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서재욱,정윤태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8

        A very low feeling of happiness that Korean adolescents experience is a significant social problem as it can affect their life cycle negatively.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related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on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into personal capability,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with an intention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variable on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To do so, this study compare influential differences of personal ability,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nder regulations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and family characteristic. This study used <Optional investigation on children>, an optional investigation of the 7th investigation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12, and the subjects included 264 male and 248 female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a main finding of this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a variable that makes the most influence on o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is the school environment variable.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individual ability variable and family environment variable make significant influence on happiness of adolescents at the same tim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influence of personal capability,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happiness of adolescents, but the importance of school environment needs to be focused on more than anything. Therefore, the necessity of improving school environment is being brought up preferentially. 한국의 청소년이 경험하는 매우 낮은 행복감은 생애주기에 걸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중요한 사회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을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으로 구분하고 이 가운데 청소년의 행복에 가장 중요한 변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학적 특성과 가구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의 영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2012년 한국복지패널 7차 조사의 부가조사인 <아동 부가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대상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64명, 여학생 248명이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서,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학교환경 변인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개인능력 변인과 가족환경 변인도 청소년의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함의는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학교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보다 주목하면서 개인능력과 가족환경, 학교환경의 영향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보험회사의 전자문서 작성과 보관 등에 관한 법적 검토

        서재욱,고은희 한국지급결제학회 2022 지급결제학회지 Vol.14 No.2

        Remote transactions have increasingly affecting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due to develop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and impact of COVID-19. It is projected that usage of electronic documents in financial transaction will continue to increase. Those electronic documents that are made during transactions, and stored in financial institutions serve as basis of validating certain financial transactions. Also, financial consumer information contained in such documents must be protected. Thus financial companies must abide by the procedure on creating, processing, storing, and discarding electronic documents stated in relevant law. Framework Act on Electronic Documents and Transactions (Electronic Document Act hereafter) stipulates written requirements which the electronic document can be identically effective as a paper document. That said, issues can rise on whether the electronic document itself is the original document, and if digitalized document deserves value as an evid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ways to give originality to electronic documents by specifying conditions (i.e. integrity and credibility is secured when documents are created), or approving it as the original through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Act to acknowledge the document met standards to be seen as one.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Financial Consumers, financial companies are obliged to store documents that are created during financial transactions and those related to contract signing, executing and etc. The company can meet these obligations by storing documents in certified electronic document authorities, instead of meeting all of the storing requirement stat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ct. In addition, financial companies should abide by obligation conduct on dele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 legislation of having those companies to store information in the certified electronic document center can serve as alternative, instead of companies physically discarding documents containing personal credit information. Given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protect information and rights of financial transaction parties as well as meeting obligations by preserving evidence of financial transactions.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COVID-19 이후 더 활발해진 비대면거래는 전자금융거래에도 큰 영향을 미쳐 금융거래에 있어서 전자문서의 이용이 활성화되었다. 금융거래에서 작성하여 금융회사가 보관하는 전자문서는 금융거래의 효력 발생의 근거이며 전자문서에 포함된 금융소비자의 정보는 정보보호 대상이므로, 금융회사는 전자문서의 생성부터 처리, 보관, 파기까지 관련 법령에서 정한 법적 의무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이행하여야 한다.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문서법’이라고 한다)은 전자문서에 대한 서면요건을 명시하고 있으며 서면요건을 충족한 전자문서는 종이문서와 같은 문서로써의 효력을 인정할 수 있다. 다만, 전자문서가 원본으로써 원본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지 여부, 전자화문서가 증거능력으로 가치가 있는지 여부 등은 전자문서 활용에 있어서 선제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문제이다. 전자문서 작성에 무결성과 신뢰성이 확보되는 경우 원본성을 인정하는 등으로 원본성 인정 요건을 법령에 명시하거나, 금융회사가 생성한 전자문서가 전자금융거래법 등을 통하여 원본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면 전자문서의 원본성을 부여하는 방안등이 추가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금융회사는 금융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금융거래에서 생성된 문서로써 계약 체결·이행 등에 관한 자료 등을 보관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전자문서법에서 정한 전자문서 보관 요건을 모두 준수하여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거나 직접 보관하는 대신에 공인전자문서센터에 전자문서를 보관함으로써 이러한 의무 이행에 갈음할 수 있다. 또한, 금융회사는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개인신용정보 삭제의무를 이행하여야 함에 따라 개인신용정보가 포함된 전자문서를 파기하여야 할 경우, 금융거래에 따른 법적 효력 발생에 근거가 되는 전자문서를 파기하는 대신에 공인전자문서센터에 보관하는 방안을 법령에 명시하는 방안을 입법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금융거래 상대방의 정보와 권익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금융거래의 근거를 보존하는 의무를 조화롭게 수행하는 방안이 가능하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