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 및 자금유출입에 미치는 영향: TVP-VAR 모형 분석

        서현덕,강태수 한국은행 2019 經濟分析 Vol.25 No.2

        We use a time-varying parameter vector auto regression (TVP-VAR) model to understand the impact of U.S. monetary policy normalization on Korean financial markets and capital accounts. The U.S. monetary policy is represented by the federal funds rate, term premium and credit spread. During the U.S. monetary contraction period of 2004 to 2006, changes in the federal funds rate presented negative pressure on Korean financial markets. The changes in federal funds rate also led to a simultaneous contraction in inward and outward capital flows. However, the effects of a federal funds rate shock has been reduced since 2015.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U.S. term premiums is getting stronger after the period of quantitative easing (QE). The influence of the U.S. credit spread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 rise in the U.S. credit spread, which can be triggered by a contractionary monetary policy, can pose a larger adverse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than a rise in the federal funds rate itself. As for capital flows, a U.S. monetary policy contraction causes an outflow of foreign investment, but the repatriation of overseas investment by Korean residents can offset this outflow. 미 연준은 2015년부터 통화정책의 정상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변모수 벡터자기회귀’ (Time-varying parameter vector auto regression, TVP-VAR) 모형을 바탕으로 미국 통화정책이 우리나라 금융시장과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미국 통화정책의 변화는 신용스프레드, 페더럴펀드 금리(정책금리), 기간프리미엄 등 세 변수를 통해 파악하였다. 국내 변수로는 금융시장 지표(장기금리, 원/달러 환율, 신용스프레드)와 국제수지표 금융계정을 분석하였다. 미국 정책금리 충격은 2004~2006년 금리인상기에는 국내 금융시장에 불안을 야기 시키고 외국인 국내투자와 내국인 해외투자의 동시 감소를 초래하였으나 2015년 이후에는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기간프리미엄의 영향력은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 QE) 정책 실시 이후 확대되었다. 미국 신용스프레드가 국내 금융시장과 자본유출입에 미친 충격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의 파급효과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정책금리 인상 자체보다 이로 인해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신용스프레드의 상승이 국내 금융시장에 더 큰 부작용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유출입 측면에서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외국인 투자자금의 국외이탈 압력 증가로 이어지나, 내국인의 해외투자자금이 국내로 환수되면서 이를 상쇄한다.

      • KCI등재

        경기대응완충자본 기준지표에 대한 연구

        서현덕,이정연 예금보험공사 2015 金融安定硏究 Vol.16 No.2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 in Basel III is a macroprudential tool that aims to reduce procyclicality in financial intermediation. To operationalize this buffer, it is important to find information variables that enable policymakers to determine whether current credit activities are overheated, to the extent that it can lead to a significant financial crisis afterwards. We explore indicator variables necessary for implementing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 in Korea. To do so, we first collect 42 variables in 7 sectors including credit aggregates, financial market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We then evaluate the past performance of those variables to predict financial crises in Korea since 1981, using AUROC(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loss function, and noise-to-signal ratio. The results show that credit variables such as the credit to non-financial firms and households are the most useful in determining when to build up the buffer, and so are financial market variables such as credit spread in determining when to release the buffer. A multi-variable approach, using mostly credit aggregate variables, has high explanatory power on the occurrence of past financial crises. 본 연구는 Basel III 자본규제의 일환으로 도입될 경기대응완충자본 제도를 운용하는 데있어 활용할 수 있는 기준지표를 탐색한다. 신용, 거시경제, 금융시장 등 총 7개 부문 42개변수에 대해 1981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네 차례의 금융위기에 대한 예측력을 점검한 결과 완충자본 적립판단 부문에서는 기업 ․ 가계신용 등 신용관련 변수가, 완충자본 사용 판단 부문에서는 시장 변동성 ․ 신용스프레드 등 금융시장관련 변수가 유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신용 변수를 중심 설명변수로 한 다변량 모형은 과거 금융위기에 대해 높은 설명력을보인다. 본 연구는 경기대응완충자본에 대한 국내 기존 연구와 비교해 보다 광범위한 후보변수에 대해 NTS(Noise-To-Signal) 비율, 손실함수(Loss Function: LF), AUROC(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등을 통해 다각적인 분석을 실시하며, 완충자본의 적립 및 사용에 대한 분석을 구분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자율주행 차량의 차량 대 차량 통신에 기반한 충돌방지 활용 시나리오 개발

        서현덕,권도영,신재민,최은혁,임헌국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2

        자율주행 차량은 ICT 기술의 도움으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운행되는 차량을 의미하며 스마트 차량의 한 종류이다 . 차량 안전 통신 기술(V2X)이 적용된 차량은 다양한 센서 혹은 타 차량/인프라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잠재적 위험 상황을 스마트 차량 스스로가 확실하고 빠르게 예측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한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V2X 통신 기술 중 차량 대 차량 통신(V2V) 모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충돌 방지 활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자 한다. V2V 모사 통신 기반 차량 충돌방지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제시한 충돌 방지 활용 시나리오를 시연하였다. 제시된 충돌 방지 활용 시나리오는 현재에도 개발/적용을 위해 노력 중인 V2V 통신 기술의 하나의 응용 사례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