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통합을 위한 국어 교육의 정체성 탐구

        서현석(Seo Hyun-suck)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3 No.-

        ‘국어’ 교과는 우리 민족의 ‘모국어 사용’을 교육의 내용으로 직접 다루며, 의무 교육으로써 국민 전체가 배우게 되는 공통 교과이다.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은 단지 국어 이해와 표현을 위한 기능 교과의 성격을 넘어서 우리 민족의 국어 사용에 작용하는 공통된 사회·윤리·문화적 관점으로써 올바른 언어적 선택 상황에서 작동하는 ‘국어 사고력’을 담당하는 ‘도구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 교과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남한과 북한의 국어 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국어교육 의 내용으로써 비판적·창의적 사고력뿐만 아니라 다양성을 수용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국어사용의 관점으로써 ‘배려적 사고력’을 강조하였다. 또한 배려적 사고력을 근간으로 구체화한 ‘국어 사고력 체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s a basic subject which cultivates a foundational language capacity for thinking. The Korean Language subject, covering Korean directly as a first language, is one of the main compulsory education subjects, which all Korean public school students have to take. To Prepare for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e Korean Language subject needs to be a basic subject to encourage the Korean Thinking Ability(KTA), which includes and emphasizes caring thinking as well as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new structure model of a KT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 소아 알레르기 환자에서 혈청 흉선과 활동화 조절 케모카인, 대식세포 유래 케모카인의 상승과 호산구 염증지표와의 연관성

        정보현 ( Bo Hyun Chung ),이해성 ( Hae Sung Lee ),서현석 ( Hyeon Seok Seo ),박하늘 ( Ha Neul Park ),지그프리드바우어 ( Siegfried Bauer ),서성철 ( Sung Chul Seo ),윤원석 ( Won Suck Yoon ),정지태 ( Ji Tae Choung ),유영 ( Young Yoo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2 천식 및 알레르기 Vol.32 No.4

        Background: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CCL17) and macrophage-derived chemokine (CCL22) are known as important mediators in allergic inflammation.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se mediators, but the role of the serum CCL17 and CCL22 in allergic diseases in children are still controversial.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serum levels of CCL17 and CCL22 between children with different manifestation of allergic diseases, such as bronchial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to analyze relationship with blood eosinophil makers and to fi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se markers. Methods: A total of 49 children (14 bronchial asthma, 13 allergic rhinitis and 13 atopic dermatitis) and the 9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erum chemokine (CCL17, CCL22) levels were analyzed. We examined whether serum levels of CCL17 and CCL22 would be related to serum immunoglobulin E levels, blood eosinophils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concentrations. Results: Serum levels of CCL17 and CCL2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bronchial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than that in controls. Serum levels of CCL17 and CCL22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rum immunoglobulin E levels, blood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concentrations with different strength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Conclusion: Serum CCL17 and CCL22 may play a crucial role in the chronic allergic inflammatory process and can be used as inflammatory markers. These suggest that serum CCL17 and CCL22 might be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allergic diseases in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