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반복적인 굽힘에 따른 FBGA 메모리 모듈의 피로 수명 예측
서경원(Kyoungwon Seo),유수프 츠나르(Yusuf Cinar),장건희(Gunhee Jang),장재석(Jaeseok Jang),구창우(Changwoo Koo)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In this research, the fatigue life of fine-pitch ball grid array (FBGA) solder joints in memory modules was predicted by the bending experiment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our-point bending test was performed by JEDEC standard to determine fatigue life of a memory module with five packages. Finite element model of the memory module was developed and analyzed under various displacement levels by using direct integration method. Strain under cyclic bending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simulation results for validation of the finite element model of the memory module. A global-local modeling technique was used in finite element simulation to calculate the strain response of the solder joints, and Coffin-Manson equation was developed by experimental and simulation methods. Then, the fatigue life of memory modules was predicted under cumulative damage condition by using the Miner’s rule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redicted fatigue life of the memory module matches with experimental results closely.
참여적 디자인 방법론을 사용한 의료용 기능성 게임 ‘RehabMaster’개발 사례연구
서경원(Kyoungwon Seo),류호경(Hokyoung Ryu)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기존의 뇌졸중 환자 재활용 기능성 게임은 환자 중심의 게임디자인에 초점을 두고 재활을 진행하는 다른 주체인 의사와 치료사를 위한 디자인 요소는 상대적으로 덜 반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기능성 게임의 환자중심디자인에 부합되면서 의사와 치료사까지 고려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참여적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용 기능성 게임 RehabMaster 를 개발하였다. RehabMaster 를 이용한 임상실험을 통해 임상 및 사용성 측면에서 다양한 재활주체를 고려한 디자인 요소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Various researches have done about serious game in order to rehabilitate stroke patients. These serious games mainly focused on a stroke patient’s perspective, so they merely consider about other rehabilitation stakeholders like physiatr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is paper, by using participatory design method, we propose design factors which not only fulfilling stroke patients but also physiatrists and therapists. Based on these design factors, we made a rehabilitation serious game RehabMaster. A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is serious game to validate both clinical advantage and design factors, and how these design factors would help HCI practitioners was also discussed.
공동디자인 과정에서 디자이너의 공감 능력이 HCI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서경원(Kyoungwon Seo),김지은(Jieun Kim),류호경(Hokyoung Ryu)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디자이너의 사용자에 대한 혹은 다른 디자이너들의 입장에 대한 공감 능력은 HCI 디자인 및 공동디자인 (Co-design)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이너를 인터뷰한 후, 공감적 디자이너 (empathetic designer)와 직감적 디자이너 (intuitive designer)로 구분한 후, 사용자와 ‘Nike 에서 출시하는 진공청소기"를 공동디자인하도록 하였다. 주제분석 (thematic analysis)과 반-구조적 인터뷰 테크닉 (semi-structured interview)을 통해 디자인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직감적 디자이너는 공동디자인 수행 중 디자인고정 (design fixation)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반면, 공감적 디자이너는 사용자와 디자이너의 반복되는 질문과 대답을 통해 보다 견고하고 일관된 디자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The effect of designer’s empathy level during the co-design process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In this paper, two groups of designers conducted a ‘Nike vacuum cleaner’ co-design practice with potential users: empathetic and intuitive designers. The co-design process was analyzed with a thematic analysis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intuitive designer group tends to have ‘design fixation’ problems, and empathetic designers might achieve robust and coherent design quality but not efficiently.
전라북도에서 곤충 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의 발생
최선우,김주희,서경원,문영훈,이공준,이창규,김재수,김진호,Choi, Seonu,Kim, Juhee,Seo, Kyoungwon,Moon, Younghun,Lee, Gongjun,Lee, Changkyu,Kim, Jaesu,Kim, Jin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2
곤충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가 혹명나방,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과 진딧물인 미분류 1종을 감염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전라북도 진안, 김제, 익산에서 수집되었고, 6월과 9월에 관찰이 가능하였다. 이 균에 감염된 혹명나방은 진안에서 수집되었고, 감염율이 46%에 달하였다. 감염된 곤충 충체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Sabouraud dextrose agar with yeast extract (SDAY)를 이용하여 인공배양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20{\sim}28^{\circ}C$가 인공배양을 위한 최적온도로 판단되며, SDAY보다 SDAY supplemented with egg yolk and milk (SDAY-EM)에서 발육이 보다 양호하였다. 이 곰팡이는 자연적으로 발생함을 포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ntomopathogenic fungus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 was found to infect Cnaphalocrocis medinalis, Plutella xylostella, Myzus persicae and one unidentifed species. Samples of the fungus were collected from three areas (Jinan, Gimje, and Iksan) in Jeollabuk-do, Korea. Infected insects appeared in July and September, during which time population infection rate of Z. radicans on C. medinalis reached up to 46%. Zoophthora radicans hyphal bodies are rod-like to hyphoid, and primary conidia are bullet-shaped to long ovoid. The fungus was isolated from the surfaces of larvae and cultured in Sabouraud dextrose agar with yeast extract (SDAY). The optimal temperature range for mycelial growth was $20{\sim}28^{\circ}C$. Mycelium growth on SDAY supplemented with egg yolk and milk (SDAY-EM) was higher than on SDAY alone. Zoophthora radica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insect population density using naturally induced epizootics.
사용자 접근성과 몰입을 고려한 기능성 게임 기반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능력 측정
노승환(Seunghwan Noh),서경원(Kyoungwon Seo),류호경(Hokyoung Ryu)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이란 정보들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고, 각종 인지적 과정을 계획하고 순서 지으며 실제로 수행하는 여러 작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기억의 용량(Working memory capacity)에 의해서 처리할 수 있는 용량,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정보의 양, 주의력 사용 능력이 결정된다. 본 논문은 작업기억의 저장용량(Storage capacity), 처리 능력(Process ability), 주의 통제 능력(attention supervision ability)을 대변할 수 있는 중앙 집행부능력(Central executive)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모바일 기능성 게임을 제안한다. Working memory holds and processes information the central executive (CE) in which si critical to control information. However, the way to measure CE has not been clearly demonstrated. A serious game to do so is suggested in this article.
Common Ownership and Product Market Competition: Evidence from the U.S. Airline Industry
Alex Haerang Park(박해랑),Kyoungwon Seo(서경원) 한국증권학회 2019 한국증권학회지 Vol.48 No.5
본 연구는 기업간 공동주주(common ownership)가 상품시장 경쟁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검증한다. 기존의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요·공급 구조모형 및 도구변수를 도입하고 미국 항공산업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동주주는 항공권 가격을 높이고 항공사간 경쟁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주가 경쟁기업의 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해당기업은 다른 기업의 이익에 미치는 가격효과를 내재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We study how common ownership in a financial market can affect competition in product markets. We adopt a structural demand and supply model and use additional instrumental variables to overcome endogeneity problems. We then analyze data from the U.S. airline industry. We find that common ownership raised airfare prices and softened the competition between airline companies. Firms with higher common ownership linkage are more likely to internalize their price effects on the competitors’ profits and thus coordinate on prices to a larger degree.
Hybrid RAG: 벡터 유사도 기반 탐색을 통해 증강된 그래프 검색-증강-생성
차승언(Seungeon Cha),서경원(Kyoungwon Seo),김동호(Dongho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4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4 No.11
최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s)의 외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작업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검색-증강-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기법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 방식인 Vector RAG 는 문맥적 유사성 검색에 강점이 있지만 글로벌 질문이나 다단계 추론에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체 간의 관계 추론에 강점을 보이는 Graph RAG 가 제안되어왔으나,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요청으로부터 오류 없이 정확한 쿼리를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접근법의 상호보완을 위해 벡터 기반의 유사도를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검색 프로세스에 적용한 Hybrid RAG 모델을 제안한다. Hybrid RAG 는 ARAGOG 벤치마크 데이터셋에서 기존의 RAG 접근법 대비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답변의 관련도와 정확도에서의 성능이 각각 4.4%, 6.2%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Hybrid RAG 를 통해 컨텍스트 정보에 '노드-관계-노드'와 같은 명시적인 정보를 포함시키고, 벡터 유사도 기반 노드 검색을 통해 더 넓은 그래프 탐색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육서비스에 대한 학교교육 이해관계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진성희 ( Sung-hee Jin ),유미나 ( Mina Yoo ),서경원 ( Kyoungwon Seo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Generative AI technology holds transformative potential for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s in public education and investigate the needs of school stakeholders regard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To explore these needs, a survey involving 127 teachers, 225 students, and 127 parents in Seoul was conducted. The analysis of perceptions regard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upport revealed that teachers were comparatively more positive than students and parents in perceiving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such services.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 scenarios among the three groups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higher effectiveness than students and parents. When prioritiz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all three groups expressed a common need for support in basic academic skills and recommend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However, teachers and parents exhibited a higher demand for student learning history management, while students emphasized a greater need for career guidance. Regarding support for realizing personalized education based on AI, high needs were identified for edutech devices, training on their usage, and reducing administrative work. Basing on the study results, we discuss pertinent issu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I-based education services.
임정현(Jeonghyeon Lim),조승현(Seunghyun Cho),정주형(Juhyung Jeong),이은영(Eunyoung Lee),안병구(Byeonggu An),서경원(Kyoungwon Seo)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수박은 1주에 1과를 착과하므로 다착과 작물에 비하여 낙과되는 경우 경제성이 낮아져 재배 농업인들은 착과기에 각별히 주의해서 관리해야 한다. 최근에는 꿀벌을 이용한 수분이 주를 이루지만 아직도 농업인이 화분을 암술에 직접 수분시켜주는 경우가 많다. 지속적인 농촌 인력의 노령화와 감소는 인건비의 상승으로 이어져 착과기에 인공수분을 실시하는 농가는 꿀벌 이용 수분 처리 대비 많은 생산비를 유발하며 포복작업의 고된 노동으로 근골격계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반촉성작형에서 인공수분과 꿀벌 이용 수분의 착과율, 과실특성, 경제성 등을 비교 분석하여 농업인에게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반촉성 시설수박의 꿀벌을 이용한 착과시험 수행을 위하여 조생흑미를 시험품종으로 하여 3월 13일에 정식하였다. 덩굴은 활착 후 어미덩굴을 적심하여 아들덩굴 3개를 유인하였다. 인공수분은 오전에 실시하였고 화분매개곤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설치하였으며 살충제를 사전에 살포하였다. 꿀벌 이용 수분 처리의 꿀벌은 봉군수가 5,000여 마리가 되는 벌통을 투입하였다. 조사는 화분 발아율, 착과율, 과실 및 종자특성 등을 실시하였다. 인공수분과 꿀벌 이용 수분 전에 조사한 화분 발아율은 각각 82.5%, 83.1%로 비슷하였으며, 착과기간(4일) 내 착과된 과실은 인공수분 94.6%, 꿀벌 이용 수분 93.3%로 두처리 모두 착과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확기 과중은 인공수분 처리가 약간 높았으며 이에 따라 과장과 과폭도 컸다. 과실 당도는 인공수분 처리와 꿀벌 수분 처리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부위별로는 과피부위 > 중심부위 > 배꼽부위 > 과경부위 순으로 높았다. 과실의 완숙된 종자는 꿀벌 수분 처리가 695.9립으로 인공수분 처리 647.2립보다 많았으며 완숙 종자무게는 비슷하였다.