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상담의 교육 세계

        서명석 ( Seo Myoung 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이 글은 철학상담이 어떻게 교육과 만나고, 그 속에서 직조하는 교육의 세계상을 파헤치는 것이다. 철학은 원래 지혜 사랑을 그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 이런 철학이 상담과 만나면 철학상담의 세계를 구축한다. 이때 철학상담은 교사인 상담자와 학생인 내담자가 지혜로움과 어리석음의 대결 구조에서 대화를 매개물로 해서 지혜를 가르치고 지혜를 배우는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 현대교육의 내용물에 속하지 않는 지혜 담론이라는 세계를 형성한다. 이런 방식의 철학상담에 대한 평가는 21세기 교육의 내용체계를 새로 디자인하는 데 또 다른 교육적 숙고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철학상담이 교사가 학생에게 지혜를 가르치고 학생은 교사를 통하여 지혜를 배우는 것도 교육에서 필요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philosophical counseling meets education and how to make the world of education weaving in it. Philosophy is originally the starting point by love of wisdom. When this philosophy meets counseling, it establishes the worl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t this context,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teacher as counselor and a student as client, which teaches wisdom and learns wisdom through dialogue in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wisdom and foolishness. This forms the world of discourse of wisdom that does not belong to the curriculum of modern education today. This e valua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n this way will provide another educational contemplation to redesign the content system of the 21st century education. Furthermore, philosophical counseling reminds us that teachers need to teach wisdom to students and that students learn wisdom through teachers.

      • KCI등재

        명상치료의 개념과 교육적 함의

        서명석(Seo Myoung 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이 글은 명상을 교육에서 치료적 관점으로 해석하기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하여 나는 명상과 치료의 개념망을 검토하고 그것들의 합성어인 명상치료를 여기서 개념화한다. 이러한 개념화의 도구로 여기서는 푸코가 제안한 바 있는 담론 구성법을 활용했다. 이것은 해당 개념의 지평을 확보하기 위해 먼저 해당 담론을 만들어내는 언표들을 추출한 뒤 그것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해명하는 것이다. 언표들의 상호 관련성을 해명하기 위한 도구로 이 연구에서는 개념도 작성법이 이용되었다. 이렇게 해서 이 연구에서 명상의 개념도, 치료의 개념도, 그리고 명상치료의 개념도등 총 세 가지의 개념도를 나는 여기서 도출해냈다. 그런 다음 최종적으로 만들어낸 명상치료의 개념을 가지고 그것이 본래 간직하고 있는 교육에 대한 본원적 의미를 논구했다. 그 결과 명상치료에는 오늘날 교육에서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치료 패러다임이라는 교육적 가치가 녹아들어 있으며, 명상치료는 현대교육에서 놓치고 있거나 등한시하고 있는 교육의 관조적 차원을 설명하는 요긴한 교육적 자원이자 명상하는 인간으로서의 명상치료가 인류의 오래된 문화적 전통임이 판명되었다.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interpretation of meditation tradition by therapeutic perspectives. I examine two concepts of meditation and therapy based on Foucault's method of discourse construction and mind-map technic. These methods seek to clear up statements set in discourse and interrelation meaning network of concept. As the result, two figures are represented conceptual network by mind-map of meditation and therapy[Figure 2 & Figure 3]. According to Figure 2 and Figure 3, I conceptualize mind-map of Meditation Therapy by Yin Yang paradigm[Figure 5]. On this context I define Meditation Therapy that is act and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e purification in the Mind-and-Heart and ontological caring by ṡamatha [止]-vipāṡana[觀]. Meditor, ergo sum! Namely I meditate, therefore I am. This proposition suggests that modern education fundamentally lacks contemplative dimension of education.

      • KCI등재

        유가 몸공부법의 존재 위상

        서명석(Seo, Myoung-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3

        이 글은 율곡의 구용법을 현대적인 공간에서 재평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해 율곡이 성리학의 구도 속에서 그리고자 했던 몸공부의 패러다임은 무엇이고, 이것이 어떤 경로를 따라가면서 구용법과 만나는지를 밝혀 두었다. 그리고 그 접점에서 만나게 되는 성리학에서의 예교, 예학, 그리고 예법의 코드를 판독하는 행로를 만들었다. 요즈음 아이들이 몸공부가 미진하다 보니 학교에서 발생되는 온갖 비례와 무례의 일상화, 그리고 아이들의 욕설과 폭력이 도를 넘는 실상은 일정 부분 아이들이 예를 통한 몸의 규율에 실패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렇다면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략으로 율곡의 구용법은 교육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겠다. 그래서 실제 교육의 사태에서 쉽게 응용 가능한 구용법의 몇 가지 실천방안도 여기에 아울러 제시해 두었다. 앞으로의 문제는 교육 실천가들이 구용법을 어떻게 교육적으로 적용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This paper is to study Lee Yulgok’s theory of SuSin[修身]. It is also called as SoHak[小學] or YeHak[禮學]. This theory is about the system of setting the body in order. It starts with thinking about the best ways to accomplish children’s first propriety. Another name of this is MomGongBu[몸工夫], which designs precepts of self-discipline. Yulgok’s education was carried out on a wide variety of Confucian topics. Above all, how to take care of Mom[몸] is the integrated set of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九容法].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 is the text that he had studied and expounded its meaning from self-cultivation. I found out that the curriculum of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九容法] has been better organized to teach children. Keeping this in mind, we can be upgraded by performing the rites of nine propriety. This Elementary Studies[小學] is mainly based on Little Sage[小之聖人]. This Yulgok’s perspective will be certainly impressed and will make the opportunity to have the returning point in our lives.

      • KCI등재후보

        확정과 불확정의 이중구조로 본 아동본질에 대한 탐구

        서명석(Seo, Myoung 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아동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것을 논구하는 것이 이 글이 가려는 최종 목적지이다. 그러기 위해서 본질을 논의하는 마당에 진입하기 전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유사개념들을 자연, 실재, 실체, 정수라는 것들로 묶어둔다. 이것들 모두는 본질을 축으로 하여 돌아가는 개념망의 유기적 소통 안에 어떤 자리-잡음이다. 그런 다음 본질의 성립조건을 보편자와 특수자의 상호 대비를 통하여 검토해 놓고 그 결과 보편 안에서 본질이 성립하는 가능근거를 되밝혀 놓는다. 이를 토대로 하여 아동본질을 새롭게 축성하는 인식틀을 부채와 부챗살의 비유로 상정한 후, 이것으로 아동본질의 근원적 존재방식임을 논리적으로 해명하는 길을 열어둔다. 이 도정에서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의 사유방식에 도움을 청하고, 이들이 보여주는 사유방식을 가지고 아동본질을 읽어내는 결정적 문제틀로 삼는다. 그것은 이런 것이다. 즉, 아동본질이란 본질이라는 실체로 보면 하나인데 실체가 드러내주는 양상으로 보면 다수라는 입장이다. 이것을 여기에다는 아동본질을 둘러싼 확정적 본질관과 불확정적 본질관의 공시적 존재가능성의 차원으로 승격시킨다. 이런 본질관은 아동본질에 대한 논의를 둘러싼 기존의 확정적 본질관과 비확정적 본질관을 동시에 해체하며 아동본질관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줄 것이다. What is nature of children? David Hume said as follows in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The table, which we see, seems to diminish, as we remove farther from it: But the real table, which exists independent of us, suffers no alteration: It was, therefore, nothing but its image, which was present to the mind.” Admittedly, nature of children is not form but real. Turning to the setting of the argument, “children are Spinozaite.” This sentence is the philosophy of the hermeneutical turn described as deconstruction of previous interpretation of children. For this reason I pay attention to the double images which arises from the Nature of natures of children. The term ‘appearances’ of the Nature of natures which children have takes strong visual connotations. The defining interpretation of this premise is being implicitly contrasted with certain lens to nature of children, that is, natal determinism and environmental determinism which are placed nature of children. But the other lens in this article involves not only the defining interpretation but also the non-defining interpretation that are emerged the nature of natures. Now, we can say on nature of children: “Nowhere but everywhere.” This argument tries to drive a wedge to the objectionable argument undermined by ‘the proper stance of sight.’

      • KCI등재

        동양의 양육전통인 엄부자모(嚴父慈母)를 둘러싼 시선과 눈짓

        서명석(Seo, Myoung-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1

        이 연구는 동양의 엄부자모를 따라 그것에서 발산하는 의미의 층위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런 것은 단순히 엄부자모가 전통의 공간에 박제된 고기물이 아니라 현대의 공간에서 현대 양육의 문제점과 이런 문제점을 재차 보완하는 참조틀을 제공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은 오래되었지만 전-미래적 시간성을 양육의 새 지평에 기투시킨다. 우리가 엄부자모를 전근대적인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배태한 낡은 유물로 판단하기 보다는 그 속에 숨어 있는 교육적인 질서 체제를 다시 읽어 놓아야 할 때이다. 엄격한 아버지에 자애로운 어머니로 표상되는 엄부자모의 양육구도는 동양의 양육방식의 근원어이다. 이 속에서 아버지는 아버지만의 부성적 코드를 아이에게 주었으며, 어머니는 어머니만의 모성적 코드를 아이에게 주었다. 이것이 이른바 부모가 아이에게 주었던 엄/자의 이율대대라는 코드였다. 이 속에서 아이는 아버지에 대하여 두려운 존재로서의 아버지상을 이미지로 표상하였으며, 아이는 또 어머니에 대하여 자애로운 존재로서의 어머니상을 이미지로 표상하였다. 이렇게 엄부와 자모가 의미망에서 서로 다르지만 서로가 서로를 보충하는 상징망이 되어 아이들의 정신세계를 건강하게 형성시켰다. 아이 양육이 어려운 지경에 처해 있는 이 때 이러한 동양 전통의 엄부자모 패러다임은 다시 환기되어야 할 대상이다. 그리고 그것의 의미의 지층을 체계적으로 되밝혀서 우리에게 지금 무엇이 넘치고 무엇이 부족한지 반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더불어 정상 가정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요즈음 엄부자모를 한-부모-성으로 통합시켜 양육과정에 어떻게 교육적으로 장치할 것인가를 진정 고민할 때인 것이다. Tradition is old but new. Eastern paradigm of Um-Bu-Ja-Mo[嚴父慈母] in parenting is also too. In Taoism, Yin/Yang[陰/陽] is complementary principles of balance and not control of the one over the other. As this, Um-Bu-Ja-Mo[嚴父慈母] is the two cardinal principles of Eastern parenting. This paradigm is not duality because it do not conflict with but complement each other: “Contraria Sunt Complementa.” It is different manifestations of dualistic essence in parenting. The notion of “equal but different” is important in the fundamental belief of parenting. In this point, Um-Bu-Ja-Mo[嚴父慈母] is based on mutuality both father and mother.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Um-Bu-Ja-Mo[嚴父慈母] can work as a powerful metaphor which functions inter-dependence of parent. We come from traditions that are deeply rooted in connectedness by Um-Bu[嚴父] code and Ja-Mo[慈母] code. But at modern and postmodern times, this paradigm of parenting is forgetting in our mind.

      • KCI등재

        교수-학습 담론과 계량적 수업평가 담론의 해체

        서명석(Seo, Myoung-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3

        교육 현장의 거대담론을 파헤치자. 왜냐하면 교육 현장은 교육이론이 생존하는 구체적 생활 근거지이면서 동시에 교육이론의 실험장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그 실험장의 교육이론을 해체하는 작업은 교육 현장의 담론 구조와 필연적으로 만난다. 다시 말해두면 교육 현장을 해체하는 도정은 교육 현장을 지배하고 있는 거대담론을 문제의 근원지로 소환한 뒤 그것을 해체의 망치로 두들겨서 낱낱이 분해하고 그 분해 너머의 전언을 다시 밝혀 놓는 것이리라. 이 분해의 망치는 리오타르와 데리다가 제안하는 배리와 해체로 잡아둔다. 과연 그렇다면 ‘교육 현장을 감싸면서 굳건한 위용을 자랑하는 거대담론이란 무엇인가’라고 물을 일이다. 그것은 바로 학교 현장을 지배라는 수업이라는 골리앗이다. 이 수업의 착종으로 벌어지는 연대 부산물을 여기서 거대담론으로 포착한다. 이를테면, 그것들은 이런 것이다. 즉, 그것들은 현장의 교수-학습과 그 교수-학습을 엮어내는 수업 지도안/과정안 그리고 이 수업을 형량 하는 계량적 수업평가 방식이다. 이것들이 심각하게 문제 있음만을 이 글은 보여준다. The post-modern idea of grand narratives renders new thinking for change problematic. In this paper, grand narratives ar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nd quantitative assessment about student’s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The very task we face is how to cope with, operate within and challenge the openness of the post-modern movement. A refusal of totalizing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s must necessarily involve a refusal of totalizing phenomenon in teaching set. Texts we have examined share a problematic characteristic of wanting to question some of the fundamental assumptions upon which the dominant modern view. The post-modern moment signifies a paradigm shift. To escape the modernist discourse is to deconstruct the modern project of education. The grand narratives may be far from dead but they have certainly lost much of justificatory power. We would want to argue that co-implicated with this is the de-centering of grand narratives.

      • KCI등재

        교육철학함의 서설(敍說)

        서명석(Seo, Myoung-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1

        교육철학함은 무엇인가? 이것을 해명하는 길 위에 이 글이 있다. 이 길의 궤적은 시를 통한 연구문제와 문제-틀의 열어놓음을 개시(開示)한다. 이 안에서 시의 존재론을 ‘시(詩)-시(時)-시(視)’의 성찰적 은유를 통해서 교육철학함의 존재론적 위치를 설정한다. 그 후, 교육철학함에서 필연적으로 맞닥뜨려야 하는 명사형철학과 동사형철학의 관계와 위상을 점검한다. 이 과정에서 동사형철학과 교육철학함 사이의 접속지점을 부각시킨다. 실제로 수업사태에서 명사형철학과 동사형철학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추적한 뒤 각각의 교육적 처해-있음을 호명한다. 이를 하기 전에, 교육철학함의 세계와 교육철학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입론화해서 각각을 상론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우선, 교육철학함의 과정을 세 단계로 구상한다: ‘질문함-사유함-다시 사색함.’ 이런 세 단계의 철학적 운동이 견분과 상분의 상호작용을 이끌면서 필로소파이즈 또는 필로조피렌이라는 구체적 활동을 더욱 증장하게 된다. 이런 교육철학함과 교육철학함의 과정이 동사형철학과는 실제 수업의 사태에서 어떻게 결합하여 응용될 수 있는지 그것의 증례를 들어 밝힌다. 이와 같은 해명의 과정에서 귀납적으로 얻어낸 결론은 이런 것이다. 교육철학의 수업에서 교육철학함을 가르치는 데에는 명사형철학보다는 동사형철학이 더욱 효과적이며, 이런 동사형철학을 가르치고 배우게 될 때 진정한 의미의 교육철학함을 체득하는 기회가 찾아들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교육철학함을 동사형철학과 결합시켜 놓고 실제 교육적 사태에서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가 어떻게 자유자재하게 전유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What is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s a question that every professor of educational philosopher must ask himself. But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not at all obvious. Moreover, it is a hard philosophical question.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what is decisive method of solving the problem?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elucidate what is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n this context I use the understanding and the interpretation on the philosophizing education. It i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is hermeneutics in its theoretical explication toward the practice on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lluminates the insight tha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s a main area. My approach use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o develop a new rationale and to examine its applic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To philosophize is questioning and thinking and re-thinking.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teaching and learning is divided two style, that is, noun-type philosophy and verb-type philosophy of educational practice. I drive my attention to the actual application to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through verb-type philosophy. This focuses on verb-type philosophy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Verb-type philosophy has the nature of a serious conversation between professor of educational philosopher and students that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to philosophize education. The philosophizing of education is to teach what is questioning and thinking and re-thinking on educational themes to students. In this process, students learn competence-to-see[見分] and competence-to-be-seen[相分] toward the understanding of one’s own interpretation. At the same time, this process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orizon of the-competence-to-see and the horizon of the-competence-to-be-seen and it ends up in a fusion of both horizons concerning educational concept.

      • KCI등재
      • KCI등재

        유가공부의 한 정곡인 격물치지에 대한 수양론적 시선

        서명석(Seo, Myoung-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1

        유가의 공부지평 속에서 격물치지란 무엇인가. 이것이 오늘날 학생들이 매달리고 있는 공부활동과 어떻게 다른 것인가. 그렇다면 격물치지는 21세기 우리들에게 어떠한 교육적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는가. 이런 물음들에 일일이 화답하는 것이 이 글이다. 유가에서 말하는 격물치지는 오늘날 학생들의 공부활동과 매우 다른데, 그것은 유가가 수신의 문제를 공부의 두뇌처로 잡고 있기에 그러하다. 유가의 격물치지도 오늘날의 지식축적 활동과 매우 유사한 국면을 함유하고 있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공부의 지향처가 각각 다르다는 점이다. 이 점을 망각하고 유가의 격물치지를 서양 인식론의 지평에서 논의하는 것은 탈-맥락화의 오류를 범하는 전형이다. 오늘날 앎에서 수신이라는 유가적 패러다임이 삭제되거나 증발한 상태에서의 격물치지가 주는 메시지는 앎의 진정성을 다시 점검해 보라는 반성적 시간성을 우리들에게 각별히 제공해준다. Gé-Wù-Zhì-Zhī[格物致知] in Neo-Confucianism is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In other words, it is the program of Neo-Confucian self-cultivation. It is not the modern epistemology of western philosophy. This discourse of Chu Hsi is thus nothing but a method of self-cultivation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ings in the world out there. The Confucian paradigm of Gong-Fu[工夫] consists of two strands, namely, Chü-Ching[居敬] and Ch’iung-Li[窮理]. These two factors do not contradict but support each other. Cultivate your heart-mind[Xiū-Shēn/修身]! Inwards, make sincere your will [Chéng-Yì/誠意] and correct your mind[Zhèng-Xīn/正心]! Outwards, investigate things[Gé-Wù/格物] and extend your knowledge[Zhì-Zhī/致知]! The core step in Chu Hsi’s program of self-cultivation is to apprehend the principle in things. What meaning does this paradigm have in the post-post-modern condition?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의 창의성 발달을 저해하는 환경요인에 대한 성찰 : 가정의 놀이문화와 교실의 수업문화를 중심으로

        서명석 ( Seo¸ Myoung-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이 글은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둘러싸고 있는 두 가지 환경을 교육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으로 설정했다. 그런 다음 가정환경이 어떤 조건에 있을 때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에 공헌하는지 그리고 학교환경이 어떤 조건에 있을 때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에 공헌하는지 연구자는 차례로 성찰해 보았다. 성찰해 본 결과 연구자는 가정환경이 아이들의 놀이 활동을 적절하게 보장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한 학교환경의 측면에서는 교실환경 내의 수업문화를 검토하고 현행 수업방식만으로는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을 촉진하기엔 태생적인 한계가 있음을 연구자는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본다면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은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을 조장하는 환경으로의 재편이 보다 시급한 과제라고 말할 수 있다. 부연하면 가정에서는 아이들의 놀이권 보장이 필요하고 학교에서는 아이들의 창의성이 발달하는 쪽으로 학습권의 보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an educational reflection of two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To this end, I sets the home and school environment as areas that affect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I then reflected on which conditions of home and school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On reflection, I found that the home environment did not adequately guarantee children’s play activities. In addition, I reviewed the classroom culture in terms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confirmed that the current teaching has inherent limitations in promoting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Based on this, the home and school environment are more urgent tasks to re-organize into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In addition, families need to guarantee children’s rights to play, and schools need to guarantee their right to study in order to develop their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