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근교형 자연휴양림 이용 행태와 만족도 분석 - 서울 근교를 중심으로 -

        서주환,최현상,전형석 한국조경학회 2003 韓國造景學會誌 Vol.30 No.6

        This study researches attributes , behaviors , satisfaction factors and degrees of curiosity of visitors to recreational forests in the suburbs of a large city. It aims to present suggestions for urban forest development and management policy by offering basic data which help to plan, design and manage recreational forest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se environ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ttribute, the visiting rate of male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and the main users ar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Sixty percent of visitors graduated from university and their rate of employment is evenly distributed. 95 percent of visitors are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terms of behavior, major visitors are family units visiting during summer seasons and for overnight stays. 75% are re-visitors. 85% of visitors came to escape the city with families and friends, keep in good health and experience nature. Second, to extract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 satisfaction in recreational forests, the natural environment, facilities, and management/use systems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subordinate satisfactions were dependent variables. so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u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are quality of water, stream use, biodiversity, fresh air and landscape factors. The variables affecting facilities are puking, convenience, play facilities, sanitary arrangement and camping. Most important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management/use systems are educational facilities and access condition. On the basis of generalizing the study in the existing individual site, we must verify the visiting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forests in the suburbs of a large city. Since development of recreational forests is understood as a sequence considering a site and a given condition, and since management and improvement must unfol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a strategy is needed to reveal visitors' opinions about the site. Depending on the facilities and service, satisfaction of recreational forests is generally influenced by social and economic qualities. Also, this study can look into the effect according to use pattern motive and season. As suburban recreational forests have many overnight-users and younger men, programs suitable for these groups are needed. On the basis of variables affect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natural environment, facilities, and use system, policies which can manag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ntroduce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 KCI우수등재

        자연경과지 내에서 정자의 시각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서주환 한국조경학회 1995 韓國造景學會誌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basic objective data for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visual impact of pavilion situated in natural landscapes. For this, naturality and visual preference scores of landscape s1ides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s, visual volumes of pavilion in the natural landscape were evaluated using the Mesh analysis and images structure was analyzed by the factor analysis algorithm The results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Landscape slides No. 27 and 9 were ranked more highly for naturality, and slides No.22, 28, 6 and 4 were ranked more highly for visual preference. Factors covering the spatial image of the natural landscape were found to be the evaluation, the tidiness and the space volume. By using the control method for the number of factors, T. V., were obtained as 59.0%. For all experimental landscape slides, the factors of evaluation and tidiness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s determining the naturality and visual preference. The naturality and actor scores and the visual preference and factor scores were found to exepress the regression relation.

      • KCI등재

        제주 '오름'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경관이미지 비교 분석

        서주환,김상범,노재현,허준,Suh, Joo-Hwan,Kim, Sang-Beom,Rho, Jae-Hyun,Huh, Joon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는 한라산과 더불어 제주 고유의 자연경관이자 원경관(原景觀)이며 제주 이미지 정체성 요소의 본질이라고도 할 수 있는 '오름'경관의 보존과 제주 브랜드로의 활용을 목표로 내국인과 외국인이 느끼는 제주 '오름'에 대한 이미지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항공에서 촬영한 총 18개 '오름'의 부감사진을 대상으로 준예비조사와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4장의 사진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집단은 내국인과 외국인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총 26개 형용사 어휘상에 대한 7단계 형용사 어의구별척도로 이미지 및 선호도를 측정하고 인자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자분석을 통해 파악된 인자군은 내국인과 외국인 집단 구분 없이 전체적으로 평온성의 이미지 변인이 제주 '오름'의 경관 이미지를 대표하는 공통적인 이미지 정체성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이밖에 이미지 주요 변인으로 외국인은 "역동성", "특이성" 그리고 "웅혼성"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으나, 내국인의 경우는 "매력성", "웅혼성", "특이성"으로 유형화된 것으로 보아 상대적으로 국내인은 '오름'의 '절대가치로서의 아름다움'을 매력으로 파악한 반면 외국인은 '오름'의 역동적 이미지와 상대적 특이성을 보다 주요한 이미지 변인으로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요인점수와 선호도와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국내인은 "평온성", "매력성" 그리고 "역동성"이 선호도를 설명하는 중요 변수로 나타난 반면, 외국인의 경우는 "역동성", "평온성" 이외에 "균일성", "특이성" 그리고 "단순성" 등으로 차이를 나타내, 이는 상대적으로 외국인에게는 '오름'의 형태적 특이함과 단순미 등이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on how they feel of the 'Oreum' so that the data could be used to conserve and utilize 'Oreum' as a brand of Jeju, which is one of the natural and original sceneries of the island along with Halla Mountain. Four aerial photo slides were selected to be assessed among 18 overlooked views of 'Oreums' through quasi-preliminary and preliminary surveys. The assessment group was divided into native and foreigner groups. Image and preference were measured based on 7 step categorization on 26 adjectives, and factor analysis was implemented. The selected factors from factor analysis reflected that calmness was recognized as common image identification variable to natives and foreigners. However, foreigners choose 'dynamics', 'peculiarity' and 'grandeur' in order to explain the image while Koreans selected words in the order of 'attractiveness', 'grandeur', 'dynamics' and 'peculiarity'. This means Koreans identify the image of 'Oreum' as absolute beauty while foreigners see the dynamics and relative peculiarity as its attractive point. As a result of factor score, prefere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oreans selected 'calmness', 'attractiveness' and 'dynamics' as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 preference. On the other hand, foreigners choose 'dynamics' and 'calmness' as well as 'evenness', 'peculiarity' and 'simplicity'. This represents that foreigners are highly influenced by the structural peculiarity and simplicity on the image preference.

      • KCI등재후보

        서울스퀘어 미디어아트 콘텐츠의 유형 및 심리 특성 분석 : 사진과 동영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주환,이하나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Media art functions as public assets like a new type of public art or public design in that the media art of media facade stands as urban public media, exists in public space, and is viewed by the unspecified public.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for study of the 'contents,' which actually constitute the media facade as an art form extending to the outdoor space of the city and as a new trend of urban landscapes, Seoul Square was selected as an exemplary case of media facade, and the study was conducted. Seoul square is located across from Seoul Station, a symbolic place of Seoul. Seoul Square is the first case of the building front built as a media canvas for media art expression, and is a new landmark and face of Seoul's night view. the media contents of Seoul Square from 2010 to 2011 are categorized into publicity, economics, integration, aesthetics, and communication after analysis of their planning purpose and constitution. The representative contents for each category are selected through surveys, and viewers' psychological traits and preferences via visual perception are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SPSS. Regarding the six selected contents in this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types of media, picture and video, and the result show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dia. This study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define relations between the evaluation results of images by content and visual images of the videos and preference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aesthetics wa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content of the images and videos and the evaluated that of the images and video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urban landscape.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complexit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mmercialism. 미디어 파사드를 통한 미디어아트는 도시 속의 공공매체로, 불특정 다수가 존재하는 외부공간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아트는 새로운 공공미술이나 공공디자인과 같은 공공재의 역할을 한다. 도시외부로 확장되는 예술로, 도시경관의 새로운 경향으로 미디어 파사드를 실질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콘텐츠'의 연구의 필요성에 착안하여 서울스퀘어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스퀘어는 서울의 상징적인 장소, 서울역 맞은편에 위치해 있으며 건물 전면부를 미디어아트 표출을 위한 미디어캔버스로 시공한 첫 번째 사례로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서울야간경관의 새로운 얼굴이다. 진행된 서울스퀘어 미디어 콘텐츠를 기획의도와 구성분석을 통해 공공성, 경제성, 통합성, 심미성, 소통성, 경제성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대표 콘텐츠를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 시각적인지를 통한 심리특성 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SPSS를 통해 분석한다. 선호도와 콘텐츠의 시각적 인지, 도시경관과의 관계성에서의 시각적 인지를 조사하는 모든 항목은 동일한 6개의 콘텐츠에서 이미지와 동영상으로 2가지 형태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같은 콘텐츠라도 모든 항목에서 이미지와 동영상간에 결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콘텐츠별 이미지와 동영상의 시각적으로 느끼는 이미지의 평가결과와 선호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이미지와 동영상의 콘텐츠, 도시경관과의 관계성에서 평가한 이미지와 동영상의 콘텐츠 모두 심미성이 가장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잡성과 상업성은 부적의 관계를 띄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의 담장개방효과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특별시 구청을 중심으로-

        서주환,이준근 한국조경학회 2002 韓國造景學會誌 Vol.29 No.6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objective data to be utilized for a plan and the improvement of open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people's behaviour and satisfac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an opened-fence around offices followed by a plan for wall-afforestation of public institution's. The sites examined are four offices; two of them have opened-walls and the others have traditional enclosure. Analysis of frequenc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ctual use according to people's individual peculiariti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carried out to find out relations of fluents. In the end, the satisfaction is high in public institution satisfaction, entrance, space perception. stability, Landscaped office with opened-fence rather than fence, and the increase in usage of fluent of public institution satisfaction, entrance, space perception. stability, confusion brings about rising of use-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he exterior of building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s the whole urban open space. Furthermore the influences of the approach and stability having connection with open or not-open fence is major variable affecting satisfaction of use of open space. Whether open or not is important factor on satisfaction of open space of office building.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that opened fence determines use satisfaction of resting space of outdoor-office. So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must be regarded as important requisite on planning, desig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plan for afforestation of fence at public institution.

      • KCI우수등재

        삼림경관에 관한 계량적 분석에 관한 연구

        서주환 한국조경학회 1987 韓國造景學會誌 Vol.15 No.1

        삼림경관지의 물리적 환경이 지닌 시각적 질을 계량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여 환경설계에 객관화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자연삼림경관의 경관가치를 Iveson 법에 의하여 평가하고, 삼림내 주리용공간에 대하여는 S.D Scale을 측정하고, 인자분석 Algorithm을 통하여 이미지 구호를 밝혔으며, 시각적 선호성 및 S.B.E Method에 의한 시각적 선호도를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verson 인자 I과 IV가 높은 치를 보이는 지점일수록 경관의 가치순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인공구조물이 공잔적으로 일관된 맥락을 유지하는 분배와 연종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고 이질적으로 작용하는 지점에서는 낮은 치를 보였다. 인공요소를 자연경관요소에 동질적으로 융합시켜 Iverson 인자 IV의 측정치를 높이는 설계기법이 중요하다 하겠다. 2. 각 조사지점 공히 계절에 따른 S.D. Scale 치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삼림경관지에서 인공구조물이 보완적, 융합적으로 작용하는 공간에서는 시각적 연속성 구조물의 형태적 간결성 강조성 이질요소의 통일성 및 동화성 등의 어의미분척도가 이미지의 주성분석 변수로 나타났다. 3. 삼림경관지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은 종합평가, 개성, 정연성, 역량성, 품격, 친근감 및 공간규모 등 7개의 인자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자수 제어방법에 의하여 T.V. 는 45.32%로 나타났다. 4. 모든 계절 공히 개성, 품격, 정연성, 역량성 및 친근감의 인자가 높은 Factor Score를 보여, 삼림경관지의 계절적 공간이미지를 대표하는 인자군으로 나타났으며, 각 공간 이미지의 주인자 및 계절별 이미지 차이를 나타내는 인자는 각지점간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5. 성별에 따른 Factor Score의 차이는 삼림경관지에 대한 이미지 중 종합평가와 개성 차원에서만 인정되었고, 연령에 따른 차이는 30대 이하와 40대 이상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에 따른 유의성도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현격하게 나타났으나, 개인차를 나타내는 속성적 변수는 상호보완적인 변수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행동의 설명력있는 이유로 볼 수 없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objective basic data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visual quality included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forest landscape. For this, landscape values of forest landscape have been evaluated by using the Iverson method, the images structure of forest landscape's main utilizing space have been analysed by the factor analysis algorithm, degree of visual preferences have been pleasured mainly by questionnaries and SBE method, and finally these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allow LCP with high values of Iverson factors I and IV yield high landscape value. Specifically, Iverson factor IV has been found to play the dominant. For all experimental points,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in S.D. scale values have been observed. In natural parks, where artificial structures are complementary to the natural landscape, main factors of image are S.D. scales such as the visual sequence, the formal simplicity of structures, the emphasis, the unification of heterogeneous factors and the assimilation. Factors covering the spatial image of natural parks have been found to be the overall evaluati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tidiness, the potentiality, the dignity, the intimacy and the space volume. For all seasons, factors such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dignity, the tidiness, the potentiality, yield high factor scores. As for factors determining the degree of visual preference, variables such as the summit, the skyline, rocks, the water and the degree of natural destruction by artificial structures yield high values for all seasons.

      • KCI우수등재

        GIS의 補間(Interpolation)을 이용한 토지이용변동예측에 관한 연구 - 일본 箱根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서주환,이시영,김상범,윤재남 한국조경학회 1999 韓國造景學會誌 Vol.26 No.4

        The methods of landuse change detection have been used with the algorithm of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t is used for the Environmental Planning. Ultimately, it is useful to establish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n landscape architecture. As one of environmental elements, the landuse is repeatedly being changed by the interaction of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In addition, the landuse change shows a tendency to certain characteristic. However, the data of analysis environment system are too broad to access the practical us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ethod of GIS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is to make the prediction model by using the interpolation of GRASS version 4.1.5 and to consider about a tendency for each element in landuse change of HAKONE national park. The results of study explain as below : 1. The natural forest and the meadow have a larger tendency of decrease. 2. The area of golf club and facility land has not been changed and the some other areas have been changed to the commercial forest. 3. However, because of the natural forest preservation plan since 1970, the destruction shows comprehensively a tendency of decrease.

      • 환경 조각 작품에 미치는 주변 경관의 시각적 영향력 분석 -Antony Gormley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주환,지소강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0 디자인지식저널 Vol.16 No.-

        몇 해 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공공미술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작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좋은 공공미술 작품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비평과 고민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진정한 의미의 공공미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안토니 곰리의 작품에서 경관이 가지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공공미술, 그 중에서도 환경 조각 작품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의 환경 조각 작품은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지니며 경관과의 관계성을 통해 예술적 감흥을 발현한다는 가설을 세웠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은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먼저 안토니 곰리의 작품이 경관 속에 배치된 사진과 경관이 배제된 상황으로 시뮬레이션 한 사진을 함께 제시하여 선호도를 조사하고, 어의구별척도를 이용하여 사진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들의 상호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작품의 선호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참신성’ 과 ‘친밀감’ 요인은 경관이 배제되었을 때보다 경관 속에배치될 때 크게 높아졌는데, 이 두가지 요인은 안토니 곰리 작품의 주제와 직결되는 요소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서 경관이 부수적 배경이 아니라,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경관을 적극 활용하여 작품의 이미지를 극대화 하는 것이 공공미술 작품의 질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방법론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시대적 변천 특성에 따른 아파트 문주의 시각적 선호도 연구 : 평택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서주환,김수연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6 No.1

        아파트 단지의 문주는 외부영역과 단지 내의 영역을 연결시켜주는 전이공간으로써 아파트 단지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징성을 내포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평택시 남부지역에 건설된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1980년대(도입단계),1990년대(발전단계), 2000년대(성숙단계)로 구분하여 추출된 단지를 대상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각 아파트 문주에 대한이미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18개 형용사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특이성’, ‘쾌적성’, ‘친숙함’, ‘개방감’의 4가지 요인으로 명명될 수 있었고 T.V(%)값은 68.784%로 비교적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시각적 선호도는 시대별 흐름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추세를 보였고 선호도와 형용사 이미지간의 회귀분석 결과로는 1980년대의 이미지 특성에서는 ‘쾌적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0년대에는 ‘특이성’이, 2000년대에는 ‘특이성, 쾌적성’이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The Gate of apartment complex is transitional space that connects the outdoor space and the indoor space. It is space that involved symbolism and formed image. The gate of apartment complex has changed diversely according to construction periods which were divided into the 1980s (introduction stage), the 1990 (development stage), 2000s (maturity stage).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eriodic changes of visual preference with the gate of apartment complexes in southern of Pyeongtae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by Varimax rotation method showed that common variance was 68.784%. The eighteen adjectives could be divided into four factors such as ‘specificity’, ‘amenity’, ‘familiarity’ and ‘openness’. Visual preferences show usually to increase depending on periodic change. The correlation between view preference and adjective images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s, in 1980s, ‘amenity’ was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Amenity’ in 1990s and ‘specificity and amenity’ in 2000s have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