈을 상대로 민사상 착오취소를 이유로 한 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을 제기하였다(제2소송). 착오취소가 인정된다면 한국거래소의 구상금채권도 성립하지 않으므로 착오취소의 성립여부가 제1소송과 제2소송 모두의 쟁점이 된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이 사건 착오거래는 H증권의 중과실에 의한 것이지만 거래의 상대방인 C캐피탈에 표의자의 착오를 예상하여 이를 이용하려는 의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이유에서 민법상 착오취소가 성립한다고 판단하였다.

      • KCI등재

        일본에서 약관법의 민법전 신설 논의

        서희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4

        The reason why regulations of terms and conditions in “standard contract” are required is that the other party is hardly likely to review and negotiate them even though the operator party unilaterally writes the terms of the contract in advance. However, in spite of this need, Japan does not have a specialized law regulating the terms and conditions in standard contract up to now. Japan has just dealt with this as a matter of regulation of the Agreement clauses (provisions) by the Japanese Civil Code Article 90, and relatively recently, it has responded to this matter by enacting the “Consumer Contract law” in 2000 for establishing new rules in relation with regulation of contents of consumer contract. But Japan realized that these kinds of regulation would have limitations in itself and it suggested to establish several provisions to regulate the terms and conditions in standard contract in the Civil Code amendment, which was submitted to Parliament in March 2015. However, the process was never that simple, and the provisions finally prepared are also recessed a lot more than initially planned. That’s because interested industry opposed strongly to the introduction itself of new rules. This paper is aimed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our laws by analyzing the provisions newly introduced into the proposed Civil Code of Japan and by deriving its features. For it, first of all,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new rules for the standard contract and it analyzes the final provisions of the proposed Civil Code. Then this article will try to suggest implications that the discussion in Japan gives to Korean law. 약관에 의한 계약에서 약관의 규제가 필요한 이유는, 계약내용으로서의 약관이 사업자에 의해 사전에 일방적으로 작성됨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이를 검토하거나 교섭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약관규제에 특화된 법률을 갖고 있지 않다. 다만일본민법 제90조(공서양속)에 의한 계약내용(조항)의 규제의 문제로서 일반적으로 처리하여 왔고, 비교적 최근에는 「소비자계약법」을 제정(2000년)하여 약관을 포함한 계약조항 전체를 대상으로 한 내용규제에 관한 규범을 신설하여 대응하여 왔다. 그러나 민법 일반에 의한 계약내용규제나 소비자계약에 한정한형태의 계약조항규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2015년 3월에 국회에 제출된 일본 민법개정안에서는 약관에 관한 몇 개의 조문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이 결코 간단치만은 않았고, 신설되는 내용 자체도 처음 예정된 내용보다 많이 후퇴된 것이다. 그것은 약관에 관한 규정의 도입자체에 대한 산업계의 강력한 반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본고의 목적은 이와 같은 점을 배경으로 하여 일본 민법개정안에 새롭게 도입된 약관에 관한 규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특징을 도출하여 우리 법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문에서는 먼저 약관법 신설의 논의과정을 살펴본 후, 약관에 관한 최종적인민법개정안의 내용을 분석한다. 이어서 그 특징을 필자 나름의 시각으로 도출 및 평가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에서의 논의가 우리 법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소비자 개념의 재정립

        서희석 한국소비자법학회 2017 소비자법연구 Vol.3 No.2

        Most countries that have a consumer's definition in the civil law or other laws generally define consumers as "natural persons who act for consumption purposes (or for purposes other than business purposes).” This means that any natural person who has a consumption purpose in the context of an individual legal act may be recognized as a consumer, but it also means that he may not be a consumer (relative consumer concept). In relation to this, "framework act on consumers” generally defines the consumer as "a person who uses goods or services provided by a business person for consumption, or a person who finally uses it for production activities". It is the same as other legislation in that it requires a consumer purpose, but it is a definition based on economics in that it does not require natural person.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with the natural person or legal person(corporation) as the subject of the rights and obligation is missing, so the act has failed to define the consumer as a legal entity. For this reason, consumers' categories are ambiguous and the definition of human scope is unclear in individual laws. This is an important task to be solved in the field of consumer law and civil law.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this paper attempted to redefine the consumer concept that encompasses consumer law and civil law. As a conclusion, it emphasized that it is urgent theoretical task of consumer law and civil law to solve the problem of consumer’s definition under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consumers”, which is adhering to consumption-oriented legislation. The definition of consumer is necessary to be limited to natural persons who act for purposes other than the business purpose and is desirable to be improved to the direction that, if necessary, the category of consumer may be extended to individual or small businesses or non-profit corporations. 민법 또는 그 외의 법률에 소비자의 개념 정의를 두고 있는 대부분의 국가들에서는 대체적으로 소비자를 “소비목적으로 (또는 사업목적 이외의 목적으로) 행위하는 자연인”으로 정의한다. 이것은 개별적인 법률행위의 장면에서 소비목적을 갖고 있는 자연인이라면 누구나가 소비자로 인정될 수 있지만 소비자가 아닐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상대적 소비자개념). 이점과 관련하여 우리 「소비자기본법」은 소비자를 대체적으로 “사업자가 제공하는 물품이나 용역을 소비생활에 사용하는 자 또는 생산활동에 사용하되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자”로 정의하는데, 이것은 소비목적이라는 개념표지를 요구한다는 점에서는 다른 입법례와 같으나 자연인일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지극히 경제학적인 개념정의이다. 즉 권리의무의 주체로서 자연인 또는 법인과의 관계설정이 누락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를 법적인 존재로 규율하는 데에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개별 법률에서 소비자의 범주가 애매하고 인적 적용범위의 획정이 불명확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우리의 소비자법학과 민법학이 해결하여야 할 중요한 과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소비자법학과 민법학을 아우르는 소비자 개념의 재정립을 시도하였다. 그 결론으로서 소비목적중시형 입법을 고수하고 있는 현행 「소비자기본법」상 소비자 정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소비자법학과 민법학이 안고 있는 시급한 이론적 과제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소비자의 정의는 “사업목적 이외의 목적으로 행위하는 자연인”과 같이 자연인에 한정되도록 재정립하고, 필요하다면 개별법에서 정책적으로 개인사업자(소상공인)나 비영리법인 등으로 그 범주를 확장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방향의 개선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