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판 다면적 성실성 척도(K-CCS)의 타당화 연구

        서자경,이기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Chernyshenko Conscientiousness Scale(K-CCS), a measure developed to assess six facets of conscientiousn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83 undergraduate students and 259 employees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evaluated to assess and validate the factorial structure of the scale, suggesting the five-factor structure(achievement striving, cautiousness, order, virtue and responsibility) with 30 items in result. Further analyses of conven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how that all five factor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IPIP Conscientiousness. Variation was also found between the facet scales with regard to criterion-related validity, which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each of the facet scales and performance-related outcome variables such as GPA, career decisiveness, career adaptabil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inally, incremental validity suggests that the total score of K-CCS explains career decisiveness, career adapt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bove and beyond the effect of the IPIP conscientiousnes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성실성에 속하는 전체 하위 구성개념들을 폭넓게 측정하는 Chernyshenko Conscientiousness Scale(Chernyshenko, 2002)을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하여 성실성의 하위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성실성과 학업 성취, 진로 준비, 직무 성취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서울 소재 대학생 283명과 만 35세 미만 직장인 259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0문항으로 구성된 5요인 구조(성취, 신중성, 질서, 도덕, 책임)를 확인하였다. 이후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K-CCS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기존 성격 5요인의 성실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K-CCS의 총점은 모든 성취 변인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으나, K-CCS의 하위요인들은 성취 변인에 따라 그 유의성 여부와 상관관계계수가 달라졌다. 이어서 증분 타당도 검증 단계에서 성격 5요인의 성실성을 통제한 후에도 K-CCS의 총점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적응성, 직장인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해 유의미한 증분설명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

        기혼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이 지속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고갈과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서자경,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emotional exhaustion and 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 perceptions (FSO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interfering with family (WIF) and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rried working mothers through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8 women who have children under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exhaus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IF and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and FSOP for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lso confirmed.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WIF on continuance commitment, the negative effects of WIF on continuance commitment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are alleviated when FSOP is highly perceived.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혼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Work Interfering with Family; WIF)과 지속적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고갈과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 인식(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 Perceptions; FSOP)의 역할을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직에 근무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자녀를 키우고 있는 기혼 취업모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가정 갈등과 지속적 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적 고갈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지속적 몰입에 대한 정서적 고갈과 FSOP의 상호작용효과 또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일->가정 갈등의 지속적 몰입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가정 갈등이 정서적 고갈을 통해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FSOP를 높게 인식하는 경우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의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Effects of Teaching Strategies according to Piagetian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김현재,서자경 한국과학교육학회 198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전조작 · 구체적 조작 단계)에 따른 자연과 개념획득에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첫째는 문헌연구를 통해서, Piaget의 인지이론을 기초로한 교육론과 개념학습을 위한 교수전략을 연구함으로써 전조작 단계의 어린이, 구체적 조작단계의 어린이에게는 연역적 교수전략보다 귀납적 교수전략이 더 효과적이며, 구체적 조작단계의 어린이에게는 초보적인 논리능력이 발달하므로 연역적 교수전략도 가능하며, 이 2가지의 인지단계가 복합돼 있는 국민학교 2학년 집단에게는 귀납적 교수전략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는 데에 이르렀다. 둘째로는 현장 실험연구로서 실제로 자연과 2학년의 한 단원을 연역 ·귀납의 교수전략의 단계에 맞추어 적응하였다.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에 따른 자연과 개념획득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탐색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조작 단계의 아동은 자연과 개념획득을 위해서는 연역적 교수전략보다 귀납적 교수전략이 더 효과적이다. 둘째, 구체적 조작단계의 아동에게는 자연과 개념획득을 위한 교수전략은 귀납적 교수전략이 효과적이지만, 연역적 교수전략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로써 국민학교 2학년 즉, 전조작 단계와 구체적 조작단계가 복합돼있는 집단에게는 연역적 교수전략 보다 귀납적 교수전략이 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 KCI등재

        채용 공고에 제시된 유리/불리 다양성 단서에 대한 남성과 여성 구직자의 반응 차이

        이태경,이혜원,서자경,유정,손영우 한국감성과학회 2023 감성과학 Vol.26 No.2

        지금껏 시행된 성별 다양성 정책의 목적은 주로 남성 중심으로 제도화된 차별적인 문화와 그로 인한 여성의 과소활용을 해소하기 위함이었다. 따라서 그동안의 성별 다양성 연구는 여성을 소수집단으로 전제하고 이들을 우대하는 성별 다양성 정책을 펼친 경우에만 집중되었다. 하지만 주류집단과 소수집단의 개념은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회에는 여성 중심적 직업군 역시 상당수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남성이 수혜자가 되는 다양성 정책에 대하여 남성과 여성 구직자가 각각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329명(남성 156명, 여성 173명)을 대상으로 2(성별: 남성, 여성) × 2(다양성: 유리, 불리)의 참가자 간 실험 설계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가상 기업의 신입사원 채용 공고에 제시된 다양성 단서를 보고, 해당 기업에 대한 조직 공정성 및 조직 매력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먼저 구직자들은 채용 공고에 제시된 다양성 단서가 본인에게 유리(vs. 불리)할 경우 성별에 따라 조직의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을 다르게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남성 구직자보다 여성 구직자가 채용 공고에서 본인에게 유리(vs. 불리)한 다양성 단서를 접하게 되었을 때 조직의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또, 다양성 단서와 조직 매력도의 관계를 조직 공정성 인식이 매개하였고, 이 매개효과가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다. 이때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성 단서와 조직 매력도의 관계에서 조직의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 인식을 통한 매개효과가 둘 다 유의하였으나, 남성의 경우에는 조직의 절차공정성 인식을 통한 매개효과만이 유의하였다. 이 결과는 같은 내용이나 수준의 다양성 관리라 하더라도 개인의 사회적 지위나 소속집단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며, 이로 인해 차별화된 태도 및 행동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데이터 분석 방법에 대한 테크노스트레스가 사회과학분야 대학원생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선 ( Hye-sun Lee ),서자경 ( Jakyung Seo ),( Zhou Nan ),조재희 ( Jaehee Cho ) 한국PR학회 2020 PR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actical ways to create a stable research and academic environment for graduate students in social sciences in Korea. Accordingly, this research examined how sub-dimensions of technostress related to data analysis methods would impact self-efficacy among social science graduate students and how social support from both professors and fellow graduate students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self-efficacy. Methods In order to explore the main research question and multiple hypotheses, self-administrated surveys were conducted at 7 universities in Seoul. In total 160 surveys from graduate stud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among the five sub-dimensions of techno-stress(techno-overload, techno-invasion, techno-complexity, techno-insecurity, techno-uncertainty), techno-complexity lowered the self-efficacy of graduate students. When the university's technical support was controlled, the professor's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but the coworker's social support had both a buffering effect and a reverse buffering effect. Conclusions The social support of fellow graduate students has a buffering effect on graduate students who feel weak techno-complexity about the data analysis method required for thesis. In other words, when the techno-complexity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in the social science field was minimized, the social support of fellow graduate students was found to alleviate the negative influ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oles of graduate school(organizations), professors(supervisors), and fellow graduate students who can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technostres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Patient Safety Culture and Speaking Up Among Health Care Workers

        Lee Seung Eun,Dahinten V. Susan,서자경,Park InYoung,Lee Mi Young,Han Hye Sung 한국간호과학회 2023 Asian Nursing Research Vol.17 No.1

        Purpose: Although previous research showed the importance of safety culture on health care workers' speaking up behaviors, it is not clear how particular safety culture domains are associated with the speaking up behaviors of hospital staff. Also,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health care workers’ speaking up behaviors vary by profession, but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into such differences. Thus,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promotive and prohibitive speaking up behaviors of health care workers by profess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two types of speaking up behavior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secondary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health care workers at a private, nonprofit, tertiary-level teaching hospital in South Korea. The sample (N ¼ 831) consisted of nurses (54.0%), physicians (13.0%), and other licensed and unlicensed hospital personnel (33.0%). Analyse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study variables by profess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even patient safety culture factors on promotive and prohibitive voice after controlling for tenure and profession. Results: Perceptions of safety culture and promotive voice behaviors were higher for physicians compared with nurses. Communication openness, reporting patient adverse events, and unit supervisors' and hospital managements’ support for patient safe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oth types of voice behaviors. Conclusion: Hospital administrators and unit managers should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where staff feel free to voice their concerns and suggestions. They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varying perspectives held by different groups of hospital workers and their different voice behaviors. Knowing which dimens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are most strongly related to health care workers’ voice behaviors can guide patient safety improvement activities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