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최인훈의 「가면고」에 나타난 예술가의 정체성

        서세림(Seo, Serim)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본고는 최인훈의 중편소설 「가면고」(1960)에 나타난 예술가의 정체성과 불교적 구도(求道)의 연관 및 시민성의 문제에 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0년에 발표된 「가면고」는 「그레이구락부 전말기」, 「라울전」 등과 함께 최인훈의 초기 소설에 속하는데, 특히 1950년대 전쟁 전후의 삶을 면밀히 비교, 성찰하며 작가 특유의 관념적 세계관으로 해석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사랑을 통한 구원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자아 완성으로 분석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그러한 사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타자들의 재현에 대한 작가적 고민과 예술가적 정체성에 관한 탐색이 작품의 중요한 주제의식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가면고」의 주인공 ‘민’을 둘러싼 삼중서사에서 결국 궁극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사랑의 필요인데, 그것이 왜 이야기되어야만 하는가가 이 작품의 독해를 위해서는 중요한 부분이다. 예술적 완성에 이르기 위한 길, 그러면서도 타자에 이를 수 있는 길, 또한 시대의 요청과 공명하는 길을 찾아야만 한다는 데에 ‘민’의 삼중고가 있다. 이 과정에서 민은 계속해서 자신의 강렬한 자의식이 현실 및 타자들과 부딪혀 파열음을 내는 것을 목격하고 그것은 민의 삶에 의문을 추가하는 형식으로 누적된다. 민의 최면 속 서사에서 ‘다문고’ 왕자의 목적은 자신의 내적 만족에 이르는 것, 즉 자기 완성에 이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도 완성을 통한 무엇인가의 ‘추구’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민과 동일하다. 그렇다면 그것은 무엇을 향한 추구인가를 확인하고 그것이 1960년의 상황에서 발표되어야 했던 필요에 대해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사랑을 통한 구원이라는 정리에서 더 나아가, 전쟁으로 황폐해진 타자성의 온전한 인식과 복구를 위한 예술가적 정체성과 시민성의 탐구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보다 확실히 증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세계의 대상과 타자들의 재현성에 대한 주인공 ‘민’의 고민은 전쟁 직후 한국 사회에서의 폭력적 현실과 공허가 예술과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한 작가적 문제제기에 해당한다. 타자의 진정한 존재성을 인정하지 않는 나르시시즘적 태도로 일관하는 ‘민’과 ‘다문고’ 왕자는 각각 예술가적 정체성과 불교적 구도(求道)의 고통을 통해 진정한 타자성을 탐색해야 한다는 성찰을 수반한다. This paper examined artistic identity and citizenship of Choi In-hun appearing in his novelette Gamyeongo. Gamyeongo published in 1960 belongs to his early novels together with The Square and Rauljeon. It closely compared and introspected life during the 1950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nd interpreted such life with his unique conceptual world-view. This work has been analyzed centered on redemption through love and self-completion.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viewed that the author’s agonies about the representativeness of others in the process of reaching love and the resulting conclusion—thoughts about solidarity and citizenship—formed the work’s important thematic consciousness. What is emphasized in the triple narrative with the progenitor “Min” at the center is the need of love, and why it should be discussed is important. Min’s triple distress is that he should find a path to artistic perfection, a path that can reach others, and a path that resonates the demands by the era. In this process, Min come to have questions about life while continuously experiencing strong self-consciousness and collision with others. The goal of Prince “Damungo” in Min’s narrative when he is under hypnosis appears to reach his intern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self-perfection, but in fact Damungo is the same as Min in that his pursuit of something through such perfection is important. To Choi In-hun, solidarity and awareness about citizenship was important for restoration of otherness devastated by the War. In this process, Progenitor Min’s agony about representativeness of the subjects of the world and others amounts to Choi’s presentation of problems with the violent reality in the Korean society and relationship between emptiness and arts. Min and Prince Damungo who are consistent with narcissistic attitudes of not recognizing others’ genuine existences get to realize that they should explore solidarity with genuine others and citizenship through artistic identity and Buddhist enlightenment, respectively.

      • KCI등재

        탈북 작가 김유경 소설에 나타난 모성 인식

        서세림(Seo, Ser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 현대소설연구 Vol.- No.82

        In this article, we discussed the perception of maternal love in the novel of Kim Yu-gyeong, a North Korean defector. Kim Yu-gyeong is the most outstanding writer of North Korean defector-turned-writers who began to emerge anew since the 2000s. She published her first full-length novel, Love Song of the Young, in 2012, and published her second full-length novel in 2016, continuing her career centered on full-length novels.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increased a lot since the mid-to late 1990s when the country was on a march of hardship.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presentations of works by North Korean defectors has increased little by little, and the concept of North Korean defector literature has been discussed in earnest. Accordingly, there should be more discussions on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article focused on Kim Yu-gyeongs work, which reveals both her identity as a North Korean defector and her concerns. Motherhood is important, especially in both of her two works. In this process, the fundamental problem of human death and motherhood is closely related. The impact of the special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or inmates in political prison camps o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maternal love is deeply related to the division of our societ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North Korean defector diaspora. A Study on Kim Yu-gyeong’s Novel Based on the Perception of Maternal Love by the Female. At the same time, we looked at how the most fundamental issue of love and death is being shaped in the life of diaspora, a North Korean defector who crosses the border.

      • KCI등재

        재난 서사와 사랑 담론 - 201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서세림 ( Seo Serim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0 사이 Vol.29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trends and significance of romantic discourse that appears in disaster narratives in Korean novels. Discourses on disaster narratives merit attention in this time of the COVID-19 pandemic. In human history, disaster has not been a rare happening, but perceptions of and responses to a disaster continue to evolve. Similarly, literary approach to disaster continues to expand its boundary, oscillating between familiarity and strangeness. And this continues to have a meaning as an important realm for literary percep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trend of disaster narratives that appear in recent Korean novels written in the 2010s, focusing on romantic discourse in particular. To this end, three full-length novels―Date Missing by Chang Eunjin, Toward Where the Sun Sets by Choi Jinyoung, Happy Apocalypse! by Baek Minseok―to analyze the meaning of romantic discourse present in disaster narratives. All three stories deviate from an attempt to easily remedy an unexpected situation of disaster through presence and sacrifice of a hero. Instead they portray characters that constantly agonize over dark reality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and look for ways forward. It is quite interesting as such agony closely reflects the reality of the 2010s. In all three works, a romantic discourse is eventually the key motive for a philosophical exploration over how one can be rescued from a disaster-stricken ruins of a life. An old premise that love opens one to an experience of a new world seems valid even in a peculiar circumstance provided in a disaster narrative. In the novels, people in love view the world differently from others even when faced with a disaster. In all three novels, characters that are capable of forming a world for ‘two’ people instead of for ‘one’ person pose significance as they choose to no longer stay in one’s old world.

      • KCI등재

        1950년대 김수영 시의 공간 인식과 후각의 관련성

        서세림 ( Seo¸ Se-r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3

        본고에서는 공간과 후각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어 1950년대 김수영 시에 대해 논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사를 기억하는 공간과 상실의 냄새에 대한 시 「더러운 향로」, 「사무실」, 「국립도서관」 등의 작품들을 주목하였다. 김수영이 살았던 한국 현대사의 질곡과 그의 시에 나타난 공간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에 따라 김수영 시에 나타난 공간 인식의 문제는 주요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그의 시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감각의 관계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시각과 청각의 감각에 집중해 왔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시각적 체제에 대한 집중에서 나아가 후각의 체계가 공간 인식과 맺고 있는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간은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생활의 범위에 의거한 감각의 산물이다. 현대의 시각체제는 보는 행위가 물질적 배치에 의해 공간을 사회문화적으로 구조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시각체제가 대상을 바르게 보는 유일한 견해로 여겨졌다. 이때 발생하는 문제가 후각 등에 대한 감각의 통제이다. 인간이 서점, 다방, 식당, 도서관, 방, 마당, 거리 등 특정한 공간에 들어섰을 때, 불시에 닥쳐오는 것이 공간의 냄새이다. 그것은 공간의 정체를 제대로 파악하기 전에 인식될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냄새가 나지 않는 시적 대상은 그 실재성을 결여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후각이라는 감각과 그것을 통한 공간 인식의 과정은, 시인이 시대의 현실을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매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사회의 의미 있는 여러 공간들을 방문한 시적 화자가 그러한 냄새가 촉발한 후각적 인식에 대하여 성찰하는 과정은 김수영의 작품들에서 독특한 분위기를 환기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김수영 시에서 냄새에 대한 이미지가 형상화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그가 보여준 첨예한 공간 인식 방법으로서의 후각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Kim Soo-young's poems in the 1950s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olfactory sense. For that reason, the study examines poems about space for memorialize histories and smell of losses, like 'Dirty Incense Burner', 'Office', and 'National Library'. Kim Soo-young who was born in the colonial era wandered from places to place and finally began creative activities after the liberation of South Korea from Japan as he returned to his homeland. After he went through the Korean War, Kim Soo-young published a number of poems in the 1950s from the experience of having worked in the culture desk of magazine and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In the 1960, Kim Soo-young published a series of poems and essays on poetry that criticize the revolution and reality as he experienced the April Revolution and the May 16 Military Coup. The places that appear in Kim's poems are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various aspects of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that Kim lived through. Currently, studies on the spatial perception of Kim's poems are under active progress. Space is a product of sense based on the bounds of living that is actually realized. The modern scopic regime refers to the socio-cultural structuralization of a space, which is caused by the physical allocation that the action of watching applies. In general, scopic regime has been regarded as the only opinion that looks at a subject in correct perspective. However, a problem of controlling senses occurs. When someone enters a certain place, such as bookstore, coffee shop, restaurant, library, room, garden, or street, the person is overtaken by the smell of the space. It can be perceived even before the person properly understands the identity of the place. This paper examined how image about smell is embodied in Kim Soo-young's poems in the 1950s and discuss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olfactory sense, which is used by Kim as a means of sharply perceiving the pl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