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보윤리 강사교육에서 개인의 배경 특성이 교육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서순식,박종선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2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or participants in Information-Ethics Educati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attendance. This study was based on a survey of 339 participants who had attended Information-Ethics Education courses for instructors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stitute,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KADO). The focus was on how each participant's background influenced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the specific factors that related to each motivational factor.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After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in the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it was found that gender, education level and maj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must be considered. Designing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corresponding motivations are essential. 이 연구의 목적은 역기능 문제를 대응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보윤리 강사교육 참여자들의 참여동기와 개인적 배경 특성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보윤리 강사교육 프로그램 수료자 339명을 대상으로 교육참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배경 특성 요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결과교육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참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학위, 전공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보윤리 강사교육 참여자의 개인적 배경 변인과 참여동기의 파악이 중요하며, 이를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자학습(e-러닝)에서 학생들의 학습 촉진을 위한 메시지 제시 전략 탐구

        서순식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미래교육학연구 Vol.19 No.2

        전자학습(e-러닝)은 정보통신네트워킹에 의해 창조되는 전자공간을 기반으로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교육체제이며, 면대면 교수학습 상황과는 구별되는 고유한 상징체계(symbol system)를 갖는다. 전자학습체제의 화면설계를 위해서는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필수적인 학습내용을 선정하고, 학습자ㆍ교수자간에 개별화된 상호작용을 위한 전략을 고안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정보처리이론에 근간을 둔 전자학습 콘텐츠 설계 및 개발 전략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자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인지활동을 촉진하고 깊은 수준의 이해 촉진을 위해서 어떻게 학습콘텐츠를 설계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e-Learning delivered through the cyber space is a new educational system and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ffline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nesses of the offline education, such as lack of individualized interaction, and to offer effective learning contexts, this paper introduce the six strategies for designing the interface of e-Learning program. The strategies are below: 1. Applying the multimedia principle: use words and graphics rather than words alone; 2. Applying the contiguity principle: place corresponding words and graphics near each other; 3. Applying the modality principles: present words as audio narration rather than on-screen text; 4. Applying the redundancy principles: presenting words in both text and audio narration can hurt learning; 5. Applying the coherence principle: adding interesting material can hurt learning; 6. Applying the personalization principles: use Conversational Style. In this paper,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best use of media elements, such as sound, graphics, and text are summarized. Also, the discussion of the specific implications to design and develop e-Learning contents based on information-processing theory are described.

      • KCI등재

        초·중등 공교육에서의 교육정보 공유 및 유통 방안

        서순식,김성완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3

        정보사회에서 공교육 기관인 학교는 사회의 공기(公器)로서 개인의 능력 육성 및 인류 사회가 축적해온 귀중한 지적 성취를 대물림해 주는 전수자로서, 또한 교육 기회의 평등을 유지하는 균형자로서 그 존재 가치를 선취해야 한다. 그럼에도 공교육 기관의 교수학습 질의 수월성에 대한 사회계층의 기대와 우려가 팽배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별 교사들의 교수방법 및 교수자료 등 우수한 교육정보의 공유 및 유통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정보 서비스의 공유 및 유통과 관련된 최근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정보화 선도 교사들을 대상으로 집단토론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Web 2.0의 패러다임을 적용한 교육정보 공유·유통체제의 구축 및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It is required that public schools in information society should act as a balancer between th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development of the personal capacity. However, public schools have faced a situation to be blamed and praised by social parties concer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al excelle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conceptual ideas for sharing & delivery system of educational information, which is based on the paradigm of web 2.0 characterized as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To do it, we analyzed the recent technological trends and took a group discussion with leading teachers in educational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아세안 고등교육 이러닝 수준 도구 개발 및 진단

        서순식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현장수업연구 Vol.1 No.2

        이 연구는 아세안(ASEAN) 회원국의 이러닝 준비도 및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아세안 각국의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 설립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닝 준비도, 성숙도 등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 및 종합함으로써 이러닝 수준 진단 모형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2차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핵심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였고, 아세안 회원국의 교육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대학들을 대상으로 구글폼 온라인 설문과 엑셀파일 형식의 설문 조사를 병행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세안 회원국 10개국의 이러닝 준비도 및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최종 진단 모형은 정책(비전 및 계획, 법 규정, 조직, 예산), 인프라(ICT 접근성, ICT 이용도, ICT 활용능력), 학습자원(디지털 학습자원 및 커리큘럼), 사회·경제·문화적 환경, 이러닝 활용 등 총 5개 영역, 50개 핵심지표로 구성된 진단지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아세안 10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고등교육 이러닝 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를 각국 이러닝 수준이 명료하게 비교될 수 있는 영역인 인프라,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 설립 결정 및 운영 과정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의 성공을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정책, ICT 인프라, 학습자원, 사회·경제·문화적 환경, 이러닝 운영현황 등 다양한 영역들이 충분히 통합적, 체제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 설립유형이나 운영방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각국의 ICT 활용 경향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의 궁극적인 성공은 ‘교육적 측면’을 얼마나 심도있고 폭넓게 고민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diagnostic model of e-learning preparedness, that is, an evaluation model which is suitable for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ASEAN countries (Brunei, Cambodia, Indonesia, Laos, Malaysia, Myanmar, Philippines, Singapore, Thailand and Vietnam). For the data collection, both online questionnaire and Microsoft Office Excel files were developed and used for the ASEAN Member Ministry of Education, online and offline universities. 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e-learning present status of each country, information such as basic infrastructure, digital economy and labor market were collected and actively utilized by UNESCO, the World Bank,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TU.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al diagnostic model for measuring e-Learning preparedness in 10 ASEAN member countries is composed of 5 constructs including policy (vision and planning, legal regulations, organization, budget), infrastructure (ICT access, ICT use, ICT skills), learning resources (digital learning resources and curriculum), socio-economic & cultural environment, and e-learning utilization, as well as 44 core indicators. The main results of the survey in the area of infrastructure and socio-economic & cultural environment where e-learning status in 10 ASEAN countries can be clearly compared with each other.

      • KCI등재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활용 탐색

        서순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2

        이 연구는 초․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혁신확산모형에서 제안하는 혁신 속성 변인들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의 수용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정보기술수용모형(TAM)을 보다 확장된 모형으로 제안하고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찰가능성, 적합성, 주관적 규범을 외생변인으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사용의도를 내생변인으로 설정하는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관찰가능성, 적합성, 주관적 규범은 교사의 디지털교과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외재적 변인이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은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d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to propose and validate a revis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study was grounded in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the attribute factors proposed in the theory were used in the model. More specifically, observability, compatibility, and subjective norms were proposed as external factors and usefulness, easy of use, intention to use were proposed as internal factors in the proposed model. It was found that (a) observability, compatibility, and subjective norms were the main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teachers’ intention to use digital textbook and (b) the revised TAM was validated.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순식,서정희,황소희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3

        문제해결력은 21세기를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21st Century Skills) 또는 생애 능력(Life Competency) 중 핵심 역량이며, 2009년부터 적용되는 개정교육과정에서도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 디지털 사회에서 대안 교과서로 제안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의 영향력을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사용과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 경험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 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와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을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두 개의 독립 변수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지 판단하고자 이원 분산분석과 학생 면담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집단이 사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문제해결력이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을 처치한 것이 처치하지 않은 것보다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교과서 사용과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 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수 설계에서 교사들의 교수행위에 대한 고려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Problem solving competency has always been a prime issue in education, and it is defined as core skills of a life competency or as 21st century skills that students need to successfully learn.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scope and impact of digital textbooks on students’ competencies. This study also examines meaningful differences brought about using digital textbooks and taking lessons specifically adapted to improve 5th grade student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dopted and a performance-based measurement tool for problem solving competency was developed and appli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lasses using digital textbooks achieved higher scores in problem solving competency. Also, a lesson that was specifically adapted with the aim to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chievement. Moreover, there was reciprocal influence between using digital textbooks and adapting instructions to impro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conclusion, the effect of digital textbooks should be discussed further while also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strategies.

      • KCI등재후보

        SWEET 사업 참여 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관심단계 분석

        서순식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4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ages of Concern for the acceptance of SW education by pre-service teachers. After conducting a study of a total of 115 subject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terest profile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combination of the profile of positive non-users and the profile with high interest in the operation. Additionally,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gender, grade, major, and teacher training university software education (SWEET) project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Furthermo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grade and SWEET project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 KCI등재

        교육CEO의 직무별 정보활용 역량 진단도구 개발

        서순식,장윤정,김현덕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2

        교원은 정보화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신의 직무와 직급에 따라 정보활용 역량을 지속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교원이 정보활용 역량 구축을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화 연수과정을 선택 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정보활용능력 기준제시가 필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정보활용능력 평가와 기준들은 정보통신기술의 소양 수준을 측정하는데 머물고 있어 교원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활용능력의 충족 정도를 진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단위 학교의 관리자로서 교육 정보화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교육CEO1)의 정보활용 역량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CEO가 수행하는 직무(job), 임무(duty), 과업 (task)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CEO의 직무를 ①학교 발전의 비전제시, ②교수․학습 지원, ③조직과 자원의 관리, ④대외협력의 4가지 영역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4가지 직무영역을 기준으로 선행 연구 결과를 유목화 하여 임무, 과업을 도출하였고, 직무에 따른 임무, 과업별로 관련된 ISST 요소를 결합하여 직무-ISST 이원분류표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CEO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활용능력 수준을 자가 진단할 수 있는 63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Teachers should actively maintain and improve their ICT competency in today's ever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A standardized system should now be developed to assist educators when choosing courses to improve their ICT competency. Previous ICT competency studies have only measured one's current ICT abilities rather than analyzing the skills necessary for educators to be successful in the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developed an assessment tool to measure the ICT competency levels of CEOs who have the potential to be the decision makers in ICT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e jobs, duties, and tasks of educational CEOs were analyzed against the ICT Skills Standards for Teachers to determine which ICT skills are required by educational CEOs. Sixty-three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this analysis, guiding educational CEOs in the determination of their own ICT skills level.

      • KCI등재

        초등학생의 e-러닝 학습전략 요인 분석

        서순식,조나영,서원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4

        이 연구는 e-러닝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학습전략의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에게 효과적인 e-러닝 학습전략의 구조 변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기존에 e-러닝 수강 경험이 있거나 현재 e-러닝을 수강하는 수도권 소재 초등학생들이며, 면대면 학습 상황과 e-러닝 학습상황의 학습전략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학습전략 검사 도구를 분석하여 e-러닝 환경에서 초등학생이 사용하는 학습전략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e-러닝 학습전략은 학습활동전략, 학습태도전략, 자원활용전략, 계획전략, 과부하관리전략의 다섯 가지로 규명되었으며, 각 전략은 제시한 순서대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rategy, one of the predictor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and to define the factors of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ceding studies on face-to-face strategy and e-learning strategy, and existing face-to-face and e-learning strategy test sheets were analyzed. Questions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to make clear the area of leaning strategies us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and to analyze the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the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hown in five areas including strategy for learning activity, strategy for learning attitude, resource use strategy, planning strategy, and overload management strategy. It was found that five strategy areas have explanatory power in the order of strategy for learning activity, strategy for learning attitude, resource use strategy, planning strategy, and overload management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