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전 (新字典)의 복수 자석 연구

        서수백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硏究 Vol.- No.10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lural Chinese character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hinjajeon (1915). Korean scholar Lee In-seung and Korean language scholars Ju si-kyung and Kim Du-bong contributed to the writing. In addition to Chinese characters from the previous period, Similar Chinese characters were presented, or various part-of-speech Chinese character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ntextual usage. One Chinese characters with the same meaning was suggested in the Hunmongjahoe , Juhaecheonjamun , Jaryujuseok , JajeonSeokyo . By the way, there are 82 Title Chinese characters in which 2~7 Chinese characters are presented in the Shinjajeon . The plural Chinese characters of Shinjajeon are divided into very detailed meaning Chinese characters of Jeonwoonokpeon , and each Korean Chinese characters is attached. also similar Chinese characters were presented, or various part-of-speech Chinese characters were presented. Shinjajeon is an invaluable document as an essential source for our study of lexical history, lexicography, and translatio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쓰기 오류 분석-학부 재학 유학생 백일장 작문을 대상으로-

        서수백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language by analyzing errors in Korean writing of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reflect the result to the Korean education and use it as educational materials. The errors revealed in the essays at the writing contest might exist from the training period of Korean language, so it can be considered as fossilization. Errors in morphosyntax and lexical semantics have been analyzed, which mos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a hard time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s should have more grammatical knowledge in Korean language. It is essential for the students to learn a writing style of Korean and advance knowledge in the morphosyntax which help them adjust to university writing mostly consisting of a written style. The educational practice should also help the learners understand morphosyntac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excercise correct grammatical expressions and the writing style in their essays through the analysis of sentence structure and the use of chunk based teaching · learning methods. Moreover, more educational programs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with academic purposes improve their Korean skills and adapt to university writing. Accordingly, it can prevent the learners from making errors and improve their Korean skills when the teaching · learning of Korean language is provided to both before and after their university admission. 이 연구는 대학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쓰기 오류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수·학습 상황을 점검하고 이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 서 실질적인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데 있다. 유학생들의 백일장 작문에 나타나는 오류는 한국어 연수 기간에서부터 이어져 온 오류일 가능성이 커 오류의 화석화 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 47편, 1,269문장의 분석 대상 자료에는 많은 형태·통사론적 오류와 어휘·의미론적 오류로 문맥 이해가 매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분석의 결과에서, 학문 목적의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법적 지식 습득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문어체 글쓰기가 대부분인 대학 글쓰기에 적응할 수 있도록 문체 연습과 한국어의 형태·통사론적 지식 습득이 필요하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문장의 구조 분석, 덩어리(Chunk) 교수·학습을 통해 한국어의 형태 통사적 특징을 이해하고 바른 어법 표현 연습, 문체 연습 등의 교수 비중을 높여야 한다. 또한 학문 목적의 학습자들이 입학 후에도 한국어 사용 능력이 향상되고 대학 글쓰기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유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이 계속 마련되어야 한다. 대학 입학 전후의 한국어 교수·학습이 분리되지 않고 연계되어야만 학습자 오류를 방지하고 숙달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고전 읽기 수업 운영 사례 연구

        서수백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硏究 Vol.- No.91

        The purpose of this Study show operation case reading and discussion class in A university. Reading and discussion class in A university begins from year 2019. This class of main activities is Reading classic and discuss about the book. it is learner centraled class. It is a liberal arts compulsory subject that every term open thirty or more class and member of a class is fifty to sixty persons. The aim of this class improve learner’s thinking faculty and power of expression. but this class restricted by time operat two hour once a week. Use an 『Noneo』, 『Mokminsimseo』, 『Brave New World』for teaching materials in class. The course of a class is lecture, reading note, express view, discussion, non curriculum program. Analysis these in order to indicate fruit and improvement of class in study. The value of Classic reading and discussio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y. It is connects with social ability. Therefore Classic reading and discussion education have to spread more than now. variety of Classic reading class case analysis is foundation for them. 본고는 대구가톨릭대학의 ‘독서와토론’ 교과 운영 사례를 제시 하는 것이다. 대구가톨릭대학의 ‘독서와토론’ 교과는 2019학년도부터 시행된 교과로 고전을 읽고 토론하는 것을 중점 활동으로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다. 매학기 30개 이상의 분반이 개설되는 이 수업은 수강생이 50~60명이 되는 교양필수 교과이다. 1주 1회 2시수로 ‘독서와토론’ 수업을 운영해야 하는 물리적 제약이 있지만 독서 활동을 기반으로 사고력과 표현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교과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대구가톨릭대학의 ‘독서와토론’ 수업은 『논어』, 『목민심서』, 『멋진 신세계』 3권을 주교재로 하여 강의, 독서노트, 글쓰기, 발표와 토론, 수업 연계 비교과프로그램 등을 주요 과정으로 운영된다. 이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본 수업의 성과와 개선점을 짚어 보고자 한다.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 읽기와 토론의 위상은 취업률을 대학 존재의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시대적 상황에서 대학의 본질을 회복하고 참인재를 길러 내고자 하는 대학의 실천의지에서 비롯되었다. 고전독서를 통해 길러진 인문학적 소양은 취업에서도 발휘될 것이며 이는 사회적 역량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대학 고전 교육은 더욱 구체적으로 실천되고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고전 읽기 수업 사례 분석은 그 토대가 된다.

      • KCI등재

        대학생 작문 분석 기반 글쓰기 교육 연구- 대학생 서평 작문 분석을 대상으로 -

        서수백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硏究 Vol.-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ook review composition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nd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 this begin from need writing ability communication with readers in social writing angle. first analysis of learners’ needs about writing and grip of the situation by Book review compositio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this process need for preparation effective teaching method. Analysis result, extremely much showed writing like reading report. except there are problems writing like impressions of a book, writing like interpretations by simple concept about a book, wrong expression on book review, writing meaning ambiguously by long sentence. This study suggest group genre example composition analysis activity as a effective teaching method. this for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genre rather than writing. students speak own views freely form and substance of example composition after learning book review theory. students will improve have an eye for composition through this activity. 본고는 글쓰기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 분석과 서평 작문 분석 을 통해 대학생들의 글쓰기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 방법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은 글쓰기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를 알아보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다. 학생들은 작문 제출을 하면서 자신의 글에서 보완하고 싶은 점이 무엇인지, 글쓰기 전반에서 익히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적는다. 이것은 본격적인 작문 분석과 함께 학습자의 글쓰기 태도를 진단하고 개선의 방향을 알려 주며, 교육의 방향을 잡아가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된다. 학습자 요구로는 장르에 부합한 글쓰기를 비롯해 인상적인 제목 쓰기, 소통되는 글쓰기, 올바른 문장 쓰기와 단락 구분 등의 내용이 있었다. 대학생 서평 작문 분석 결과, 가장 많이 나타나는 특성은 도서의 줄거리, 저자 등 정보의 단순 나열과 인용이 주된 독서보고서식 쓰기 양상이었다. 그 외 독후감상문식 쓰기, 도서 내용에 대한 피상적 해석의 쓰기, 서평 장르 어법에 맞지 않는 쓰기, 지나친 장문으로 모호한 의미의 글쓰기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짚고 본고에서는 효과적인 글쓰기 수업 방법으로 ‘그룹별 작문 분석 활동’을 강조한다. 이는 장르 인식을 우선으로 하면서 글의 형식과 내용에 관해 자유롭게 분석 활동을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소통의 글쓰기능력을 키우고 글을 보는 안목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