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960년 이후 지역내총생산 시계열 자료의 구축과 지역격차에 관한 정형화된 사실

        서민철 국토지리학회 2018 국토지리학회지 Vol.52 No.3

        This study is for building up a reliable data series from 1960 to now, and summarizing some stylized facts about S. Korea’s regional inequalities from the data. The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data before 1984 is not consistent and have some missing points while the GRDP data after 1985 is consistent and covers all provinces of the country. It has been a trouble for geographers who studies regional economies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 Peninsula. I have collected up around-scattered data sets, selected better numbers in that, estimated some missing data, and built up the long term series of GRDP from 1960 to 2016 on all provinces of our country. The trends from my data series say 2 or 3 deepening phases and 2 weakening phases in regional inequality in S. Korea. 본 연구는 1960년 이후의 우리나라 지역내총생산 데이터의 시계열 자료를 확보하고, 생산 기반의 데이터에 기반해 지역격차에 관한 몇 가지 정형화된 사실들을 정리하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지역내총생산 자료에 있어 1985년 이후의 자료는 일관되며 전국의 1차 지방행정구역을 단위로 하여 제공되고 있으나, 그 이전 자료에 대해서는 비일관적이고 결락이 존재한다는 난점이 있다. 본 연구는 흩어져 있는 자료들을 취합하고 비교적 타당한 숫자를 선별하며, 결락에 대해서는 합리적 근거로 추정하여, 1960~2016년의 전국에 대한 1차 행정구역 단위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구축하였다. 57년간의 장기 시계열을권역별로 살펴본 결과, 한국의 지역격차는 2~3개의 확장 국면과 2개의 완화 국면이 인식되었다.

      • KCI등재

        우크라이나 세계지리 교과서의 한국 단원 신설 과정, 단원 내용, 그리고 시사점

        서민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우크라이나 10학년 세계지리 교과서에 한국 소단원이 등재된 과정과, 소단원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와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크라이나는 2022년 8월, 지리 교육과정을 개정하여, 10학년 세계지리 과목의 교과서에 벨로루시를 제외시키고 대신 한국을 편입하여 부분적으로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이 과정에는 주우크라이나 대사관을 비롯한 우크라이나 한국교육원 등 주요 관계자들의 노력이 주효하였다. 여기에는 해당 유관 기관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도 관여하였다.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친서방 정책을 추진하는 와중에, 러시아와의 전쟁이 발발하였고, 우리 정부가 우크라이나 지원을 약속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호의적인 입장이 갖추어졌다. 그리하여 우리 외교 당국으로서는 2021년 가을부터 시작한 준비 과정을 통해, 2022년 교육과정 개선을 이끌어 내고, 이듬해 5월 견본 교과서 발간까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었다. 새 교과서의 한국지리 내용은 주로 한국의 발전상에 집중되어 있으나, 향후 개선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내용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som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process by which Korean subunits were listed in Ukraine’s 10th grade world geography textbook and the contents of the subunits. In August 2022, Ukraine revised its geography curriculum and partially changed the contents by excluding Belarus from the textbook for the 10th grade world geography subject and incorporating Korea instead. The efforts of key stakeholders, including the Korean Embassy in Ukraine and the Korean Education Center in Ukraine, were effective in this process.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were also involved. From Ukraine’s perspective, while the pro-Western policy was being pursued, the war with Russia broke out, and the Korean government’s promise to support Ukraine resulted in a favorable response to Korea. Thus, through the preparation process that began in the fall of 2021, improvements to the curriculum for 2022 were led, and sample textbooks were published in May of the following year. The Korean geography content in the new textbook is mainly focused on Korea’s development, but it appear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new content through an improvement proces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지리 교과서 지역개발 단원에 나타난 개발이데올로기의 출현 형태: 개발과 환경·지역 관계를 중심으로

        서민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2

        As the Schoolbook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of South Korea are certificated and approved by the government, they are very likely to carry aplenty the dominant ideologies of State. There is an report that the schoolbooks of Geography subject, never free from the likeliness, carry especially the developmental ideology. This paper aimed to give a lesson to the latent writers of the schoolbooks under the coming Revised National Curriculum(N.C.), by disclosing the appeared forms of the developmental ideology at the units of Regional Devleopment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in Geography schoolbooks. The unit of Regional Development introduced for publicizing the developmental policies of the government at the beginning, then it has been wear the thick color of developmental ideology till now. The ideology-oriented descriptions of the unit survive still in some ways in the schoolbooks under the current 7th N.C., although the books are acknowledged as reinforcing the ideology-free and neural descriptions. For the improvement to ideology-neural description in the schoolbooks under the new Revised N.C., upcoming authors are called for some prudent sensitivity to the developmental ideologies in the existing books. 한국의 초중등 학교의 교과용 도서인 교과서는 국가의 검인정 제도에 의해 지도되는 만큼 국가의 지배이데올로기들을 실어나를 개연성이 무척 크다. 지리 과목들의 교과서들 역시 그러한 성격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데, 특히 개발이데올로기를 많이 싣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 이데올로기의 출현 형태를 분석하여, 추후의 교과서 서술에 유용한 타산지석이 되고자 하였다. 지리 교과서 내 지역개발 단원은 국가의 개발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해 출발한 단원으로, 형성 초기에서부터 강한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띠어왔다. 그런데 그러한 개발이데올로기의 경향은 환경 단원이 신설되어 교과서에 실린 이후에도, 또 제 7차 교육과정에서처럼 탈이데올로기적, 혹은 중립적 서술이 대폭 증가한 가운데서도 여전히 몇 가지 형태로 잔존해 있다. 새로 개정된 교육과정에 입각한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는 교과서 저자들의 개발이데올로기에 대한 사려깊은 감수성이 요망된다.

      • KCI등재

        자궁 내막증으로 치료 받은 여성들의 음성 변화

        서민철,주준범,남순열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00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11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 Hormonal treatments which have an androgenic effect have the potential to cause vocal changes. The changes in vocal fold structure and voice quality are considered to be irreversible. To date, studies have documeted subjective vocal changes or documented single cases without detailed, baseline voice assessments. Materials and Methods : We have performed objective voice analyses of 20 women who were treated with androgenic hormones for endometriosi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normal control women. Results : The averages of fundamental frequency were 194.7${\pm}$28.2 in study group, 207.0${\pm}$14.1 in control group. The means of closed quotient which were measured with electroglottography were 45.13${\pm}$2.06 in study group, 45.1${\pm}$3.03 in control group. Results of acoustic analysis are as follows. The averages of jitter were 0.95${\pm}$0.46 in study group, 1.10${\pm}$0.65 in control group. The means of shimmer were 2.44${\pm}$0.60 in study group, 2.32${\pm}$1.09 in control group. The averages of noise to harmonic ratio were 0.13${\pm}$0.028 in study group, 0.15$\pm$0.18 in control group. Conclusion :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 could detect the masculinizing tendency of the therapeutic hormones of endomentriosiss(lowering of fundamental frequency). Given the availability of objective voice assessments today and the continued use of these potent hormones, comprehensive voice assessment and vocal monitoring would appear vital for women commencing hormonal treatment.

      • KCI등재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서 ATPase 염색법을 이용한 구개수 근육의 근 섬유 아형 분포에 관한 연구

        서민철,이시형,김재호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2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5 No.5

        Background and Objectives:OSAS is thought to be due to an excesive loss of muscle tone in the upper airway or an abnormal reflex regulation of uper airway function during sle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myosin heavy chain (MHC) isoforms of musculus uvulae in OSAS and snorers. Materials and Methods:Thirty seven patients included in the study underwent an uvulo-palato-pharyngoplasty (UPP ). All subjects had polysomnographic study before UPPP. ATPase stain at pH 9.4 were applied to muscle specimens obtained during UPPP. The numbers of MHC type I and II isoforms were count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 groups according to their re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mild (0-20), moderate (21-40), severe (> 40). The di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muscle fiber types were com-pared betwen these groups. The corelation betwen the distribution of the fibers and the body mas index / age / RDI / minimum O2 saturation / duration of slep apnea was investigated. Results:The mean percentages standard deviation of type I fibers acording to the severity of sleep apnea were as follows: 22.5± 3.2% in mild slep apnea group (n=15), 19.8± 2.3% in moderate slep apnea group (n=11), 17.5± 3.6% in severe slep apnea group (n=1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MHC type I & II isoforms betwen mild group and moderate and / or severe group (p<0.0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n the proportion of type I fibers and RDI / duration of slep apnea (p<.01). We could not find meaningful corelation betwen the proportion of MHC type I isoforms and body mas index / age of the patients (p>.05). :The proportion of MHC type I isoforms in musculus uvulae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duration of sleep apnea (p<.01). (Korean J Otolaryngol 2002;45:433-8)

      • KCI등재

        Dynamic Bias Switching을 이용한 3.5 GHz Balanced Power Amplifier의 효율 개선

        서민철,김경원,김민수,김형,전정배,양영구 한국전자파학회 201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논문에서는 3.5 GHz에 설계된 balanced amplifier에 DBS(Dynamic Bias Switching)를 적용하여 평균 전력에서 효율을 개선하였다. DBS는 입력 신호의 포락선 크기에 따라 전력 증폭기에 두 단계의 드레인 전압을 인가하여 효율을 개선하는 기술로써 balanced amplifier에 DBS를 적용하기 위해서 동일하게 구성된 DBS 회로를 각 단에 설치하여 실제 제작하였다. 20 MHz 대역폭과 8.5 dB의 PAR(Peak to Average Ratio)을 갖는 OFDM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28 V 단일 드레인 전압을 사용했을 때보다 42.5 dBm에서 6 %의 PAE 개선을 나타냈다.

      • KCI등재

        구강상악동루에 대한 치료 성적

        서민철,김용재,김재호,이봉재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2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5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Epithelialization of the fistula in chronic cases of oroantral fistula hinders natural healing of its opening. This requires surgical repair in most cases. We aimed to evaluate the treatment results of 12 cases managed by di-ferent surgical methods. Materials and Method:Twelve patients with oroantral fistula were managed in our hospital between :8 and their ages ranged from 27 to 63 years with the mean of 46 years. Medical records of oroantral fistula were reviewed for the evaluation of causes, treatment methods, and final outco-mes. Results:Eight fistulas developed after tooth extraction due to dental problem or sinusitis, and four fistulas originated from postoperative mucocele of the maxillary sinus. The first upper molar was most frequently involved, followed by the second premolar. One patient was cur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alone and eleven patients underwent Caldwell-Lucs operation, h the use of buccal mucosal advancement flaps resulting in successful outcomes. Conclusion:Tooth extraction and postoper-ative mucocele are the two comon causes of oroantral fistula. Caldwel-Lucs operation with fistulectomy and flap surg-ery for repairing the opening of the fistula resulted in cure without recurence. (Korean J Otolaryngol 2002;45:47-50)

      • 다공성 박막을 활용한 마이크로캐비티 OLED 소자의 시야각 의존성에 관한 연구

        서민철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OLED)는 현재 모바일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성공적으로 적용 되면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 위하여 여러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소자 내부에서 만들어진 빛의 상당량이 외부로 빠져 나오면서 Substrate mode, Wave Guided mode, Surface Plasmon mode등에 의해 소실이 되면서 바깥쪽으로 나오게 되는 빛은 20% 에 불과하여 LED 와의 경쟁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외광 추출 기술이 필요해 지고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외광 추출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로의 적용시 화소가 흐리게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서, 실용적인 사용이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Microcavity 구조의 공진 효과 적용을 통한 효율 향상기술들이 보고 되고 있지만 시야각 의존도와 같은 2차 문제가 발생하는 등,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in coating 을 이용하여 Porous polymer film을 제작하여 Microcavity 소자에 적용함으로써 광시야각 의존성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연구결과를 확보하였다.

      • KCI등재

        서울 중심업무지구의 기능 변화: 1997년과 2013년

        서민철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3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stribution of the functions at Seoul city centre between two years, 1997 and 2013. For this, I have examined and analysed the functions of Seoul city centre in 2013 with just the same method that the Seoul CBD study had been done in 1997. Seoul has been going through continuous tertiarization process contrary to the changes of the national level, and its trend have made some marks to the spatial structure of Seoul. The changes of the internal spatial structure of Seoul have brought about the change of Seoul CBD come into view by function distributions. The boundary of Seoul CBD has changed just a little, but has extended along westward principal roads and faded away in some areas. The Office Specialized District(SD) in the CBD and the CBD Core, the subset of the SD have decayed out in some old areas, while Service SD, Retail SD and Manufacturing SD have been enlarged in CBD. This functional changes of the CBD also reflect of the relative declining of the city centre to Gang-Nam district, the strong subcenter of Seoul. 본 연구는 1997년과 2013년 사이의 서울 도심부의 기능체 분포 상황을 비교·분석하려는 것이다.1) 이를 위하여 1997년에 연구된 서울의 중심업무지구 경계 설정 및 그 내부 구조 연구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2013년의 서울 도심부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서울은 전국 수준에서의 변화와 달리 지속적인 서비스산업화의 경향을 겪고 있고, 이는 서울 내부의 공간 구조 변화에 반영되었다. 이러한 서울 내부의 공간 구조 변화가 서울 중심업무지구(CBD)의 변화에 반영되어 그 기능 분포상의 변화로 나타났다. 서울 CBD의 경계는 크게 변화된 것이 없으나, 주요 간선도로, 특히 서쪽의 간선도로를 따라 확장되면서 동시에 일부 지역에서는 쇠퇴하였다. 서울의 사무실 특화지구 및 그 부분집합인 CBD 핵심부는 쇠퇴하였고, 대신 서비스 특화지구와 소매업 특화지구, 그리고 제조업 특화지구가 확장되었다. 이러한 서울 도심부의 기능 변화는 서울 전체에서 강력한 부도심인 강남 지구에 대한 도심부의 상대적 쇠퇴를 반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