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수학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현장 실태 조사

        김판수,서영서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실천하고 있는지 그실태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A광역시 소속의 초등학교 일반 교사 100명, 그리고 교육대학교 학부에서 수학교육 심화과정을 이수하였거나 또는 수학교육 대학원 석사 과정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 54명을 추가로 포함시켜 총 154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일반 교사집단, 수학교육 심화및전공 집단, 비심화및전공 집단으로 구분하여 일반 교사의 인식을 비롯하여세 집단간 차이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교육 및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세 집단 모두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수업에서 수학과 교육과정을 참조하는 빈도도 모든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 교과서에 있는 특화된 차시인 단원 도입, 단원 평가, 문제해결 차시에 대한 재구성은다양했다. 단원 도입 차시는 대다수가 내용을 생략하거나 압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서안내대로 수업하는 교사의 비율은 12%에 불과하였다. 그에 비해 단원 평가는 내용을 추가하는반응이 가장 높았고, 문제해결 차시는 지도서 안내대로 지도한다는 반응이 가장 높았다. 셋째,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을 묻는 문항에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에 반응한 교사가 75%로 나타났다. 다수의 교사가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수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빈도는 월 1∼2회가 가장 많았다. 넷째, 초등수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이유에 대해서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위해서’가 1순위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학습 내용의 과다/과소’, 그리고 ‘효과적이라 생각하는나만의 수업 방법 때문에’이라는 것을 선택하였다. 다섯째, 수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영역으로는 수와 연산, 도형, 자료와 가능성 순이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소수가 반응하였다. 재구성에서 고려하는 가장 큰 요인은 ‘학습에 대한 흥미와관심’으로 영역과 무관하게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그다음 요인은 영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and practice mathematics curriculum reconstruction. To this end, 100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A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In addition, 54 additional teachers who completed an advanced math education course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or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in mathematics education were selected to study a total of 154 people.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hree groups, that is, general teacher groups, deepening and major groups, and non-deepening and major group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are as follows. First, interest in math education and mathematics curriculum was found to be quite high in all three groups. It was also very high in the general teacher group referring to the curriculum in math classes. Second,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introduction of unit, unit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session, which are specialized in mathematics textbooks, was different.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introduction of the unit omitted or compressed the contents. The percentage of teachers teaching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was 12%. On the other hand, the unit evaluation had the highest rate of adding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problem-solving was guided according to the guidebook. Third, 75% of teachers responded to ‘yes’ and ‘very yes’ to the question of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mathematics and curriculum, and the rest were not.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teachers reorganizing mathematics and curriculum was the most common once or twice a month. Fourth, the areas that reconstruct the mathematics and curriculum are in the order of numbers and calculations, shapes, data and possibilities, and a small number responded in the rest of the areas. As the first factor considered in the reconstruction, 'interest and interest in learning'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ponses regardless of the area. Fifth, as for the main reason for reorganizing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r interest and interest in math learning’ was the top priority. Next, ‘excess of learning content' and ‘because of my own teaching method that I think is effective' were selected.

      • KCI등재

        설계 의도에 따른 종로구 통의동 브릭웰의 이용자 행태 분석 연구

        이유림,조방,서영서,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1

        Brickwell, located in Tongui-dong, Jongno-gu, use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called ‘Ground Seesaw’, is a place visited by many people by sharing exhibition information through SNS. Baeksongteo, located adjacent to Brickwell, is also visited by many people through a program called ‘Sejong Seochon Village Tour’.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esign concepts between designers and user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space called Brickwell through precedent studies on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void spaces, historic green spaces, complex cultural spaces, and connection with adjacent green spaces, three methods: survey, interview, and behavioral observation by conduct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design intent and us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users of Brickwell and Baeksongteo was not large, and the most frequent exhibition visitor for the purpose of visiting had a high frequency of using cafes after visiting Brickwell. Through an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ot a few users who know the historical meaning of Baeksongteo and are looking for it.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e study, such as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target site, the limitation of spatial guidelines, and the indirect investigation of design concep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er and the user and whether the design intention is communicated. ‘그라운드시소’라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서울시 종로구 통의동에 위치한 브릭웰은 SNS를 통해전시정보를 공유하여 많은 이들이 방문하고 있는 곳이다. 브릭웰과 인접하여 위치한 백송터도 ‘세종 서촌마을투어’라는 프로그램으로 많은 이들이 찾는 곳이다. 본 연구는 설계자와 이용자 간의 설계개념에 관한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로서 공간 이용행태를 통해설계의도와 이용자의 연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이드 공간의 형태와 특성, 역사성이 담긴 녹지공간, 복합문화공간, 인접 녹지와 연계성에 관한 선례연구를 통해 브릭웰이라는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설문조사, 인터뷰, 행태관찰 등 3가지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설계의도와 이용자의 연계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브릭웰의 이용자와 백송터 간의 연계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 목적에서 가장빈도수가 높았던 전시관람 이용자는 브릭웰 방문 후카페 이용으로 이어지는 빈도가 높았다. 인터뷰를 통해 백송터의 역사적 의미를 알고 방문하는 이용자들이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나, 개별 공간에 대한 설계개념 전달 노력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의 제한성, 공간 지침상의 한계, 설계개념의 간접적 조사 등에 관한 연구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설계자와 이용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설계의도의 전달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것은 이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