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뉴로-퍼지 추론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카메라의 왜곡 영상 보정

        서한석,임화영,Seo, Han-Seog,Yim, Wha-Yo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5 No.3

        본 논문은 카메라의 고정 초점방식 렌즈를 통해 얻은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여 왜곡된 이미지 좌표에서 본래의 좌표를 갖는 원영상으로 복원하는 연구이다. 이미지 센서의 다양한 영상 기기 발달과 활용으로 다방면의 산업분야에 확대 이용되고 있으나, 카메라의 소형화와 경량화 필요로 인해 렌즈의 굴곡에 의한 수신 영상의 왜곡이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많다. 특히, 입체 영상 카메라 응용 기기인 경우 좌, 우측 렌즈의 서로 다른 왜곡으로 입체감 저하 및 좌우 이미지 왜곡 등이 수반된다. 좌, 우측 카메라 수신 영상의 각 부분별로 본래의 좌표로 환산하는 근사식을 세우고 이들을 종합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적응 뉴로-퍼지 추론시스템을 구성하여 소속 함수를 통해 분할하고 1차 Sugeno fuzzy 모델식으로 추정하여 좌, 우측 본래의 영상에 근접한 결과를 얻었다. 이로서 저가이며 소형 렌즈를 활용한 영상으로도 정확한 입체 영상 센싱 기능과 판별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paper, this study restores the distorted image to its original image by compensating for the distortion of image from a fixed-focus camera lens. The various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imaging devices and the image sensors used in a wide range of industries and expanded use, but due to the needs of the small size and light weight of the camera, the distortion from acquiring images of the distorted curvature of the lens tends to affect many. In particular, the three-dimensional imaging camera, each different distortion of left and right lens cause the degradation of three-dimensional sensitivity and left-right image distortion ratio. we approached the way of generalizing the approximate equations to restore each part of left-right camera images to the coordinators of the original images. The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is configured for it. This system is divided from each membership function and is inferred by 1st order Sugeno Fuzzy model. The result is that the compensated images close to the left, right original images. Using low-cost and compact imaging lens by which also determine the exact three-dimensional image-sensing capabilities and will be able to expect from this study.

      • KCI등재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3) 16세기 후반 비지류(碑誌類) 문장(文章)의 미의식(美意識) 분화에 관한 고찰(考察)

        서한석 ( Han Seok Seo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There were lots of changes in 16th century, we can find the changes in the classical literature of Josen in the period. The major cause of the changes were the an introduction to reversionism thought from Ming(明). The literary world of Josen in 16th century was influenced by the reversionism thought. This paper was intend to consider the detailed chages of aesthetic aspects of prose since the introduction to reversionism thought. This paper focused on Epitaphs(碑誌類), it is texts honoring a deceased perso, of Yun Geunsu(尹根壽)?I Hangbok(李恒福)?Yu Seongryong(柳成龍)?Yu Geun(柳根). Epitaphs(碑誌類) was understood it was related to the old text revival movement. epitaphs(碑誌類) showed big changes during the 16th century. And The writing of these four literary men was evaluated the statesmanship`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about reversionism thought. This paper examined the distinct difference of these four literary men.

      • KCI등재

        부산시, 후쿠오카시의 커뮤니티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서한석(Seo, Hansok)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5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4 No.2

        연구배경 : 부산 게이트(Gate)내(김해국제공항, 부산국제여객선터미널 등) 사인디자인의 문제점(외국어 표기, 정보전달 부족 등)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부산을 가장 많이 찾는 방문객과 주변도시와의 ‘초광역 경제권’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부산으로서는, 지역의 첫 관문인 부산 게이트(Gate) 내 사인디자인의 문제점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 이에 본 논문에서는 후쿠오카, 부산 양 도시의 게이트(Gate) 내 사인디자인 시스템 제안을 목표로 ‘국제표준 화살표 기호(ISO 국제표준화기구, JIS 일본공업규격, IATA 국제항공운송협회, IATA 국제항공운송협회 변형형)와 외국어 표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선호도 조사(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폰트)’를 한국, 일본, 중국 디자인 관계자(교수, 대학원생, 학부생, 유학생)를 대상(한국인 30명, 일본인 30명, 중국인 30명, 총 90명)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화살표 및 타이포그래피 선호도 조사에서 최종 결과 화살표는 ‘JIS 일본공업규격’ 형태, 한국어 폰트는 ‘YoonYGO 250’, 영어 폰트는 ‘Helvetica’, 일본어 폰트는 ‘MS Gothic’, 중국어 폰트는 ‘黑?’ 폰트가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선호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본문내용 [그림 1]과 같이 다양한 사인디자인의 제안이 가능하다. 단 연구결과의 완성도를 위해서는 ‘사용자 평가분석 및 만족도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기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향후 연구과제로 진행할 계획이다. Background : The sign designs on the gates in Busan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Busa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etc.) have always been a problem for a long time, due to its writing of foreign languages and poor delivery of information. Busan, which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visited cities and is promoting a cooperation project called “Super Regional Economic Zone” with its neighboring cities, needs to review and examine the problems of sign designs on gates, which are the first gateway to Busan. Method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propose a sign design system for gates in both Fukuoka and Busan.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a preference research on the arrow symbol of international standard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JI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and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deformation type) and typography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fonts) for marking in foreign languages was carried out. A survey was conducted to a total of 90 related people, including 30 Koreans, 30 Japanese, and 30 Chinese, in the design field (professors, graduate/undergraduate students, and international students). Result : The final result of the arrow and typography preference research demonstrated the following: “JI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for arrows, “YoonYGO250” for Korean font, and “Helvetica” for English font "Helvetica", “MS Gothic” for Japanese font, and “黑?” for Chinese font had the highest level of preference among the respondents.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ference research, various sign designs can be proposed as in the content in Figure 1. However, “User Evaluation Analysis and Satisfaction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as a future research assignment as it is needed to be done to complete the research result.”

      • KCI등재

        『주영편(晝永編)』 연구 -지식의 형성 배경과 서술 태도에 관하여-

        서한석 ( Seo Han-seok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6

        『晝永編』은 조선 후기의 학자 鄭東愈의 저술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저자는 이 책을 “긴 여름날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썼다고 하고 또 “짜임새나 순서가 없어 심심풀이로 보기에도 부족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내용을 면밀히 살펴보면 이는 스스로의 겸사일 뿐 실상과는 다르다. 상하 2책 총202칙에 이르는 이 책은 규모는 작지만 역사, 학술, 언어, 역법으로부터 풍속, 지리, 명물 호칭 등 다양한 방면에 걸친 흥미로운 기사들이 실려 있다. 18~19세기 조선은 類書나 차기체 필기류가 유행하던 시기이다. 『주영편』은 이러한 문학사적 배경에서 저술되었고 두 가지 특징을 겸하고 있다. 그러나 결정적으로 각각의 항목들이 체계적으로 분류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유서보다는 차기체 필기로서의 면모가 도드라진다고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차기체 필기의 관점에 입각하여 『주영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주영편』은 정동유의 만년의 저술로 저자의 폭넓은 독서와 노년의 학예적 성취에 기반한 학술적인 성격이 강하게 드러난다. 정동유는 家乘과 師承을 통해 폭넓고 다양한 지식을 축적하고 기존의 통념과 속설의 모순점을 합리적인 의심을 통해서 부정하였으며, 명확한 실증적 근거를 통해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을 산출해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영편』은 『芝峰類說』로부터 받은 영향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지봉유설』에서 비롯된 名物考證學의 전통이 『星湖僿說』과 『松南雜識』, 『五洲衍文長箋散稿』 등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주영편』 또한 이러한 시대 배경과 문학사적 연속선 상에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Jooyoungpyon is the work of Jung Dong-yu who were scholars in 18th century in Joseon. He said about the reason of writing this book, it was to break the monotony of long summer days. However we found his comment on his work was just modest expression. This book in two volumes consists of 202 contets, it was about a wide variety of history, knowledge, language, customs, geography, calendar, etc. The chagi style of writing of Encyclopedia were popular in the 18~19th centuries Choseon. And Jooyoungpyon also combines these characteristics, especially it is more of chagi style. So this paper examined Jooyoungpyon as a chagi style writing.

      • KCI등재

        후쿠오카시, 부산시의 Community Identity를 통한 부산국제여객선터미널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서한석(주저자) ( Han Sok 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6 No.-

        직할시 승격 50주년 BUSAN, 2025년 세계도시경쟁력 분석 50위권의 중심도시, 대한민국 최고의 마이스(MICE)분야 국제회의 도시, 2013년 부산 방문객300만 명 목표, 2013년 현 국제 자매도시(23개국 26개 도시) 현황으로 볼 때 이미 부산은 세계가 인정하는 국제도시이다. 마이스(MICE)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이제는 세계인이 부산을 찾고 있으며, 국제도시로서의 준비 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도 부족한 부분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부산을 대표하는Community Identity를 찾고, 부산을 방문 했을 때만 구매할 수 있는 기념품을 만들고, 국제도시로서 자매도시를 배려하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절대적으로 필요로하는 시점이다. 그래야만 명실상부 국제도시로서 부산의 브랜드향상과 지역 경제가 성장할 것이다. 연간 300만 명 해외 방문객 목표를 두고 있는 부산으로서는 아직도 주요 Gate내 사인시스템이 절대적으로 미비하다. 부산을 가장 많이 찾는 일본인과 중국인이 좀 더 이해하기 쉽고 접근성, 편리성이 용이한 주요 Gate내 사인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2 WorldAirports Awards 10 사인디자인’과 부산과 가장 인접한국제도시 ‘후쿠오카와 부산의 Gate 사인디자인’ 을 대상으로 일본, 한국의 디자인 전문가들을 통해 심층 분석을 진행하였다. ▶ 50th anniversary of BUSAN being raised to the status of a city▶ One of the 50 most important cities in the city competitiveness analysis for 2025. ▶Best city to host international conferences in the MICE sector in South Korea ▶ Goal to achieve 3,000,000 visitors in 2013 ▶ In 2013, Busan has sister city relationships with 26 cities in 23 countries. Therefore the city has been already recognized as an international marvelous city by the world. Only 10 years ago, the industrial profit of the city was declining, and there were a lot of worries about its future. Now, through the MICE industrial development,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are looking for Busan . Thus, as an international city, Busan needs to be prepared to receive foreigners. The city is still lacking in a lot of areas. Busan needs to find a Community Identity that can represent well itself, souvenirs that can only be purchase at the city, and as a cosmopolitan place, various ideas that show it cares for the sister cities are absolutely necessary. Those solutions ensure what an international city truly is. And they will increase its brand value and improve the local economy. Busan aims to achieve 3,000,000 of tourists every year, but the sign system of the main gates of Busan is still inadequate. Most who visit Busan are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Therefore, the main gates sign system needs to be easy to understand, accessible, and convenient for these tourists. In this paper, the sign design evaluation of 2012 World Airports Awards 10" was considered and Japan, the country the majority of tourists come from, it was considered too. And the city of Fukuoka in Japan was the focus of the analysis for being a main spot for design professionals in South Korea. A deep analysis on the main gates of these both cities is going to be done through this paper.

      • KCI등재
      • Eye-gaze Interface을 이용한 한글 입력에 관한 연구

        서한석(Seo Han-sok),富松 潔(TOMIMATSU Kiyoshi) 한국디자인학회 2003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진전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 있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사회 생활 전반에 있어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IT 기기를 누구나 손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 고령 때문에 상체가 부자연스럽고, 그로 인한 컴퓨터 조작이 곤란한 사람들에 관한 Barrier Free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눈동자의 움직임만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 할 수 있는 시선 입력 장치(Eye-gaze Interface)에 주목하여 이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고려한 한글 입력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것은 컴퓨터 조작이 곤란한 장애자와 고령자가 일반인과의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부산, 후쿠오카의 Gate내 신규 사인디자인 제안을 위한 연구

        서한석 ( Han Sok 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3 No.-

        한국 부산과 일본 후쿠오카는 1989년 “행정협정도 시교류” 체결 이후 아시아 시대의 새로운 동반자적 상호협력에 의거하여 “초광역경제권”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2007년 부산, 후쿠오카 자매도시 체결 이전에도 양 도시 사이에는 경제, 문화, 관광,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민간 교류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도래하여 본 연구에서는 양 도시의 왕래자들이 가장 먼저 접하는 부산과 후쿠오카의 주요 Gate (공항, 여객선터미널, 철도역)내 공공사인 제안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는 양 도시 주요 Gate내 공공사인의 기준과 표준을 제안함으로써, 자매 도시에서 하나의 도시로 나아가 동북아의 최국경 협력의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규 사인 제안을 위한 조사에서는 먼저 양 도시의 이미지, Gate 이미지, Gate내 사인디자인 평가, Gate내 안내시스템 개선사항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해 부산과 후쿠오카의 주요 Gate내 공공사인을 점검하고 향후 개선사항, 아이디어 발굴 등에 있어 일반인, 외국인, 전문가(총 204명)들의 의견을 집중 조사하였다. 향후 조사결과를 토대로 공동 사용 가능한 공공사인의 기준과 표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본 연구는 진행 중이며, 최종 결과는 2014년 12월 완공 예정인 부산국제여객선터미널 내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Busan in Korea and Fukuoka in Japan are very close, sister cities physically and economically since 1989, so called ``One economic area beyond border``. The two cities are pursuing to enforce their relationship of the cooperation and development beyond the national border through a variety of private exchange programs including the field of culture, travel and sports.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sign systems of the main gates(airport, passenger`s terminal and railroad station) of each city and suggesting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of the common sign system between the c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 useful model for sister cities toward one large area beyond the national border. helping the two cities grow together culturally and economicall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various cases of the sign design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04 people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to understand the image of each city, the image of city gate, the evaluation of sign design in gate area and the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sign information. Also, the focused interview was performed by the design professionals to build the guideline of the sign system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s and criteria for the public sign that can be commonly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ed in Busan Passenger`s Terminal which will be completed in December, 20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