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자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다중매개효과

        서수경,서현아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2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유아의 정신건강 사이에서 어머니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가지는 다중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B시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 280명, 유아 어머니 2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2.2.5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드러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신건강은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정신건강은 유아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인지적 공감은 유아의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이 없으나 정서적 공감은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유아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유아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유아의 정신건강을 담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정서적 공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유아 정신건강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과 관련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포스트모던 가족" 담론과 한국 가족의 변화

        서수경 대한가정학회 200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0 No.5

        In this paper I win try to analyze some studies about the 'Postmodern Family' in Western countries. I will try to find out, above all in Western countries, how much the concepts "Plurality", "Individuality", "Deinstitutionalisation" "Relation" and "Postmodernism" are linked to each other. Also the 'Postmodern Family' concept is an interesting topic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recent changes and in future in the Korean family. In this paper I will try to explain the Korean family change with the concept and phenomenon 'Postmodern Family'. The discussion about the 'Postmodern Family' will provide much stimulus for the Korean family research area. Also this discussion about 'Postmodern Family' for the recent Korean family research will be an important attempt to give a new light in studying the Korean modern family.

      • KCI등재후보

        제 3세대 뮤지엄 공간구성 특성 연구

        서수경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1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33

        Since the modern era until recent, museum architecture's concept types can be explained and divided into 3 different generations. Among those 3 generations, the 3rd generation in museum architecture can be defined as the period of "pluralism";a period which space configuration and architectural solution bonds closer than ever. The 3rd Generation in museum architecture provides easy accessability for public visitors and has characteristics of having various functions to serve as a culture complex, and also with versatility in space configuration. But the most unique development of the 3rd Generation Museum is that those museums have considered its form and function away from conventional characters. 3rd generation museums show freedom in its architectural expression and fits into needs of the society and public interest. In other words, these museums have evolved toward the public's need on museum function as multi-cultural complex and to become a large public space.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various museums in the 3rd Generation in museum architecture and it will analyze and summarize its period's characteristics which will be a valuable study to find upcoming concept and space configuration direction for the future generation in museum architecture. In chapter 2, explanation of the period as well as defining of the period's characteristics on space configuration, and in chapter 3, focus of the analysis will be on 3rd generation museum architecture to give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the last chapter will make conclusion as well as suggestion for the future.

      • KCI등재

        근대 모성담론을 통해 본 한국 가족정책의 방향

        서수경 대한가정학회 200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iscourses about modern motherhood in Western and Korean society in order to find a new basis for the family policy. The general view that motherhood is merely natural ceased to be valid since the early 1980ties. Nowadays one is rather inclined to define motherhood as a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fact which goes far beyond the biological dimensions. The concept of motherhood which has been useful to fulfil the industralisation in the modern times cannot be applied to the changed world of our times. The family policy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women must not start from the modern motherhood ideology but from the context of the changed life of woman in our times.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timulating the discourse about the family policy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nged living conditions.

      • KCI등재

        발달장애유아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양육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서수경,홍순옥 인문사회 21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meta-emotional philosophy, mother-children communication perception, and parenting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4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term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spect to a direct influence of meta-emotional philosophy and parenting efficacy, empathetic acceptance, oppressive attitude and supportive belief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arental efficacy, but perceptive sensitiv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 Second, in respect to a direct influence of meta-emotional philosophy and mother-children communication, empathetic acceptance, oppressive attitude, perceptive sensitivity and supportive belief had a positive effect on mother-children communication. Third, communication with children perceived by mot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arenting efficacy. There was a partially mediative effect between empathetic acceptance, oppressive attitude and supportive belief in mother-children communication and parenting efficacy, and a complete mediative effect between perceptive sensitivity and parenting efficacy.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발달장애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14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상위정서철학과 모-자녀간 의사소통 지각 및 양육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정서철학의 공감적 수용, 억압적 태도, 지지적 신념은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위정서철학의 공감적 수용, 억압적태도, 자각민감성, 지지적 신념은 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고, 모-자녀간 의사소통은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자녀간 의사소통은 공감적 수용, 억압적 태도, 지지적 신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자각민감성과 양육효능감 간에는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발달장애유아에게 중요한 정서사회화에서 어머니의 정서에 대한 신념체계가 유효성을 갖는다는 점과 함께, 어머니들이 긍정적 의사소통 경험을 통해 양육효능감을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서적 차원의 양육신념에 대한 실재적 확신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