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죠 야소(西条八十)의 <시와 음악 여행 (詩と音楽の旅)> 고찰 - 일본인 이민자와 <야마토 코로니 방문기>를 중심으로 -

        서재곤 일본어문학회 2024 일본어문학 Vol.105 No.-

        In this article, I analyse Yaso Saijo’s(1936) The Journey of Poetry and Music, which has been surveyed in connection with the Berlin Olympics, from the new perspective of Japanese immigrants and the issues relating to them. The analysis is centred around the materials about the encounters with Japanese immigrants on board and the visits to the Japanese colonies on the West Coast of America and the Yamato Colony. Unlike the ships heading to Europe, the ship heading to America was enveloped in a distinctive atmosphere created by Japanese immigrants to America, and this led Saijo to pay attention to their presence. Saijo participated in round tables with Japanese immigrants and delivered lectures for them. In so doing, he became aware of various issues that Japanese immigrants and their communities grappled with. In particular, through personal exchanges with second-generation immigrant women, he took a glimpse of the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of Japanese immigrants in America and the discrimination they faced in American society. After landing in America, Saijo changed his initial plan and visited the Japanese immigrant communities on the West Coast. This led him to realise the challenges of education and marriage for second-generation immigrants and the severity of the lack of successors.

      • KCI등재
      • 정상 및 병적상태의 말초신경 조직에 대한 Lectin의 결합에 관한 조직화학적 연구

        서재곤,최종상,이대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90 고려대 의대 잡지 Vol.27 No.1

        Lectins have been used extensively in the study of normal and pathologically altered cells. However, report of lectin binding to human peripheral nerves is hard to find and to establish whether lectin histochemistry could be applied to differentiate the normal and pathologically altered nerve tissues, a study using 9 lectins-Concanavalin A(Con-A), Dolichos biflorus agglutinin( DBA), Helix pomatia agglutinin( HPA), Maclura pomifera agglutinin(MPA), Peanut agglutinin(PNA), Ricinus communis agglutinin I( RCA-I), Soybean agglutinin(SBA), Ulex europaeus agglutinin I(UEA-I), and Wheat germ agglutinin( WGA) was performed. Tissues used were obtained from surgical specimens from patients with gastric ulcer, acute suppurative appendicitis, empyema of gallbladder, ischemic necrosis of jejunum, traumatic neuroma, neurilemmoma, and neurofibrom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Con-A, RCA-I, and WGA showed positive reactions onto normal, traumatic and proliferative nerve fibers and epineurium. 2. MPA showed positive reaction onto the epineurium of the normal and neurofibroma, the ganglion cells in the jejunum of ischemic necrosis. 3. Con- A, MPA, RCA-I, and WGA showed positive reaction to the ganglion cells.

      • 유골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

        서재곤,정광훈,양일순,Seo, Jai-Gon,Jung, Kwang-Hoon,Yang, Il-S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3

        목적: 유골골종의 진단 후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인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9년 7월부터 2001년 1월 사이에 임상소견 및 방사선 소견상 유골골종으로 진단 받고 저자들이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소 8개월에서 최장 2년 1개월로 평균 15.5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학적 검사로는 단순방사선촬영,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이 진단 및 병소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술 후에는 정기적인 단순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으로 추적관찰 하였다. 결과: 술 후 환자의 증상 소실은 7례의 환자에서 3일 이내에 완전 소실이 이루어 졌으며 평균 입원 기간은 1례의 화상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는 평균 2.4일 이었고 퇴원의 기준은 환자의 동통이 완전 소실된 이후로 하였다. 술 후 야간통 및 주간통 점수는 각각 평균 1.8점과 1.3점으로 이었다. 직업 활동 및 여가 활동의 점수도 각각 평균 1점과 0.6점이었다. 결론: 유골골종에 대하여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로 비교적 만족할 만한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이 시술은 기존의 고식적 방법으로 인한 입원기간의 증가, 술 후 골절 방지를 위한 내고정술 및 뼈 이식의 필요, 그리고 장기간의 고정으로 인한 관절운동의 장애 등의 합병증 없이 유골골종의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and radiographic follow-up results in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after the diagnosis of osteoid osteoma.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diagnosed with osteoid osteoma from July 1999 to January 2001, and received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5.5 months(range, 8~25 months). For the diagnosis and accurate localization of the lesion, simple radiograph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Simple radiographs and MRI were taken periodically for the follow-up studies. Results: In all 7 patients, symptoms completely disappeared within 3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average period of hospitalization was 2.4 days, excluding 1 patient who needed an additional burn treatment. The average postoperative night and day pain scores were 1.8 and 1.3, respectively. The average vocational and recreational activity scores were 1 and 0.6, respectively. Conclusions: Satisfactory functional results were obtained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for the elimination of osteoid osteoma. Compared to conventional treatment, the advantages of this therapy were short hospitalization period, no internal fixation and bone graft for preventing fracture, and no limitation of joint motion by long fixatio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萩原朔太郞硏究 - 1915年1月發表作を中心に -

        서재곤 일본어문학회 2003 일본어문학 Vol.21 No.-

        본 논문에서는 1915년 1월에 발표된 작품 중에서 「거북」,「국화」,「천상자살」을 중심으로 「정죄시편」의 작품세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시 「거북」에서 거북은 시공간의 영원성뿐만 아니라 「靈智」라는 변화하지 않는 진리도 상징하고 있었다. 朔太郞에 있어 「손」은 외부세계를 감지하고 교감하는 통로였다. 그 「손」을 통하여 「거북」을 감지하고 그 「거북」과 융화하여 하나가 됨으로서 시적 화자 자신도 영원한 존재로 승화하고 싶다는 바람에서 시가 쓰여졌다고 생각된다. 다시 말해서 시적 주체와 시정신, 시형이 삼위일체가 된 상태의 실현을 꿈꾸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시 「국화」는 朔太郞의 내부 심적 상태를 그린 작품이다. 스스로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욕망,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성적 욕망을 표현한 작품이다. 하지만 욕망의 대상인 「국화」와 외부와의 교감체인 「손」의 위상 변화(질환)때문에 그 욕망은 달성되지 않는다. 이 때, 금기를 어겼다는 인식으로부터 죄의식이 발생되었다고도 할 수 있으나 그 상태까지 발전하지는 않았다고 생각된다. 물론 「정죄시편」의 핵심이 죄의식이라는 점은 말할 것도 없다. 朔太郞의 죄의식은 자신의 내부에 있는 생명원을 스스로 파괴하였다는 것에 대한 참회로부터 생겨났다. 자신의 문학적 심미안을 가지고 파악한 것들을 작품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정신적인 범죄를 저지르고 스스로를 죄인으로 타락시킨다. 그리고 죄인으로서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용서받기를 기도하고 참회의 마지막 수단으로서 스스로 목매여 죽는 것까지도 생각한다. 시를 통하여 자신의 죄(범죄)를 용서받으려 한 것이 시 「천상자살」이다. 이제까지의 것들을 종합하면 감지한 것들을 문자화할 수 없어서 고민하고 있던 朔太郞이 돌파구로서 에레나와의 사이에서 일어난 사소한 트라블을 정신적 범죄로 확대 재생산한 것이 「정죄시편」이고 일련의 경위를 「초목간음」사건이라 이름지었다.

      • KCI등재

        萩原朔太郎と近代日本 - 同時代性を中心に -

        서재곤 일본어문학회 2011 일본어문학 Vol.52 No.-

        従来、萩原朔太郎は近代日本のアウトサイダー詩人として見られてき た。しかし、前橋のセセッション様式の書斎の斬新さ、また東京の工場地帯とその周辺の住宅街、アパートなどに顕著に見られる同時代の変化への敏感な反応、こういったものから、朔太郎は時代から外れたアウトサイダーではなくむしろ時代の最先端を走り、それを自らの言語空間の中に受容してきたことがわかる。本稿では、<時代のパイオニアとしての朔太郎像>を詩と日記、當時の資料分析を通じて明らかにし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