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초등 도덕과의 교수·학습방법 개선 방안

        서미옥 ( Suh Mee Ock ),배상식 ( Bae Sang Si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7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초등 도덕과의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현재 학교교육에서는 ICT교육 혹은 스마트교육이 부분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초등 도덕수업의 교수·학습방법 측면에서는 여전히 그 활용도가 낮은 것이 사실이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기에는 첨단공학기기를 활용한 수업방식과 전통적인 수업방식이 함께 병행해서 이루어지겠지만, 점차 특정 교과와 상관없이 교육공학적 기기나 매체를 활용한 수업방식이 증가할 것이다. 이런 현상은 초등 도덕수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추세에 맞추어 도덕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 m러닝, 플립드 러닝,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한 수업이 필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ICT 역량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several plans to improve teaching methods of the moral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tly, ICT education or smart education is partially implemented in the school curriculum, but it is under utilized in terms of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At the beginn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eaching methods using advanced engineering equipments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should be conducted at the same time, however teaching methods using educational engineering devices and media will be increasing and will not be limited to specific subjects. This phenomenon is also true in the mora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of moral education and m-learning, flipped learning, an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should be utilized for teaching.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are encouraged to focus more digital literacy and ICT competency.

      • KCI등재

        대학생의 성실성과 그릿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

        서미옥(Suh Mee-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실성과 진로정체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실성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진로정체감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그릿을 꾸준한 노력과 지속적 관심의 2 요인으로 구분하여 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경상북도에 있는 대학교의 대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에 설문 조사가 이루어졌다. 기술통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이 이루어졌는데, 이런 절차과정은 Baron과 Kenny(1986), Hayes(2018)의 제안을 따랐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실성은 지속적 관심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인지진로정체감도 지속적 관심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이 과정에서 인지진로정체감이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다. 둘째, 성실성과 정서진로정체감은 지속적 관심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었으며, 성실성과 정서진로정체감의 상호작용 항도 유의하였다. 그리고 성실성과 정서진로정체감은 꾸준한 노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여주었으며, 성실성과 정서진로정체감의 상호작용 항도 꾸준한 노력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행동진로정체감은 성실성과 지속적 관심, 그리고 성실성과 꾸준한 노력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변수로 작용하지 않았다. 종합하면, 대학생들의 지속적 관심과 꾸준한 노력을 높이기 위해서 성실성 이외에 인지진로정체감, 정서진로정체감이 조절변수로써 함께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nscientiousness and career identity on Grit in undergraduate students, and whether career ident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entiousness and Grit. To accomplish this goal, the Grit divided into two factors of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9 students located in Gyeongsangbuk-do. The survey was conducted in May 2019.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using the analysis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and Hayes(2018).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scientiousness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Grit-consistency of interest, and cognitive career ident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Grit-consistency of interest, and cognitive career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is process. Second,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career ident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Grit-consistency of interest, and the interaction of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career ident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interaction of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career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Grit-perseverance of effort. Third, behavioral career identity did not act 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both conscientiousness and Grit-consistency of interest, or conscientiousness and Grit-perseverance of effort.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cognitive career identity and emotional career identity were ar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onscientiousnes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서미옥(Mee-Ock Su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 부담으로 힘들어하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업소진과 관련된 논문들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소진과 관련된 변인들의 평균 효과크기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을 위해 44편의 논문이 수집되었고, 학업소진과 관련된 변인들의 범주는 부모개입 요인, 스트레스 요인, 개인 내적 요인, 학업 요인의 네 가지로 분류 되었다. 메타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R-소프트웨어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개입 요인 중에서 학업성취압력의 평균 효과 크기는 .29, 부모의 학습관여는 -.29로써 중간 정도의 평균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학업 스트레스의 평균 효과크기가 .36로 가장 높았고, 다음 순으로 진로 스트레스가 .34, 교사 스트레스가 .33, 부모 스트레스가 .29, 가정 스트레스가 ,27, 친구 스트레스가 .18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 내적 요인 중에서 실패내성의 평균 효과크기가 -.47, 자기효능감은 -.37, 자아탄력성은 -.28, 자기통제는 -.25, 부적응 완벽주의는 .24, 숙달접근은 -.16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적응적 완벽주의, 수행접근, 수행회피의 평균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학업 요인 중에서 학업열의에 대한 평균 효과크기는 -.44, 학업 과다는 .36, 학교적응은 -.23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 급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에서 학업 스트레스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업소진을 예방하는 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들이 이루어졌다.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Korean adolescents are not happy with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d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burnout by analyzing meta analysis. A total of 44 papers were collected for this purpose. There were four categories of related variables: parental intervention, stressor, personal, and academic factor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R-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arents" intervention variables, the mean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was .28, and th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was -.28.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academic stress among the stressor factors was .36, career stress was .34, teacher(school) stress was .33, parent stress was .29, family stress was 27, friend stress was 18. Third, among personal factors, the mean effect size of failure resistance was -.47, self-efficacy was -.37, ego-resilience was -.28, self-control was -.25,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24, and mastery approach was -16. However,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mean effect size on academic engagement was -.44, heavy academic demands was .36, and school adjustment was -.23. Fifth, the moderator analysis for school level did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cademic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recommended for follow-up researchers.

      • KCI등재

        대학생의 그릿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서미옥(Suh Mee-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릿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려는 것이다. 그릿과 자아탄력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변인으로 알려졌으며, 이 변인들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런 연구목적의 수행을 위해 연구대상자로 대학생이 선정되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 Sobel 검증이 실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그릿, 자아탄력성과 진로정체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그릿은 자아탄력성과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탄력성도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은 자아탄력성을 통해 진로정체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의 그릿과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에 속하는 정서, 인지, 행동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도 자아탄력성이 모두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그릿이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아탄력성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확립하려면 그릿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self-resiliency plays a role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areer identity. Grit and self-resiliency are known as variabl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this study intend to examine whether these variables also affect college students career ident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oot-strapping,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is discuss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grit, self-resiliency and career identity. Second, the Grit of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siliency and career identity, and self-resiliency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identity. Grit indirectly influenced career identity through self-resiliency. The self-resiliency also act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Grit and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career identity,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identity. Therefore, it may be helpful to promote Grit and self-resiliency to establish a career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가상적 딜레마와 교직 실생활 딜레마에서 나타난 예비교사들의 도덕지향

        서미옥 ( Mee Ock Suh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3

        그동안 도덕발달단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었지만, 상대적으로 5가지 도덕 지향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5가지 도덕지향이란 Colby와 Kohlberg (1987)가 제시한 규범적 지향, 자기중심적 지향, 공리주의적 지향, 이상적 조화추구적 지향, 공정성 지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가상적 딜레마(하인즈, 탈옥수, 의사와 환자)와 교직 실생활을 다루는 딜레마(신체적 처벌, 대학원 진학, 학급도난사건)를 제시한 후에 도덕지향에 차이가 있는 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사범대학 65명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고, SPSS(Win 14.0)에 의해 교차분석과 Cramer`s V가 산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딜레마의 유형(가상적 딜레마, 실생활 딜레마)에 따라 도덕지향은 유의하게 달랐다. 둘째, 성별에 따라 도덕지향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셋째, 6개 딜레마의 특성에 따라 도덕지향도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도덕지향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도 제시되었다. The prior studies were accomplished about stage of moral development, but rarely about moral orientations. Colby & Kohlberg(1987) was suggested five moral orientations that normative, egoistic, utilitarian, perfectionist, and fair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d moral orientation of undergraduates in college of education, so were presented with three hypothetical dilemmas(Heinz, a prison breaker, doctor and patient) and three real-life dilemmas in school(corporal punishment, graduate school exam, theft in classroo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 undergraduates. Data were processed by chi-square and Cramer`s V by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ype of dilemmas and moral orientation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moral orientation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of dilemmas and moral orientations.

      • KCI등재

        교사교육에서 딜레마를 활용한 "도덕적 성찰"의 필요성

        서미옥 ( Mee Ock Suh ),배상식 ( Sang Sik Ba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1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서 딜레마를 활용한 ‘도덕적 성찰’의 필요성을 해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도덕적 추론이나 도덕적 판단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이론적인 성찰’에만 초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교사가 ‘반성적 실천가’로서 성장하려면, ‘실천적인 성찰’, 즉 교사가 가진 배경적 신념, 교사의 행동을 이끄는 기준, 딜레마를 다루는 기술 등과 같은 실제적인 요소도 함께 통합적으로 가르쳐야만 한다. 사실, 교사교육에서 교사들의 도덕적 품성을 기르는 일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교사들의 행동은 학생들의 역할모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등 교원양성기관에서는 도덕적 품성을 지닌올바른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학교현장에서 직접 당면할 수 있는실제적인 딜레마를 토대로 하여 ‘도덕적 성찰’을 수행할 수 있도록그 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moral reflection through dilemma in teacher education. The researches of moral reasoning and moral judgment were only focused on theoretical reflection. However teach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have to be experienced in practical reflection, which includes such things as background beliefs, standards of action guidelines, and skills of dilemma managing. In fact,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trained as moral agent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 reason for this training is that teachers can act as role models for their students. By us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would actually be confronted with ``moral reflection`` by real life dilemma in a school setting. Final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actical reflection needs to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in teachers education.

      • KCI등재

        초 · 중등 교사들의 소진과 개인내적 요인, 직무요인 및 사회적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서미옥(Mee-Ock Su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교권의 약화로 인해 학생 생활지도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교사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발표된 초등교사와 중등교사들의 교사소진과 관련된 4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논문을 토대로 교사소진 관련 변인들은 개인내적 요인, 직무요인 및 사회적 요인의 3가지로 분류되었고,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내적 요인들의 전체평균효과크기는 -.24이었으며, 이들 중에서 자아탄력성의 효과크기가 -.52로 가장 높았고, 교사효능감은 -.39, 완벽주의는 .15이었다. 5요인 성격 중에서 신경증의 평균효과크기는 .44, 외향성은 -.32, 우호성은 -.22, 개방성은 -.20, 성실성은 -.15로 나타났다. 직무요인의 전체평균효과크기는 .37이었으며, 이들 중에서 직무스트레스가 .56으로 가장 높은 평균효과를 보였고, 직무환경이 .43, 감정노동(내면적 행위)은 -.20, 감정노동(표면적 행위)은 .21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에 해당되는 변인은 사회적 지지뿐이었으며 평균효과크기가 -.28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집단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평균효과크기를 검증하였는데, 세 가지 요인에 대해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Recently, the rate of teachers who feel difficulties about the guidance for students is increased, because the weakness of teacher’s autho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eta-analysis of articles related to burnout of elementary teachers and secondary teachers over the last 10 years. Through a total of 42 papers that are related to ‘teacher burnout’ were collected for this purpose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using R software. Based on collected papers, variables related to teacher burnout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ersonal factors, job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personal factors was -.24. Among them, the mean effect size of ego-resilience was -.52, teacher efficacy was -.39, and perfectionism was .15. And also nervousness was .44, extroversion was -.32, agreeableness was -.22, openness was -.20, conscientiousness was -.15.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job factor was .37. Among them, the job stress showed .56, the job environment was .43, the emotional labor (deeping acting) was -.20,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was .21. The mean effect size of social support in social factors was -.28. Second, the moderator analysis did not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should be noted.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moderator analyses exist between burnout and another variables.

      • KCI등재

        대학생의 도덕지향과 딜레마의 내용, 성별 및 개방성의 관계

        서미옥 ( Mee Ock Suh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도덕지향과 도덕 딜레마의 내용, 성별, 개방성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149명(남자, 여자 83명)의 대학생이다. 본 연구를 위해 Crandall 등(1999)이 고안한 2가지의 도덕 딜레마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paired-t검증, 일원변량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딜레마의 내용에 따라 개인의 도덕지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도덕지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대리모 딜레마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배려지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딜레마의 내용과 성별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개방성은 배려지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개방성과 정의지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후속연구는 딜레마의 내용이 정의지향 혹은 배려지향의 맥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이 맞도록 표준화된 딜레마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dilemma content, gender, openness, and moral orientations of undergraduates. The subjects were 149(males 66, females 83)undergraduates. The two moral dilemmas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dopted from Crandall et al(1999). The data were processed by paired t-test, one-way ANOVA, chi-square and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al orientation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ilemma content. Second, moral orientation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but female participants evidenced more degree of caring orientation than male in dilemma of child custody decision, so we would be proper consideration gender and dilemma content together.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penness and caring orientation,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penness and justice orientation. We need to develop standardized dilemmas that the content is included in justice and caring contexts equ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