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따른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서다람(Daram Seo),손창우(Changwoo Shon)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2

        이 연구는 한국형 커뮤니티 케어의 기초가 되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방문건강관리 사업을 중심으로,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따른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티 케어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3단계(’17년 7월 ~ ’18년 6월) 및 4단계(’18년 7월 ~ ’19년 6월)에 참여한 만 65세, 만 70세 노인을 모집단으로 하여, 자치구별 비례할당 방식으로 추출한 2,200명(3단계 24개구 1,100명, 4단계 25개구 1,1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불성실 응답 180건을 제외한 2,020명을 최종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만성질환 유병상태를 기준으로 하위집단을 나누었고,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만성질환이없는 노인들은 건강교육 및 상담 서비스를, 만성질환을 1개 가지고 있는 단일 만성질환 노인은 지역사회자원 연계서비스를, 만성질환을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복합 만성질환 노인은 자신의 건강상태평가 및 지역사회자원 연계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 서비스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만성질환 유병상태와 상관없이 노인이 인식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시간은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었으며, 설명 이해도는 단일, 복합 만성질환자 모두에게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었다. 지역사회를중심으로 한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커뮤니티 케어의 핵심 요소이므로 향후 커뮤니티 케어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따른 지역사회 중심의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겠다. 다만,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첫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건강정보를 지자체로 공유하는 연계시스템 구축과 둘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의 질향상을 위한 방문간호사 역량강화 교육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와 제언이 향후 커뮤니티 케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and to develop effective community care models by using the results of Seoul’s outreach service which is the basis for Korean community ca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elderly aged 65 and 70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s outreach community services 3rd stage (July 2017 - June 2018) and 4th stage (July 2018 to June 2019). 2,200 people were extracted by the proportional allocation method and home visit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m. Subjec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based on chronic disease prevalence, and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derly without chronic diseases were more satisfied when they received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the elderly with one chronic disease were more satisfied when they received Community resource-linked services.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with two or more chronic diseases,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is increased when health condition assessment and Community resource-linked services are provid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have chronic diseases, service delivery time was a factor that increased satisfaction in home visiting health care. And the degree of explanation understanding was a factor that increased satisfaction for both single and complex chronic patients.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ased on the community is a key component of the ongoing community care. In order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 care in the future, Community-oriented health care services based on the degree of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ly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more effective services, however, it is necessary (1) to establish a linkage system to share health information of the subject hel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o local governments and (2) to provide capacity-building education for visiting nur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 s ed a s bas ic data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community care.

      • KCI등재

        긍정적 평가 두려움이 사회불안 경향군의 자기 평가와 대인관계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다,임종민,장문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ffects interpersonal attitudes in people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A survey including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was conducted targeting 39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nd three groups were form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ocial anxiety group was composed of people with interaction anxiety score of moderate or higher,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19 persons) was composed of people with less than mild level. In addition, within the social anxiety group, individuals who exceeded the cutoff point for fear of positive evaluation were selected as the high social anxiety and positive evaluation fear group (19 persons), and those below that were selected as the social anxiety and positive evaluation low group (15 persons). Next, the Implicit Association Task and the Visual Ratio Scale were used to examine the implicit and explicit self-assessment aspects in the two dimensions of dominance and affiliation, which can explain the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aspects of individual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oup with high fear of positive evaluation did not implicitly evaluate themselves low, but explicitly evaluated themselves low,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even wh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controlled. These research results show that even within social anxiety, those with high fear of positive evaluation do not implicitly evaluate themselves low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in fact, fear of retaliation or disappointment from others, it seems that they keep placing themselves in a low posi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장애의 대인관계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399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와 긍정적 평가 두려움 척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행하고, 설문 결과를 토대로 세 집단을 구성하였다. 상호작용 불안 점수가 중등도 이상인 사람들로 사회불안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경도 수준 이하인 사람들로 정상 통제집단(19명)을 구성하였다. 또, 사회불안 집단 내에서 긍정 평가에 대한 두려움 점수의 절단점을 초과한 개인을 사회불안 및 긍정적 평가 두려움 고집단(19명), 그 이하를 사회불안 및 긍정적 평가 저집단(15명)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의 성격 및 대인관계 양상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지배성과 친애성 두 차원에서 암묵적, 명시적 자기 평가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암묵적 연합 과제(SC-IAT)와 시각적 비율 척도(VA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집단은 암묵적으로 자신을 낮게 평가하고 있지 않았으나, 명시적으로는 자신을 낮게 평가하였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통제하였을 때도 그 차이는 유의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불안 내에서도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이들이 암묵적으로는 대인 관계상에서 자신을 낮게 평가하지 않으나 사실은 타인의 보복 또는 타인의 실망이 두려워 자꾸만 자신을 낮은 지위로 자리매김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먹거리 체계 관점에서 본 먹거리 위기와 유형

        김성아,서다람,김상효,김기랑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먹거리 위기를 정의하고,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으며, 먹거리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는 재난상황과 발생 가능한 먹거리 위기를 제안함으로써, 재난상황에서도 신속하고 적절한 먹거리 보장체계가 작동할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먹거리 체계의 단계별(공급, 분배, 소비)로 발생 가능한 먹거리 위기의 사례를 탐색하여 국내 상황에 적용 가능한 먹거리 위기 사례들을 수집ㆍ종합하였고, 관련 분야 전문가의 검토와 자문을 거쳤다. 연구 결과, 먹거리 위기를 식품 불안정 상태, 식품 미보장 상황과 동일한 개념으로 정의하였으며, 먹거리 체계와 식품보장 요소를 고려하여, 먹거리 위기의 유형을 식품 공급 위기, 식품 분배 위기, 식품 소비 위기, 식품 안전 위기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자연재해, 기후변화 등의 자연재난과 사고(붕괴, 폭발, 화재 등), 감염병 확산, 식품사고 등의 사회재난에 따라 새롭게 발생 가능한 먹거리 위기상황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먹거리 위기 ‘제로(0)’를 향해 점진적으로 나아가고 있던 먹거리 보장체계가 재난과 같은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신속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먹거리 위기의 유형과 사례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fining and classifying food crises in a way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 Korea. This study also examined potential disaster situations that may well lead to food crisis and suggested ways to keep the food security system working well even in a possible disaster situ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surveyed types of food crises that can occur at each stage of the food system (supply,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then we examined the types of food crises that can be relevant to the domestic situ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defined food crisis in terms of food insecurity. Food crisis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cluding food supply crisis, food distribution crisis, food consumption crisis, and food safety crisi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potential food crises that may occur due to a future natural or social disaster. Food crises are prominently revealed in disasters or corresponding national crises. In order for the food security system, which has been gradually working towards the ‘zero food crisis’, to respond timely to a sudden cris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epare for the food crises as presen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